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감도비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109 seconds

Structural optimizations of the optical fiber hydrophones with the hollow mandrel: Part II. The hydrophone's sensitivity with the mandrel's geometry (중공형 멘드릴을 이용한 광섬유 하이드로폰의 최적 구조 설계 Part II. 멘드릴의 형상 에 따른 광음향 감도 특성)

  • 임종인;노용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4
    • /
    • pp.30-37
    • /
    • 1998
  • 본 논문은 중공형 층상 복합체 멘드릴(mandrel)을 이용하여 기본 공진주파수가 15kHz이상이고, 우수한 감도 특성을 지닌 광섬유 하이드로폰의 최적 구조를 설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Al/foraming 및 Nylon/foaming층상 복합체의 공지주 파수를 분석하여 설계 변수의 범위를 결정하였고, 멘드릴 형상에 따른 광음향 감도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구조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로 멘드릴의 외경이 감소할수록, 길이가 증가할수 록 감도가 향상되었다. AL 멘드릴의 경우, 내경/외경 비가 낮을수록, Nylon멘드릴의 경우 내경/외경 비가 높을수록 감도 증가를 위하여 효율적이다. 그리고 결정된 최적구조의 Al/foaming 및 Nylon/foaming멘드릴을 사용한 광섬유 하이드로폰의 감도는 각각 1rad./Pa 대비 약 82dB 및 85.7dB 정도 이었고, Al층상 복합체 보다는 Nylon층상 복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고 감도의 광섬유 하이드로폰을 제조하는데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tructural Dynamic Modification of Plate using Finite Difference Sensitivity Method (유한차분 감도해석법을 이용한 판의 구조동특성 변경)

  • 유성근;장경진;박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335-341
    • /
    • 1996
  • 유한차분 감소를 이용한 감도해석 및 구조변경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한요소 모델로부터 얻은 유한차분감도를 이용한 결과가 미분을 이용한 감도해석법의 결과에 비해 큰 차이없이 타당한 결과를 제시하여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복잡한 판구조물의 형상을 등가의 동특성을 갖는 보를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보의 단면치수를 설계변수로하여, 구조변경을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해석을 수행하였다. 3) 혀상이 복잡한 판 구조물의 형상 및 치수등 비선형적인 요소의 변경으로 인한 구조변경시 유한차분 감도 해석법을 이용한 구조변경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써 유한차분을 이용한 감도해석법이 형상최적화(shape optimization)에 적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Depth of Investigation in Small-Loop EM Surveys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감도분석 및 가탐심도 추정)

  • Song Yoonho;Chung Seung-Hwa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5 no.4
    • /
    • pp.299-308
    • /
    • 2002
  • We have derived an analytical expression for the sensitivity of the frequency domain small-loop electromagnetic (EM) surveys over a two-layer earth in order to estimate the depth of investigation with an instrument having the source-receiver separation of about 2 m. We analyzed the sensitivities to the lower layer normalized by those to the upper half-space and estimated the depth of investigation from the sensitivity analyses and the mutual impedance ratio. The computational results showed that the in-phase components of the sensitivity to the lower layer dominates those to the upper layer when the thickness of the upper layer is less than 20 m, while the quadrature components are not sensitive to the lower layer over the entire frequency range. Hence we confirmed that th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in-phase componen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depth of investigation in the multi-frequency small-loop EM survey. When conductive basement of 10 ohm-m underlies the upper layer of 100 ohm-m, an accurate measurement of the in-phase components ensures the depth of the investigation more than 10 m even accounting a noise effect, from which we conclude that the small-loop EM survey is quite effective in imaging the conductive plume down to a considerable depth.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ce of the resistive basement of 1,000 ohm-m, the depth of investigation may not exceed 5 m considering the instrumental accuracy, which implie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mall-loop EM survey is not recommended over the resistive environment other than detecting the buried conductor.

