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강거더교의 강상판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강상자형교의 강바닥판에서 설계온도하중을 위한 유효온도 산정 (Evaluation of Effective Temperature for Estimate Design Thermal Loads in Steel Deck of Steel Box Girder Bridges)

  • 신동욱;김경남;최철호;이성행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77-87
    • /
    • 2013
  • 국내 교량 설계에서 온도 하중에 대한 현재 LSD (한계 상태 설계법)는 다양한 교량 형식에 대한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효 온도를 산정하기 위해 실제 크기의 상판이 없는 강상자형거더교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1년동안 강상자형거더교모형의 18개 지점에서 온도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기 온도에 따른 교량단면내 유효 온도를 산정 하였다. 유로 코드의 유효 온도와 비교할 때 실측 유효온도의 결과는 매우 유사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정 된 유효 온도는 국내 교량 설계에 온도 하중에 적합한 설계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구스 아스팔트의 열 영향이 3경간 연속 강상판 박스 거더교의 반력에 미치는 영향 (The Variety of Reaction at the Three Span Continuous Steel Box Girder Bridge under The Thermal Effect of Guss Asphalt)

  • 김성남;고윤기;한택희;강영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5-202
    • /
    • 2004
  • After the 1990's, Guss asphalt has chosen in Korea for using in pavement of a steel deck bridge because of it's distinguish ability about water proof and so on. But on the other hand it may cause server stress and displacement on the bridge as it is treated using very high temperature ranging from 220℃ to 260℃. Therefore it is critical to estimate the thermal effect of Guss asphalt on the steel deck bridge before the width and pattern of the unit portion are decided to minimize impact. In this study, a serious of numerical tests of the some steel box bridges were idealized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numerical value analysis. The parametric study was performed to present design proposal about the Box section dimensions and the diaphragm spacing.

  • PDF

콘크리트 슬래브가 없는 강재주형에서 상하연 온도차에 대한 실측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Flange in Steel Girder without Concrete Slab)

  • 신동욱;김경남;정경섭;이성행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99-106
    • /
    • 2014
  • 합리적인 온도 설계하중을 연구하기 위하여, 실제 크기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없는 강상형 거더 교량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높이에 따라 부착된 18개의 온도 게이지에서 5개월 동안 온도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강상형 거더 교량 시험체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온도 차가 계산되고, 온도 구배 모형이 확률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은 유로 코드에 의해 제안 된 모델과 비교했을 때 약 97%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 된 온도 구배 모델은 온도 설계 하중 계산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호남고속철도 동적 안정성 요구 조건을 고려한 강합성 거더교의 변수 연구 (Parametric Study on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s for HONAM High-Speed Railway Considering Criteria Requirement of Dynamic Response)

  • 조선규;정한욱;김성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0-1378
    • /
    • 2007
  • 고속철도 교량은 고속주행 열차의 차축 주기하중 효과와 교량 고유의 동적특성에 의한 동적 증폭 효과로 인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교량의 과도한 변형으로 인하여 차륜과 레일의 접촉력 감소, 궤도틀림 등의 윤중 변동이 일어나 열차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궤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동적거동에 대한 교량상판수준의 수직가속도 제한, 차륜-레일간의 접촉과 열차주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상판 면틀림 제한, 단부 회전각 변위 제한, 차량하중에 의한 교량의 수직 처짐 제한을 반드시 만족시켜야 하며, 필수적으로 공진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져야 한다. 신설되는 호남고속철도에서는 기존의 경부고속철도와 다른 콘크리트 도상을 적용하고, 궤도간격, 설계열차하중 등이 변경되어 적용되므로 새로운 동적안정성 요구조건을 적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교량에 비해 진동특성이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강합성 거더 고속철도 교량의 동적거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강교의 생애주기비용 최적설계 (Optimum Life-Cycle Cost Design of Steel Bridges)

  • 조효남;이광민;김정호;최영민;봉연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통권65호
    • /
    • pp.341-35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강교의 실용적인 생애주기비용 (LCC) 최적설계를 위한 일반화된 정식화와 LCC 설계시스템 모델을 제안하였다. 강교 최적설계를 위한 LCC는 초기비용, 직접 복구 (rehabilitation) 비용과 인적 혹은 물적 손실비용의 직접비용, 도로이용자비용, 그리고 사회-경제 손실비용을 포함한 간접비용의 현재가치의 합으로 정식화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교량이 속해 있는 도로의 네트워크를 고려한 도로이용자비용과 사회-경제 손실비용 산정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LCC 정식화 모델은 실제 강박스 거더교와 강상판형교의 LCC 최적설계 문제에 적용하였고, 다양한 경우에 대한 LCC의 효율성에 대해 비교 고찰하였다. LCC를 고려한 강교량의 최적설계는 설계시방서에 기초한 설계방법뿐만 아니라 초기비용 절감을 위한 최적설계 방법과 비교할 때 더욱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며, 안전한 설계를 유도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자동화설계를 위한 강상판교의 해석모델 (Analysis Models for Automatic Design of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s)

  • 조효남;정지승;민대홍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통권41호
    • /
    • pp.363-372
    • /
    • 1999
  • 본 연구는 강상판교의 자동화설계에 적합한 합리적인 해석모델을 제시하였다. 최적의 해석모델을 선정하기 위해 격자모델에 기초한 다양한 해석모델을 제시하며, 제안된 해석모델들을 해석의 신뢰성, 해석시간 및 효용성 등에 대해 비교하였다. 또한 현재 강상판교의 설계에 많이 사용되는 Pelikan-Esslinger 방법과 제시한 해석모델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선정된 해석모델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수치예제로서 지간장이 200m(60m+80m+60m)인 3경간 연속 강상판 박스거더교를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