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대학 신입생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ollege Freshmen)

  • 주원식;변은경;이경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309-316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정도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대학 신입생 20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3.75±0.73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t=3.947, p<.001), 연령(F=3.445, p=.032), 전공(F=5.539, p=.001), 가족형태(F=6.958,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지각된 스트레스(r=-.696, p<.001), 우울(r=-.507, p<.001)과는 부적상관관계,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r=.567, p<.001)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연령, 전공, 가족형태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0.4%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 능력을 함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언택트 시대,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Untact Era,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Ability, Self-esteem on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Freshman)

  • 정순영;강균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85-94
    • /
    • 2022
  •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의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W시에 소재한 일 개 대학 간호학과 1학년 33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05월 11일에서 2020년 05월 21일까지였고, 수집된 자료는 t-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 능력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 능력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 하부요인은 의사소통, 이해성, 개방성, 민감성,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언택트 시대에 간호학과에 입학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대인관계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활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중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학과만족도와 자아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on College Life Adaptation)

  • 장현정;이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93-9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자아정체감,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학교 신입생 210명을 연구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22.0 프로그램으로 하였다. 대학생활적응과 학과만족도(r=.216, p<.001), 자아정체감(r=395, p<.001)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을 예측하는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F 통계값은 12.22, 유의확률은 .000으로 제변수들이 유의수준 0.1에서 대학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대학생활적응도를 44%가 제변수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제변수들을 고려하여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대학생들의 적응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 대학 신입생들의 고혈압관련 지식과 건강행위 이행정도 (High Blood Pressure-Related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 정혜선;조옥희;유양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5-295
    • /
    • 2009
  • Purpose: This study surveyed first-year college students on their knowledge of hypertension and their health behavior to obtain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hypertens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Method: Subjects were 561 first-year students at a college in Chungcheongbuk-do, Korea.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01 October to 08 December 2007. Data analysis involved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for Windows. Results: Of the total subjects, 149 (26.6%) had a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253 (45.1%) knew their blood pressure, 365 (65.9%) did not measure blood pressure, and 388 (69.1%) were not interested in knowing their blood pressure. Subjects' knowledge related to hypertension averaged 11.54 points out of 22, hypertension-related health behavior averaged 2.31 points out of 4. With a higher score indicative of increased attention paid to healthy behavior. Conclusion: Knowledge of blood pressure and characteristics of hypertension and management of both blood pressure and hypertension can be inadequate in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creased knowledge of hypertension may lead to better health behavior.

간호대학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First-Year Nursing Students)

  • 이현주;김덕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2-102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jus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first-yea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research involved 250 nursing freshmen at two local universities and analyzed data from the final 170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the Kruskal-Wallis test, the Mann-Whitney U test,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was assessed following Baron and Kenny's three-step verification procedure,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determined by bootstrapping. Results: Academic adjustment (β=.24, p<.001)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β=.20, p=.004), sub-factors of college adjustment, were ident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β=.47, p<.001). Conclusion: Enhanc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irst-year nursing students could become more effective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cused on career exploration and counseling, which include content to promote self-leadership and college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간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Students)

  • 최효진;이은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1-26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studen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396 first year nursing students from 3 junior colleg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ith PASW 18.0 and AMOS 18.0 programs. Results: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bu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effectively promote the self-efficacy of first year nursing students to decrease academic stress and maximize college adjustm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which other factors that could affect college adjustment are examined.

전문대학 신입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Freshman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Esteem)

  • 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287-295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대학 신입생의 우울이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신입생 21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와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은 우울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기 효능감은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신입생을 대상으로 우울검사를 실시하여 우울 정도가 높은 학생들에게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낮은 전문 대학 신입생들은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개입에 있어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전문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ollege Freshmen's Intention to Drop Out)

  • 송영아;김신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57-27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A전문대학 1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2017년 10월 16월부터 10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설문지 1369부를 t-test, ANOVA 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개인 요인, 가정 관련 요인, 교육기관 관련 요인, 사회 관련 요인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개인 요인 중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반적인 대학 만족도, 전공이 본인과 맞다고 생각하는 정도 등이었다. 둘째, 가정 관련 요인 중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와 가족이 대학생활을 잘하도록 독려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기관 관련 요인 중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학과의 교육과정 만족도, 자신이 속한 학과 소속감 정도, 교수가 진로 비전과 자부심을 심어주는 정도, 대학 교육시설 만족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 관련 요인 중 학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진학이 인생에서 잘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정도, 대학에서 배우는 지식이 자신의 삶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학업지속을 위해 교수, 교직원, 대학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고 신입생들의 학업중단율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대학신입생의 정서표현성과 발표불안 관계에서 긍정적사고의 매개효과 (Positive Thinking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vity and Public Speaking Anxiety of University Freshmen's)

  • 김자숙;김종혁;박아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125-133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정서표현성과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긍정적사고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일개대학의 신입생 146명을 편의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version을 이용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와 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정서표현성과 발표불안에서 긍정적사고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2단계에서는 정서표현성이 발표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3단계에서는 정서표현이 발표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긍정사고는 발표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긍정적사고는 정서표현성과 발표불안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유의하였다(z=-4.57, p<.001). 대학신입생의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긍정적사고를 증진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유학생 참여 기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on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 홍경진;한정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9-39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contact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and to report on the program's effect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d contact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was developed, and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comprised 32 participants, and the control group comprised 26 participa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to collect data. Result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mean score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before the intervention were 3.67 and 3.84, respectively, while their mean scores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3.87 and 3.69, respectively. After the intervention, both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ore an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 improved to 4.02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ft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Conclusion: The study's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cluding contact and communication with persons from multiple culture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s, women who immigrated for marriage, im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