고감도 형광판을 이용한 실시간 IMRT 선량 분석 가능성 연구

  • 고영은;이병용;안승도;이상욱;김종훈;신성수;최은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36-36
    • /
    • 2003
  • 목적 : 고감도 형광판과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선량을 측정하여 IMRT 선량분포를 검증하는데 사용하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물팬텀은 지름 25cm 아크릴 원통과 원통의 중앙부분에 삽입되는 고감도 형광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사용하여 dose linearity correction factor를 구하기 위해 dmax 지점에서 6MV x-ray를 고감도형광판에 조사하여 blurring correction factor를 구하였다. CCD를 이용하여 고감도 형광판에서 나오는 영상을 수집하였다. 고감도 형광판에서 수집한 영상의 x축 profile은 RTP에서 얻은 profile과 비교하였고, 이온전리함으로 scanning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감도 형광판과 물에서 빛에 의한 산란선 때문에 발생하는 blurring effect를 교정하였다. 여기서 계산된 blurring effect factor를 고감도 형광판에서 수집된 영상에 적용하였다. 결과 : CCD 카메라는 형광판의 전 영역을 감지할 수 있고, 조사시간은 형광판의 중첩된 영상의 선량에 비례하였다. 물팬텀에서 형광판의 blurring effect 는 가우시안 분포로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Deconvolution kernel은 원통 팬텀에서 지름 $\pm$5cm 이내의 범위에 위치하였고, 따라서 형광판 영상으로부터의 실제 선량분 포를 뽑아낼 수 있었다. RTP 에서 계산된 선량분포와 blurring correction factor로 교정한 후 중첩시켜 얻은 고감도 형광판 영상의 선량분포는 일치하였다. 결론 : 정기적인 IMRT 선량 검증에 대한 실시간 선량측정 방법이 개발되었다. 고감도 형광판 영상과 CCD 카메라를 사용한 물팬텀으로, IMRT 치료계획에 대한 선량분포를 검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비의 회전에 의한 오차 보정, 필름의 광학적 밀도에 관한 보정 등 여러 가지 계통적 오차들에 대한 보정들이 선량분포 확인과정의 이해와 그 기준마련에 도움이 되겠지만 우리가 다룬 원점 불일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무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선량분포 확인의 최종목표인 3 차원 선량분포 확인의 실제 적용을 위한 연구가 최적화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실험 중에 있다.\times$5cm, 10$\times$10cm, 15$\times$l5cm, 20$\times$20cm인 경우, 측정하여 얻은 PSF가 0.8%, 0.2%, 0.4%, 0.2%로 약간 높지만, 두 값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존의 BSF를 이용해 구한 TAR과 BJR 25에서 권고하는 PSF를 이용해 구한 TAR을 비교한 결과 field size 에 따라 약 1%-1.5% 정도로 BSF를 이용하여 구한 TAR보다 PSF를 이용하여 구한 TAR이 1.3% 정도 높게 나타났지만, 이것은 두 값의 절대적인 차이일 뿐, 실제로는 PSF를 이용하여 구한 TAR이 측정해서 구한 TAR과는 매우 유사한 값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 : 기존의 BSF를 이용해 구한 TAR과 PSF를 이용해 구한 TAR을 비교하였을 때, 약 1.3% 정도 높게 내고 있지만, 기존의 TAR보다는 PSF를 이용해 구한 TAR이 BJR 25와 잘 일치하고 있으므로 Co-60 원격치료용 방사선 조사장치를 사용할 경우 BSF보다는 PSF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tokines의 변화는 비록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지만 비타민 C를 사용한 환자의 cytokines이 모두 사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감소하였음을 보였다. 비타민 C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약으로서 말기 암 환자에서 비타민 C사용은 임상 증상을 호전시키는 데 도움

  • PDF

Optimization of Image Quality according to Sensitivity and Tube Voltage in Chest Digital Tomosynthesis (디지털 흉부단층합성검사에서 감도와 관전압 변화에 따른 영상 최적화)

