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갈등 해결방안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Governance for the negotiation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related Conflicts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 및 갈등의 조정을 위한 거버넌스)

  • Lee, Joo-Heon;Kim, Hyung-Soo;Hong, Il-Pyou;Kang, Bu-Sik;Kim, Kw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30-1535
    • /
    • 2008
  • 수자원과 관련된 많은 분쟁 및 갈등들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분쟁 및 갈등해결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들은 대부분 원활한 해결을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자원인 수자원을 둘러싸고 수자원분쟁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으며, 분쟁의 양상도 다양하다. 댐 건설로 인한 상류지역과 하류지역의 갈등, 수로의 건설로 인해 수자원을 빼앗기는 지역과 수자원을 얻게 되는 지역 간의 갈등, 새로운 공단이나 개발로 인하여 하류지역에서 수질악화를 우려하여 반대하는 경우 등 여러 종류의 수자원으로 인한 분쟁이 있다. 수자원을 둘러싼 갈등이 쉽게 해결이 되지 않고, 또한 갈등 및 분쟁이 쉽게 발생되는 이유도 주체자들간 입장 차이에서 오는 성격이라 할 수 있겠다.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에서 오는 여러 가지 갈등들은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켜 수자원의 원활한 공급이 저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 해결에 들어가는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을 생각해 볼 때, 효과적인 갈등 및 분쟁의 해결은 국가적 발전에 있어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갈등 및 분쟁의 원활한 해결이 국가적 발전에 많은 비중을 차지 한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은 이런 이유들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사례들을 하천의 기능에 따른 분류, 발생 원인에 따른 분류, 분쟁주체에 따른 분류 등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수자원분쟁의 여러 가지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분쟁 및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거버넌스 시스템을 적용하였고 분쟁의 원활한 합의 조정방안 및 문제점을 제시하기 위한 외국의 시민참여 모델을 특징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영시각모형, 게임이론, 제도설계이론의 공학적 모형을 바탕으로 물분쟁의 해결을 위한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과학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여러 가지형태의 국책사업 시행 시 발생 할 수 있는 분쟁의 해결 및 조정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s on Development and Environment in Korea (개발관련 갈등의 예방과 해소방안)

  • Lee, Jong 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2 no.1
    • /
    • pp.51-64
    • /
    • 2013
  • 정부 주도의 대규모 개발사업은 개발과 환경보전이라는 가치관의 차이, 개발로 인한 공익과 환경 파괴로 인한 환경이익 침해와 같은 공익 간의 상충, 사업으로 예상되는 국익과 개인의 재산권 침해 등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개발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고 개발사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연훼손이나 환경파괴, 경제적 타당성, 사회적 문제 등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조사하거나 제대로 검증하지 않아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는 대개 갈등의 원인을 이해관계, 가치관, 사실관계, 제도 측면에서 규명하고 해결방안으로 주로 주민참여와 거버넌스, 전략환경평가, 사회영향평가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1980년대 중반이후 주요 개발갈등사례를 개발사업 종류, 갈등당사자, 갈등 쟁점, 갈등 원인, 선거공약 여부, 소송 여부에 따라 정리한 후, 갈등 예방과 해소를 위한 법과 제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선거공약 또는 개발정책 및 계획안 구상단계, 개발정책 및 개발계획 수립 단계, 개발사업 시행단계, 갈등 분쟁 발생단계 등으로 구분하여 갈등예방 및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선거공약 단계에서는 공직선거법상 선거공약서 규정에 국가재정법상 예비타당성분석을 도입하고, 개발정책 및 개발계획 수립단계에서는 전략환경평가와 갈등영향평가의 연계, 전략환경평가과정에 사회영향평가 및 주민참여의 강화, 환경계획과 개발계획의 연계 등을 제시하였다. 개발사업 시행 단계에서는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의 주민참여를 강화하고, 개발사업 시행단계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 거버넌스 구축과 환경분쟁조정법, 공공기관의 갈등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 등을 근거로 하는 갈등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Conflict Aspec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Case study of Anyang Myunghag Village) (도시재생사업의 갈등 양상에 관한 연구 (안양 명학마을 도시재생사업을 사례로))

  • Moon, Cha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165-178
    • /
    • 2021
  •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which started in 2017, has become an important means of urban redevelopment. Anyang Myunghak Villag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as selected in 2017 and is currently in its 4th year in 2021. During that time, many conflicts have occurred in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and conflicts are expected to occur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kind of conflicts occurred in what form and how the conflicts were resolved through what solutions at each stage by targeting these Myunghak Villag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 aspects that occurred in the Myunghak Village urban regeneration project(①The occurrence of continuous conflict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②Composed of various conflict subjects and contents ③The role of conflict-related organizations is insufficient, ④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in conflicts) and implica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in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①continual conflict management plan, ②Early forma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organization and strengthening its role, ③communication with residents for conflict management, ④customized conflict management for each stage of project implementation) was presented.

