• 제목/요약/키워드: 강철원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1초

RSSI기반 지능형 위치 추정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SSI-based Intelligent Location Estimation System)

  • 임창균;강오성;이창영;김강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9-1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로봇이 주어진 환경에서 물건 객체를 찾기 위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지능형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개발된 지능형 시스템은 인공 신경망 시스템으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값을 입력으로 하고 절대 위치 좌표 값을 목표 값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이다. 위치 추정을 위하여 수동형 RFID를 사용하였으며 능동형으로의 확장도 고려하였다. 실내에서 위치 추정을 위한 환경을 구축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시스템을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였고, 실험을 통해 테스트베드 상에서 시스템 학습과 관련된 결과를 보여준다. 실제 현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학습데이터 생성에서부터 실시간 위치 추정과 관련된 다양한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모바일 로봇이 실내에서 원하는 객체를 쉽게 찾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무선 통합망에서의 SDN 기반 미들박스 관리 프레임워크 (SDN-Based Middlebox Management Framework in Integrated Wired and Wireless Networks)

  • 이기원;장인선;김원태;주석진;김명수;백상헌;강철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6호
    • /
    • pp.379-386
    • /
    • 2014
  • 최근 네트워크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많은 수의 미들박스를 동적으로 유연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들박스 설정이 사업자의 정책과 다르게 잘못 설정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미들박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법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미들박스 관리의 어려움은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의 중앙 집중화된 컨트롤러 구조와 유연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상황에 맞춰 동적으로 미들박스 정책을 적용하고, 데이터/컨트롤 평면의 분리를 통해 기존 미들박스 구조는 그대로 유지한 채 새로운 컨트롤 평면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클라우드와 분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NFV :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기술을 통해 보다 유연하게 미들박스를 관리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선망과 무선망이 통합된 네트워크에서 SDN 기반의 미들박스 관리 기법과 클라우드 기반의 미들박스 관리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연구 이슈에 대해서 살펴본다.

비정형 홍채 패턴 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traction of Irregular Iris Patterns)

  • 원정우;조성원;김재민;백강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69-174
    • /
    • 2008
  •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보안에 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지문, 장문, 서명, 홍채 인식과 같은 생체 인식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고, 그 중에서 가장 신뢰성과 보안성에서 뛰어난 홍채 인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홍채 인식의 환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홍채 인식의 가장 큰 이슈는 홍채 영역 분할과 특징 추출로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곡선에 유연한 곡선 검출기를 이용하여 기존 원형 검출기가 갖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정확한 홍채 영역 분할을 이루었다. 따라서 주변 환경의 변화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고, 기하학적인 경계 검출에 유용하다.

RTLS에서 TDOA 기법을 이용한 위치추정 알고리즘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with TDOA Scheme in Real Time Location System)

  • 정승희;강철규;오창헌;임춘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59-46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2.45GHz대역 RTLS에서 다중 태그 환경하의 고정밀 위치추정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태그의 송신시간 정보가 필요 없는 TDOA 기법을 적용하여 LOS 환경, 300m ${\times}$ 300m, 이차원 평면상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태그는 임의의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리더간의 위치가 등간격인 3~8개의 리더를 이용하여 평균 추정오차 거리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송신횟수가 1회인 경우, 평균 추정오차 거리는 리더 4개일 때 3.12m, 리더 8개일 때 1.47m 발생하였으며, 동일한 지점의 태그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누적횟수가 3${\sim}$4회 일 때, 최소의 오차범위를 보였다. 이 때 태그의 오차 범위는 가용리더의 개수에 관계없이 3m 이내의 RTLS 규격 오차범위에 만족함을 확인했다.

  • PDF

고압 회전기 고정자 권선의 부분방전 계측 시 주변 신호 관계를 고려한 노이즈 제거기법 (Noise Elimination Algorithm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of Generator Stator Winding Considering Relation of Periphery Signals)

  • 신희상;조성민;강철;강동식;조국희;김재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7-24
    • /
    • 2008
  • 최근에 신뢰성 있는 전력공급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기기 진단의 중요성 역시 증가하고 있다. 산업설비로 많이 사용되는 고압 회전기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고정자 권선 절연부분이 열화되어 예상치 못한 절연파괴 사고로 많은 손실을 일으킨다. 이를 진단하기 위하여 고압 회전기 고정자 권선에 접촉식 Capacitive Coupler를 설치하고 부분방전 신호를 계측하여 유지 보수하는 것이 가장 넓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부분방전 계측 시 노이즈가 혼재된다면 정밀한 부분방전 신호를 계측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수력발전소 중 25년 이상 가동 중인 13[kV]급 수력발전기 고정자 권선에서 160[pF] 용량의 접촉식 Capacitive Coupler를 이용하여 취득한 계측신호를 분석하여 기존 하드웨어적으로만 노이즈를 제거하여도 잔존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주변신호원과의 관계를 고려한 노이즈제거 기법을 제안하였다.