  • Kim,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2 no.4
    • /
    • pp.541-547
    • /
    • 2018
  • To evaluate the effect of dose and image quality for Chest Digital Tomosynthesis(CDT) using sensitivity and tube voltage(kV). CDT images of the phantom were acquired varying sensitivity 200, 320, 400 according to set tube voltage of 125 kV and 135 kV. The dose and Dose Area Product(DAP) according to change of sensitivity and kV were evaluated and Image quality was evaluated by PSNR, CNR, SNR using Image J. Dose were lowered 14~23% less than sensitivity 200, 125 kV and DAP were lowered 13~26% less than sensitivity 200, 125 kV. PSNR were over 27 dB, which were significant value and CNR, SNR were better as sensitivity value was lower. But there were different statistical significant to each item. CNR and SN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sensitivity 320, 135 kV(P>0.05). CDT can improve image quality with lower radiation dose using better than quality and correction power at digital radiography system.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us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 Sensitivity in the Digital Chest Image (디지털 흉부영상에서 자동노출제어 및 감도변화를 이용한 영상품질의 정량적인 평가)

  • Lee, Jin-Soo;Ko, Seong-Jin;Kang, Se-Sik;Kim, Jung-Hoon;Kim, Dong-Hyun;Kim, Cha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8
    • /
    • pp.275-283
    • /
    • 2013
  • The patient radiation dose is different depending on selection of Ion chamber when taking Chest PA which using AEC. In this paper, we studied acquiring the best diagnostic images according to selection of Ion chamber on AEC mode as well as minimizing patient radiation dose. Experimental methods were selection of Ion chamber and change of sensitivity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Chest PA projection. At AEC mode, two upper ion chambers sensors and one lower ion chamber sensor were divided into 7 cases according to selection of on/off. after measuring five times respectively, we obtained average value and calculated exposure dose. Image assessment was done with measured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Peak Signal to Noise Ratio, Root Mean Square, Signal to Noise Ratio, Contrast to Noise Ratio, Mean to Standard deviation Ratio respectively. In exposure assessment results, selection of two upper chambers was the lowest. In resolution assessment results, image of two upper chambers had the second high spatial frequency at sensitivity at 625(High) was 1.343 lp/mm. RMS value of image selecting two upper chambers was low secondly. SNR, CNR, MSR were the high value secondly. As the sensitivity was increased, radiation dose was decreased but better image could be obtained on image quality. In order to obtain the best medical images while minimizing the dose, usage of two upper ion chambers is considered to be clinically useful at sensitivity 625(High).

Polarization dependence on Cavity Ringdown Spectroscopy (공동 광자감쇠 분광학에서의 편광의존성)

  • 김재완;한재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216-217
    • /
    • 2000
  • 상자성을 갖는 분자에 대한 분광학 연구에서는 제만(Zeeman) 효과로 생기는 이색성을 이용한 magnetic rotation spectroscopy (MRS)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1)}$ MRS가 일반적인 흡수 분광법에 비해 더 민감한 측정을 할 수 있기는 하지만 사용하는 편광기의 extinction ratio에 의해 감도가 한정된다. MRS의 감도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광경로를 길게 만드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진기 광자감쇠 분광학(Cavity Ring-Down Spectroscopy, CRDS)은$^{(2)}$ 높은 반사율을 갖는 거울을 사용해서 수 km 이상의 광 경로를 만들기 때문에 감도가 높다. (중략)

  • PDF

Evaluation of Image Quality and Stability of Radiation Output according to Change in Tube Voltage and Sensitivity when Abdomen and Pelvis Examination of Digital Radiography (DR) (디지털 방사선 시스템(DR)의 복부와 골반부 검사 시 관전압과 감도 변화에 따른 영상 화질과 방사선 출력의 안정성 평가)

  • Hwang, Jun-Ho;Yang, Hyung-Jin;Choi, Ji-An;Lee, Kyung-B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2
    • /
    • pp.517-52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ptimal method for clinical application by analyzing image quality and radiation output according to parameter combination when using the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The experimental method combines 70, 81 kVp with sensitivity S200, S400, S800 and S1000 of the Automatic Exposure Control for Entrance Surface Dose (ESD), current volume, Signal to Noise Ratio (SNR), Contrast to Noise Ratio (CNR), Time-to-Radiation Dose Curve in abdomen and pelvis. And then, image quality and radiation output stability were evaluated. As a results, Entrance Surface Dose, current volume, Signal to Noise Ratio, Contrast to Noise Ratio decreased as the tube voltage and sensitivity were set higher. In addition, the higher tube voltage and sensitivity, the Time-to-Radiation Dose Curve showed a poor output stability.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combination of tube voltage and sensitivity in the use of Automatic Exposure Control, the more problems can be seen in image quality and stability of the radiation output. Therefore, a relatively low combination of tube voltage and sensitivity showed that the image quality and radiation output stability could be optimized by minimizing the error range that would occur when the detector recognized a combination of parameters.