A Study on the Leader-Member Exchange on Subordinates' Perceived Use of Power and Conflict Handling Reference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상사의 권력행사 유형 및 갈등해결 방안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Lee, Kyu-Man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9 no.2
    • /
    • pp.47-67
    • /
    • 2006
  •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MX, perceived use of power and conflict handling references. The empirical study was made by questionnaire survey. The sample was consisted in 615 office workers of 25 large corporations in Korea. Results of analysis of t-test indicated that LMX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outcome variables such as perceived use of power and perceived conflict handing references. The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 PDF

The Analysis of Stakeholders' Conflict Surrounding Water use Charges: Targeting the Han River region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을 둘러싼 이해당사자 간 갈등분석)

  • Lee, Youngkyeong;Choi, Ye Seul;Kim, Chanyong;Lim, up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7 no.1
    • /
    • pp.45-61
    • /
    • 2021
  • This research purposes to design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suggest the optimal method to resolve the conflicts of stakeholders surrounding the water use charge of the Han River region, and to use the analysis result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policy. For this, it was preceded that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the multifaceted conflict between decision makers taking different positions over water use charge of the Han River region, and an optimal method to resolve the conflict of water use charge of the Han River region was derived by using a graph model for conflict resolution(GMC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optimal state to find a solution to the water use charge of the Han River is that the Seoul-Incheon-Gyeonggi region pays the charge according to the original rate while Seoul-Incheon requesting discount the water use rate. In addition, the Han River management committee should establish policies desired by Seoul-Incheon-Gyeonggi region including rationalization of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to determine the rate of water use charge, making the basis to support the Han River management fund system for the Seoul-Incheon region, and transparent management of the Han River management fund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eneficiary regions and resid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objective decision-making information in establishing environmental policy directions related to conflict resolution in the water use charge of the Han River region and to offer a methodological basis for similar follow-up studies related to conflicts derived from sharing nature environment.

A Comparative Study of Wetland Conflict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한국과 미국의 습지 갈등 비교 연구)

  • Yi, Gi Ch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1
    • /
    • pp.77-87
    • /
    • 2008
  • This study attempted to characterize and compare wetland conflicts in Korea and United States, which caused se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First of all, such 3 different survey methods as open-ended questionnaires, Likert-type and ranking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5 selected study sites in Korea and 12 cases in the U.S. in order to understand and measure these effects. 53 subjects were contacted for open face-to-face interviews in the U.S. and 258 in Korea and overall 567 disputants were for other questionnaires. Analyses of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disputants involved in the wetland conflicts had developed different concept of conflict frames.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reframing is the key for conflict resolution Based on these results, a idea of public mediator was suggested to resolve and mediate conflicts.

  • PDF

The Systematic Approaches to resolve Information Conflict Issues occurr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field (재난안전 분야의 정보갈등 관리체계 구축 방안)

  • Choi, Woo-Jung;Kim, Min-Jung;Lee, M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93-294
    • /
    • 2017
  • 본 연구는 재난안전 분야에서 발생되는 정보갈등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갈등 정보 DB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외 연구기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을 분석하여 갈등 DB연구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최근 정보갈등 관리를 위해 정보손실 예방, 갈등양상의 세분화, 다양한 관점의 자료획득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임에 따라 재난안전 분야의 갈등특성을 고려하여 재난유형별로 재난관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갈등의 행위주체, 주체별 갈등관리의 문제점 및 해결전략에 대한 정보관리 및 DB 구축을 제안한다. 재난갈등 사례의 장기적 자료 축적을 통해 향후 재난관리 과정에서 재난유형별로 발생 가능한 갈등유형을 예측하고, 유형별 갈등관리 전략에 관한 정보 분석을 통해 갈등에 대처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pplication of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Proposal of Psychological Resolution Mechanisms (갈등관리시스템 적용과 심리적 해결기제 방안)

  • Kim, Gang-Min;Kim, Jo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8
    • /
    • pp.365-377
    • /
    • 2011
  • In conclusion, the systemic environment was shown that negative environment was being created to deepen conflict, and the conflict processes could be changed in either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s by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resolution mechanisms proposed afterward. As the result that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was improved into aggressive mood with constant communication effort with the interested parties, the psychological resolution mechanism was also presented in the suitable forms of aggressive communication. On the contrary, if developed psychologically negative environment, the psychological resolution mechanism was also negatively affecting the conflict processes with dogmatic and consistent response rather than flexible response suitable to the situations.

Development of Governance Education Program to Solve Water Conflict (물분쟁 해결을 위한 거버넌스 교육프로그램 개발)

  • Jeon, Myeon-Ho;Kim, Tae-Woong;Ah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79-883
    • /
    • 2010
  • 수자원은 다수의 이해관계자들이 관리 또는 이용하는 과정에 있어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물분쟁의 해결방안으로 분쟁의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합의의 형성을 추진할 수 있는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 증대되고 있다. 거버넌스를 통한 물분쟁 해결을 위해서는 거버넌스 구성원인 정부, 시민, 전문가 집단의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전문 연구 및 교육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갈등관련 제도, 국내외의 갈등 관련 연구 현황, 물분쟁 관련 이해관계자 참여 사례, 물 관련 교육프로그램 사례 등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여 물분쟁의 다양한 주체와 원인을 고려한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거버넌스에서 이해관계자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거버넌스 과정에 참여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6개 거버넌스 위원회 및 단체와 국내 물 분쟁에 대한 7가지 교육프로그램의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프로그램이 나아갈 방향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안)을 제시하고, 교육센터 설립방안과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Improving the National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Korea - Trucker's Strike in 2003 as Complex Conflict - (국가갈등관리의 효율화 방안 - 화물연대파업을 중심으로 -)

  • Byun, Sung-Soo;Lee, Jae-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3
    • /
    • pp.195-203
    • /
    • 2009
  • This article aims to derive problems of the national conflict management from analyzing aggravation and spread stage in conflict process and to improve the national conflict manage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this article deals with sources of conflict, conflict damage, conflict management institutions,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obstacles of conflict management as the domain of policy target in the national conflict management.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trucker's strike in 2003 as a complex conflict. Finally, the improvement of national conflict management needs to establish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conflict management, to develop indicators and manuals according to conflict stag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