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대학 교수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초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태도 측정도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Scale (CSAS) for Nursing Students)

  • 송미옥;윤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45-355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s Scale (CSA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6년 6월 1일부터 15일 사이에 일 지역 2개 간호대학의 1학년부터 4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2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CSAS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tatistics SPSS 21.0, IBM Statistics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였다. 도구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베리멕스 회전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4개 요인이 추출되었지만 이론의 구조 및 해석가능성을 고려하여 긍정태도, 부정태도 2개 요인으로 범주화한 19문항을 확정하였다. 도구의 내적 구조를 도식화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는 ${\chi}^2=446.475$(df=148, p<0.001), TLI=.90, CFI=.91, RMSEA=.07, SRMR=.05로 매우 적합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19개 문항 2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최종 도구를 확정하였다. 최종 도구의 $Cronbach^{\prime}{\alpha}=.90$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의사소통 태도 측정도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에 대한 다양한 교수전략의 효과를 모니터링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나는 임상판단과정 분석 (Analysis of Students' Clinical Judgment Process During Nursing Simulation)

  • 심가가;신현숙;임다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30-13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 간호학 실습 교육의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일어나는 임상적 판단과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CJR을 적용한 기술적 서술 연구(descriptive study)로 진행되었다. S시에 소재한 2개의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9월부터 2014년 12월 까지 모의 환자를 포함한 발열 시나리오와 무호흡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 대학생의 임상판단 점수는 남학생 30.50(${\pm}2.77$)점, 여학생29.32(${\pm}2.67$)점이었으며, 무호흡 시나리오 임상판단 점수($31.20{\pm}2.84$)가 발열 시나리오 점수($28.71{\pm}2.63$)보다 높았고, 학습자의 자가평가(.911)와 교수자의 평가(.921)에서 반응(responding)영역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자가 평가 간 비교에서는 해석(interpreting)영역과 반영(reflecting)영역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임상 판단력을 높일 수 있는 실습과정을 수정 및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이 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내에 디브리핑 동안에 학생들의 간호 수행과 판단을 토론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플립러닝의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Nursing Students in Korea)

  • 구희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70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를 체계적 고찰을 통해 통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메타분석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11월 20일에서 12월 20일까지 코크란 연합의 체계적 고찰 보고지침을 준수하여 진행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된 논문은 RISS 72건, KISS 11건, Dbpia 46건 총 129편이었으며, 중복논문 제거 및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9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 수업을 적용한 결과 플립러닝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0.91(Z=8.36,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0.35(Z=2.62, p=.009),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0.81(Z=6.53, p<.001), 학업성취도 0.60(Z=5.18, p<.001), 자기효능감 0.66(Z=4.79, p<.001)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플립러닝은 국내 간호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하였고, 플립러닝 수업설계 방향성에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플립러닝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다양한 결과 변인들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lass with Flipped Learning on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혜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277-28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 플립러닝 수업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 참여를 허락한 실험군 42명과 대조군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플립러닝을 적용한 수업을 받은 실험군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수업 전에 비해 수업 직후(t=3.49, p=.001)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업 후 10주(t=-0.75, p=.456)에 효과가 지속되었다. 실험군의 비판적 사고능력 점수는 수업 전에 비해 수업 직후(t=3.49, p=.001)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업 후 10주(t=0.11, p=.913)에 효과가 지속되었으나,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플립러닝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학 전공교과목에서 플립러닝 교수법 적용을 확대해야 함을 제언한다.

COVID-19 온택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영상 제작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VID-19 On-Contact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Video production class and Real-time video class)

  • 양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21-328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 유행으로 온택 학습상황에서 교수제작 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에 따른 수업의 질,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의 수준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개의 대학에서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의 질은 실시간 수업에서 높았고(t=-2.69, P=0.02), 학습몰입은 동영상 수업에서(t=-1.14, P=0.28), 학업성취도는 동영상 수업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4.24, P=0.01). 수업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교수제작 동영상 수업에서는 학습몰입(β=.37, p<.001)이,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는 수업의 질(β=.29, p<.001)이 학업성취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수업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설계의 전략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스마트 교육에 기반 한 전문대 학생들의 간호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과 (College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ing Nursing English Based on Smart Education)

  • 김훈희;정대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21-630
    • /
    • 2015
  • 본 연구는 J대학에서 스마트 교육 지원 방안으로 구축된 모바일 학습 체제의 간호영어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과정은 2014년 3월부터 12월에 걸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간호학부 1학년 전체 학생 342명(남학생 39명, 여학생 303명)이었으며 학습 만족도 분석은 설문지를 통해 성취도 검사는 3명의 간호학 전공 교수진에 의해 제작된 평가지를 사용했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실시했다. 분석 결과,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주로 사용하는 기기', '이용 시기', '사용 일수', '하루 평균 이용시간', '이용 장소' 등 모든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 만족도의 하위항목(주제 및 내용, 유용성, 학습 역량)들 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시점별 점수의 변화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암기 위주의 반복적인 학습이 효과적인 간호영어는 제한된 장소에서 교재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이동성을 갖고 수시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끌어내는 모바일 학습이 함께 이루어질 때 더욱 이상적인 학습 시스템이 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모형의 효과 (The Effect of a Teaching Model for Improv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y)

  • 최경숙;이우숙;박연숙;전명희;이소영;박연우;박수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0-10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a teaching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TMCC) for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6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of 121 seniors was taught a 13-week teaching model in order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e. A control group with 47 junior students underwent nursing major courses, but did not take this teaching mode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tudents'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for Cultural Competence (QCC) consisting of three sub-scales: "awareness and desire," "encounter," and "nursing skill and knowledge." Results: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Questionnaire for Cultural Competence in the three sub-scales of "awareness and desire," "encounter," and "nursing skill and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 (p=<.050). Conclusion: A teaching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ultural competency. Further studies need to be repe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odel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y with graduate or clinical nurses.

간호교육에서의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GSRS) 적용 효과: 학습몰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GSRS) on Nursing Education : Focusing on Learning Engagement)

  • 황지원;김정애;황슬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56-166
    • /
    • 2021
  • 본 연구는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간호교육에서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비교집단)의 학습몰입을 중심으로 비교한 실험연구이다. 2019년 10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일개 간호대학생 211명이 참여하였다. 학습몰입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t-test를, 관련 요인과는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간 학습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학습몰입(p=.013), 정서몰입(p=.002)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국내 처음으로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몰입의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COVID-19 대유행 이후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 예측요인 (Predictor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COVID-19 Pandemic)

  • 안준하;손장훈;김수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451-46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COVID-19 대유행 이후 시행된 온라인 학습의 만족도와 교수의 강의역량,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 준비도, 전공 만족도가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5개 지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17일부터 10월 5일까지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30부의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강의역량 중 교육방법(β=.43, p <.001)과 온라인 학습 준비도 중 자기주도적 학습(β=.33, p <.001), 전공 만족도(β=.21, p <.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기존 on-campus 방식을 탈피하여 온라인에 적합한 교육 방법을 고안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주도적 학습이 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일 전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College students)

  • 변은경;김예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521-528
    • /
    • 2022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전문대학생 2,9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3.56±0.66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학부(F=9.932, p<.001), 학과 친구의 수(F=5.681, p<.001), 친밀한 교수 여부(t=-3.739,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지각된 스트레스(r=-.543, p<.001)와 부적상관관계, 자기효능감(r=.667, p<.001), 대인관계능력(r=.679,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β=-.191, p<.001), 자기효능감(β=.280, p<.001), 대인관계능력(β=.394, p<.001)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6.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