Gas sensing characteristics of SWNT(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sheet (탄소나노튜브의 가스 감응 특성)

  • 김민주;이상태;전희권;허증수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136-136
    • /
    • 2003
  • 카본나노튜브는 상용되는 기존의 센서에 비해 표면적이 넓어 감도가 놀고 응답속도가 빠르다. 또한 나노 스케일의 크기를 가지므로 고직접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기능복구성이 뛰어나 상온동작을 통한 저전력화가 가능하다. 본 실험에서는 아크방전법으로 합성한 카본나노튜브를 가스센서로 제작하여 상온에서 NH$_3$, NO 가스와의 반응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origin soot와 이를 정제한 purified CNT를 SEM(주사전자현미경), TEM(투과전자현미경), Raman scattering spectroscopy(라만 산란 분광기)를 통해 재료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가스 감응 곡선과 연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전극에 CNT막을 형성시키기 위해 3g의 N,N dimethylformamide 용액에 CNT 10mg을 분산시킨 후 2시간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 용액을 mask를 이용해 전극 위에 막을 형성시킨 후 20$0^{\circ}C$에서 열처리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origin soot와 purified CNT센서는 flow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N_2$분위기 하에서 센서를 안정화시킨 후 측정가스와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센서의 반응속도, 회복속도, 감도 등의 측정결과 origin soot는 NH$_3$ 25ppm에서 20%, purified CNT는 1%의 감도를 보여 20배 높은 감도를 보았다. NO 25ppm의 경우에도 origin soot가 8%, purified CNT는 0.8%의 감도를 보여 10배 높은 감도를 보였다. 이는 탄소입자가 많은 origin soot가 purified CNT 보다 표면적이 넓어 보다 많은 가스 흡착 싸이트를 가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origin soot는 반응시간과 회복속도가 Purified CNT 보다 2배 이상 느려 표면적 증가에 따른 가스 흡착과 탈착 능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NT와 가스사이의 전하 이동 방향에 따라 NH$_3$는 양의 감도를 NO는 음의 감도를 보였다 이는 전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전하와 캐리어 사이의 결합 및 해리가 일어나게 되고 결국 카본나노튜브 내의 캐리어 수를 증감시킴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가스의 감도는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origin soot를 이용하여 1ppm이하의 NH$_3$ 가스를 검출할 수 있었다.

  • PDF

금속-유기 구조체 기반 비효소식 글루코오스 센서

  • Kim, Gi-Jun;Bae, Yun-Sang;Kim, Hyeon-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92.2-92.2
    • /
    • 2018
  • 빠르고 정확한 글루코오스 농도 측정은 의료, 식품, 환경 등 다양한 산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글루코오스 산화효소를 기반으로 하는 현재 글루코오스 센서는 높은 감도와 선택성을 갖지만 온도변화나 다른 화학물 등 환경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비효소식 글루코오스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금속-유기 구조체(MOFs)는 금속이온과 유기물 리간드로 구성된 결정성 다공체로, 큰 기공 크기와 비표면적, 안정성 등을 특징으로 갖는다. 대부분의 MOFs는 전기전도도가 낮지만 금속이온의 산화/환원, 리간드의 화학적 개질을 통해 전기화학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글루코오스 농도 측정을 위한 전극촉매로 다양한 금속이온과 리간드로 이루어진 MOFs를 합성했다. 표면분석을 통해 MOFs의 전기화학적 처리 전후의 구조와 성질 변화를 관찰했고 전기화학적 분석을 통해 금속이온과 리간드의 종류가 감도, 선택성 등 글루코오스 검지 성능에 주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Ni, Co 기반의 MOFs가 글루코오스에 대해 높은 감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MOFs의 글루코오스 센서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