단순 흉부 X-선 사진상 폐암 소견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효과 -단기 추적 조사를 중심으로- (The Response of Parenchymal Mass and Airway Obstruction from Lung Cancer to Radiation Therapy)

  • 강철훈;신세원;김명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2호
    • /
    • pp.227-233
    • /
    • 1989
  • From April 1986 to Dec 1988, fifty one patients with carcinoma of lung were treated by radiation therapy in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Of the 51 patients, $31(61\%)$ were squamous cell ca, $8(15.7\%)$ were small cell ca, and remained $4(7.9\%)$ were other cell types. Total radiation dose was average $64Gy (60\~75 Gy)$ for group A and 45Gy $(40\~59Gy)$ for group B. The mass regression and the response of airway obstruction to radiation therapy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follow up chest X-ray. The mass regression above $50\%$ of total volume was noted in 23 patients $(74.2\%)$ among 31 patien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een. In squamous cell ca, however, the mass regression rate (above $50\%$ of total volume) was $83.3\%$ (10/12) in group A compared to $50\%$ (3/6) in group B(p<0.05). The alleviation of airway obstruction was noted as follows. In group A, CR $42.9\%$, PR $35.7\%$, no response $21.4\%$ and in group B, CR $55.6\%,\;PR\;33.3\%$, no response $11.1\%$. But, in squamous cell ca, responsiveness is higher than group B.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higher radiation dose in the management of primary tumor mass and airway obstruction caused by lung cancer especially squamous cell ca. So, meticulous treatment planning and multimodality combination therapy without increasing si.do elect or complication is recommended in management of inoperable bronchogenic carcinoma.

  • PDF

무도상 강철도 교량상 목침목 유지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Maintenance System for Timber Sleepers of Ballast-less track on Railway Bridge)

  • 최정열;신태형;김상진;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389-39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무도상 궤도가 부설된 국내 도시철도의 철도 교량상 목침목에 대한 선로검사내규의 점검사항 및 불량판정 기준을 개선하여 목침목의 손상유형에 따른 상태등급체계를 분류하고 침목별 이력관리대장 시스템 도입을 통해 목침목의 유지관리체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 철도교량에 부설되어 있는 목침목의 손상현황을 분석하여 손상별 코드를 구축하였으며, 침목별 손상 및 유지관리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유지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단면형상 및 침목 고정장치가 다양하고 유지관리가 복잡한 무도상 철도교량상 목침목의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강철도 복합교량 케이블의 장력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Cable Tension for Railway Steel Composite Bridge)

  • 최정열;이수재;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407-41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약 3년간의 장기계측을 바탕으로 공용중인 복층 교량인 상부 도로교의 신축이음 신축량과 하부 철도교의 케이블 장력 간의 상관관계를 입증함으로서 온도변화에 따른 케이블 장력 평가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케이블별 장력 평가 경험식을 이용한 장력 예측결과는 진동법을 이용한 장력과 3% 이내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용중인 케이블의 장력 예측 및 평가에 실험적인 기법인 진동법과 함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신축량 경험식으로 산출한 추정온도를 케이블 경험식에 적용한 결과, 현장시험 진동법 측정결과와 비교시 높은 신뢰수준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추정온도를 반영한 장력 평가 경험식은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케이블의 장력 예측 및 유지관리방안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배합요인에 따른 바텀애시 미분말을 사용한 흡음형 기포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of Sound Absorbing Foamed Concrete Using Bottom Ash Depending on Mix Factors)

  • 김진만;강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63-70
    • /
    • 2009
  • 본 연구는 실리카와 칼슘의 수열합성 반응에 의해 제조하는 흡음형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이다. 원료는 석탄화력발전소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바텀애시를 미분화한 것을 실리카원으로 사용하였고, 1종보통포틀랜드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소석회를 칼슘원으로 사용하였다. 경화체 내에서 연속기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포제를 이용하여 발포한 기포를 슬러리와 혼합한 후 몰드에 타설하는 선발포 방식으로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인자는 물분체비, 기포제 희석비, 기포 혼입비로 설정하였고 이들 요인이 흡음형 기포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절건밀도, 전공극률, 연속공극률, 흡음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기포콘크리트의 흡음성능은 거의 모든 실험 수준에서 흡음재료를 위한 NRC의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포비는 가장 지배적인 인자이고 이 연구에서 기포콘크리트의 모든 특성에 현저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분체비는 압축강도와 절건밀도 뿐만 아니라 전공극률과 연속공극률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기포제 희석비는 거의 모든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흡음성능과 흡수시간 및 연속공극률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흡수시간은 연속공극률과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한 비 용혈성 연쇄구균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Jeju Island)

  • 강철영;강봉조;문영건;김기영;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9-1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나 양식터봇의 연쇄구균 병원체로 보고 된 바가 있는 제주 양식넙치에서 분리되는 γ 용혈성의 연쇄구균인 Streptococcus parauberis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 parauberis에 대한 분리균주의 탄소원을 기질로 이용하는 특성은 Annette and Collllins (1990)가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였다.또한 분리된 균주들을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Accesion number AY584477 하나의 그룹으로 묶였지만 S. iniae와는 다른 그룹으로 묶였다. 그러나 Collins가 Streptococcus iniae (X58306)와 S. parauberis (X89967)이 한 그룹으로 묶인다고 발표한 것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16S rRNA gene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는 S. parauberis (AY942572)와 98%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S. parauberis로 동정하였다. S. parauberis는 S. uberis type Ⅱ로 분류되었으나 Williams and Collins (1990)에 의해서 S. parauberis라는 종명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제주도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병원체로 S. parauberis로 판단되나 이번 실험에서 감염실험이 수행되지 않아 앞으로 본 병원체에 대한 감염 실험과 병리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