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서비스 질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7초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 서비스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ervice Quality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 박주희;박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09-415
    • /
    • 2022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 서비스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서비스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간호 근무 환경, 인간중심 돌봄,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서비스 질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G지역에 근무하는 요양병원 간호사 129명이 대상이었으며, 자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 근무환경, 인간중심 돌봄, 직무스트레스, 서비스 질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서비스 질의 영향요인은 기혼, 간호 근무환경, 인간중심 돌봄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 서비스 질을 49.9% 설명하였다. 이중 간호 근무환경은 간호 서비스 질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간호 서비스 질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병원 경영진은 바람직한 간호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조직 구조 개선을 통한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하며, 인간중심 돌봄에 대한 병원 구성원의 인지 정착과 인간중심 돌봄 확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환자와 간호사가 인지한 간호서비스만족의 융복합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t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Perceived by Patients and Nurses)

  • 안미애;권명진;오소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35-145
    • /
    • 2017
  • 본 연구는 환자와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서비스 만족의 융합적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려는 임상간호중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8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입원환자 193명과 그 병동의 간호사 18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verso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서비스의 질, 간호서비스 만족이었다. 본 연구결과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요인은 직업, 간호사의 의사사통 능력, 간호서비스 질이었고, 그 설명력은 78.5%이었다.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요인은 연령, 간호사의 의사사통 능력, 간호서비스 질이었고, 그 설명력은 70.6%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서비스만족을 위한 개별화된 중재 시 도움이 될 것이다. 간호서비스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서비스 질 향상과 함께 지속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입이 요구된다.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 홍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1-4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서비스의 질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2022년 6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 수집하였으며 국내 포털사이트 내 간호사 대상 온라인 커뮤니티 통해 모집한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관계지향문화(Z=3.88, p<.001)와 업무지향문화(Z=3.16, p=.001)가 간호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직무열의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계지향문화(Z=2.39, p=.017)가 간호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직무열의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응급상황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필요한 간호업무 특성을 고려한 질서와 절차를 바탕으로 구성원들 간에는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문화를 형성하여 직무열의를 함께 증진시키는 효율적인 간호조직 관리방안이 필요하겠다.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폭력경험과 감성지능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Violence Exper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 이순희;오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93-704
    • /
    • 2017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인력이 실무현장에서 겪는 폭력경험과 감성지능 정도가 간호서비스 질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G도와 C도 지역의 9개 요양병원 간호인력 167명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3.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폭력경험은 항목별로 일부 변동은 보였으나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신체적 폭력의 순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경험과 감성지능의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영향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폭력경험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감성지능은 간호서비스 질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비록 통상적으로는 폭력경험이 간호서비스 질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자신의 감성을 활용하고 조절할 수 있는 감성지능이 실제 더 중요한 서비스 질의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성지능은 교육과 훈련으로 향상될 수 있으므로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간호사 인식도 비교 (Comparison of Expectation-Perception between Patient and Nurse on Nursing Care Service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 윤호순;임지영;강민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07-522
    • /
    • 2017
  • 본 연구는 Parashuraman, Zeithmal과 Berry가 개발한 SERVQUAL 모델을 이용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이용한 환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보다 환자중심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간호간병서비스에 대한 환자 만족도 및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192명과 환자 321명을 대상으로 간호서비스에 대한 기대-인식 차이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제공된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기대 정도와 간호사의 수행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가 환자 중심의 전인간호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간호서비스 수행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간호사가 환자의 기대를 잘 인식하고 있어도 이에 부응하는 간호서비스를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차이에 대하여는 추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보건복지부와 병원 당국 그리고 간호부서간의 조정과 협력을 통하여 발전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인 PZB의 SERVQUAL 모델을 적용하여 환자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기대 수준과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면서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를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을 제안한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Nursing Service Quality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 여수연;송인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31-340
    • /
    • 2022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간호조직문화 및 의사소통능력이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 300병상 미만 중소병원 간호사 16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8월 22일부터 8월 30일까지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요인은 간호전문직관(𝛽=.485, p<.001), 의사소통능력(𝛽=.354, p<.001), 위계지향조직문화(𝛽=.154, p<.01) 순이었다.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는 64.75(p<.001)의 F 통계량으로 유의하였으며, 54.6%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간호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Nursing Services in General Hospital Nurse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이명준;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126-7137
    • /
    • 2015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요인(A형 행동유형, 자기존중감, 통제신념, 불안),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수준이 간호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의 6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503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공분산 구조분석에 의한 연구결과, 사회심리적 요인은 직무스트레스나 피로보다 간호서비스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심리적 요인에서 자기존중감이 높고, 불안감이 낮으며, 직무스트레스와 피로도가 낮을 수록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간호서비스의 질은 사회심리적 요인(자기존중감, 불안),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간호서비스 성과 측정의 새로운 접근 (A New Approach to the Nursing Performance Measurement)

  • 박창규;정면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01-414
    • /
    • 1999
  • 향후 더욱 경쟁적인 상황에 놓이게 될 보천의료 분야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보건의료 조직은 간호부서의 성과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성과 향상을 위한 노력은 정확한 성과의 측정이 함께 이루어질 때 가능하게 된다. 간호서비스의 성과 측정은 여러 각도에서 조명되고 측정이 이루어져야하며 간호관리자는 총괄적인 성과측정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사전 준비작업으로 무장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본 논문은 간호 서비스의 성과측정방법에 대한 고찰, 즉 생산성, 효율성, 간호의 질, 수익성. quality of work life에 대한 간호분야에서의 접근방법을 재정리하고, 새로운 총괄적인 성과측정방법의 개념을 제시한다.

  • PDF

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만족, 간호서비스 질의 관계 (The Relationships in Emotional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Nursing Service in Hospital Nurses)

  • 장라진;강영실;김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26-33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급별 간호사들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간호인력 관리와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G도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 1곳과 종합병원 2곳에서 일반간호사 195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7일부터 4월 28일까지 자료수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감성지능과 간호서비스 질이 각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624, p<.001, r=.612, p<.001).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이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430,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모두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을 증진시킴으로써 간호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감성지능과 간호서비스 질 간의 높은 관련성으로 볼 때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특성에 맞게 간호사의 감성지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업무 환경 조성 및 감성지능 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연령 및 경력이 낮은 간호사를 중심으로 감성지능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시점별 직무만족도 및 삶의 질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and General Wards in a Tertiary Hospital)

  • 하유미;하은호;김지희;김효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6-66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INCSW) 및 일반병동(GW) 간호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을 비교, 분석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를 도입한 의료기관의 간호 질 향상과 고품질의 간호환경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K 병원 INCSW와 GW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88명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6개월 동안 추적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INCSW와 GW는 6개월 동안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삶의 질은 '전반적인 삶의 질'(1차 p=.033, 2차 p=.030)과 '전반적인 건강상태'(1차 p=.049)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 차수별 비교에서는 '조직별 인정 및 전문적 성취'(2/3차 p=.037)와 '존중과 인정의 인간관계'(1/3차 p=.005, 2/3차 p=.006)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INCSW의 삶의 질을 차수별로 비교한 결과 '전반적 삶의 질' 항목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1/3차 p=.025, 2/3차 p=.010).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 인력의 숙련도와 환자 요구도를 반영한 인력배치, 배치 전 직무 교육 및 조직문화 개선 등의 기간별 다양한 간호중재전략을 개발한다면 INCSW와 GW 간호사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