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호단위관리자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in Hospitals (병원간호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미치는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Kim, Soon-gu;Seo, Young-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282-289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s nurse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4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The data was collected with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and Amos 18.0.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cial capital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between the head nur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ocial capital is recommended.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간호단위별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Youngjin;Seomun, Gyeong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355-36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A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using questionnaires with 267 nurses in 24 nursing units of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in November 2013 an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nurse turnover intention is associated with the nurse practice environment at the unit level. In addition, the model including age,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explained 23.0% of the variance for nurse turnover intention. Hospital can improve nurse retention and lower turnover intention by changing the nurse practice environment of unit, such as nurse participation in hospital affairs, improvement of the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Effect of Job Stress and Perception of Unit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on the Clinical Nurses' Intention to Stay (직무 스트레스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단위 관리자의 진성 리더십이 임상간호사의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Hye-Ja;Chae, Duckhee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32 no.3
    • /
    • pp.99-11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job stress and perception of unit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on clinical nurses' intention to stay in nursing. Methods: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utiliz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tudy recruited a convenience sample of 211 clinical nurses from threertiary hospitals in South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ly and August 2021.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clinical nurses' intention to sta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tress (B=-0.06, 95% CI [-0.09, -0.04]), six or more years of clinical practice (B=0.60, 95% CI [0.13, 1.07]), men (B=0.87, 95% CI [0.30, 1.44]), and being placed on their desired nursing unit (B=0.39, 95% CI [0.27, 0.76]). Intention to stay was not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uthentic leadership by the unit managers.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workplace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prevent and reduce job stress among nurses to retain proficient clinical nurses. Additionally, nursing workforce management strategies tailored to the specific sex and career path of nurses are necessary. Moreover,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nursing unit placements that align with the individual aptitudes of nurses.

Antecedents factor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Nursing Unit Manager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간호단위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선행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Kim, Sunm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4
    • /
    • pp.443-45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nduct a meta-analysis on the antecedents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ursing unit managers. Literature was collected according to the PRISMA guidelines, and the antecedent factors of 23 stud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23 studies large effect size (ESzr=.54). Antecedent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the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group had the largest effect size (ESzr=.56). This study is an integrated presentation of the effect size of the antecedent 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rough a meta-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nursing unit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mprovement.

HOME NURSING CARE NEEDS IN RURAL KOREA (한국 농촌 지역의 가정간호 요구에 관한 연구)

  • KIM, SUNG SIL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8 no.1
    • /
    • pp.44-69
    • /
    • 1988
  • 보건의료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었다 하더라도 의료의 혜택이 필요할 때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제공될 수 없는한 전체 국민의 건강요구를 포괄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나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 집단의 최소 단위인 가정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합리적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정간호 요구의 사정 및 가정간호 수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가정 간호(Home Nursing Care, Home Health Care)는 추후관리를 받아야 할 대상자, 고령자, 만성질환자에게 규격화되어 있는 병원간호를 가정이라는 친숙한 분위기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가정 중심의 심리적 안정은 물론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적 간호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농촌가정의 가정간호의 요구는 무엇이며 그 요구의 원인은 무엇인가\ulcorner 둘째, 농촌가정에서 가지고 있는 상병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행하여 지고 있는 가정간호의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가정간호 수행자는 누구이며 이에 대한 수혜자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의 방법은 1985년 6월 18일 부터 8월 7일 까지 C군에 거주하는 주민중 11개소 보건진료소가 소재한 반의 주민 전체 1,027명 중 상병자 159명과 30세 이상의 인구 440명, 가구주 239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으로 질문지를 기록케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첫째 간호요구의 측정을 위한 도구로 Virginia Henderson의 기본간호활동 14가지를 기초로 지역주민 50명과 현직 간호원 50명에게 개방질문으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며 둘째, 가정간호수행에 대한 도구로 Orem의 간호이론 중 간호방법 5가지를 근거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보건진료원에 의하여 사정된 간호요구와 그 원인들을 인간의 기본요구 영역별로 분류하여 가정간호진단을 위한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정 및 진단도구로 쓸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상병자에 대한 가정간호 수행은 수행빈도와 수행내용에 따른 수행자와 수행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1. 가정간호요구에 대하여 1) 가정간호요구 측정은 신체영역 중 몸을 청결히 하고 몸차림을 단정히 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내용에서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옷을 맞추어 조절하기의 요구, 적절한 식사와 수분섭취하기 내용에서 배변의 요구, 또한 몸을 움직이고 바람직한 체위를 유지하기 내용에서 한가지 자세를 계속하기의 요구가 높았고 정상호흡하기 내용에는 일상활동시 호흡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었다. 사회, 심리, 영적 간호요구 영역에서는 자신이 신앙에 따라 예배하기 내용에서 신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요구가 높았으며 여러가지 오락의 형태를 취하여 이에 참여하기 내용에서는 취미생활의 요구가 높았다. 2) 가정간호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의 가정간호요구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내용별 요구의 차이는 없었다. 2. 가정간호수행에 대하여 1) 가정에서 수행되는 가정간호내용으로는 직접간호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내용으로는 구강청결, 옷 갈아 입기, 투약, 음식투여, 대ㆍ소변보기의 빈도가 많았다. 건강한 환경제공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적당한 실내온도 유지하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내용에서는 투약요령 알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보호와 지지내용과 교육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현 상태 인정하기와 투약 방법에 대한 교육하기의 간호수행빈도가 가장 많았다. 2) 간호수행자에 있어서 직접간호 수행은 본인 스스로 하는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 및 교육의 간호수행은 전문가가 많았고 보호와 지지간호는 가족이 많았고 건강한 환경제공간호는 배우자에서 더 많았다. 3) 간호수행자에 대한 만족도는 직접간호 방법에서는 가족이, 안내와 지도는 배우자가, 보호지지, 건강한 환경제공 및 교육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간호수행 만족도가 높았다. 4) 상병상태에 따른 주 증상은 관절통 요통이 가장 많았고 상병자는 남자가 많았고 주 중상에 대한 성별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 가정간호요구와 정도 및 가정간호 수행의 내용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개선책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Job Analysis of the Nursing Unit Managers of Women's Hospital Using DACUM Analysis (DACUM 직무분석 기법을 이용한 여성병원 간호단위관리자의 직무분석)

  • Son, Kyoung-Suk;Cho, Kyung Sook
    • Women's Health Nursing
    • /
    • v.25 no.3
    • /
    • pp.239-257
    • /
    • 2019
  • Purpose: To analyze the job of nursing unit managers working at women's hospital, using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is a method for analyzing job-focused competency. Methods: This study involved a descriptive survey. A DACUM workshop was held to define women's hospital nursing unit managers' role and identify their duties and tasks. For the workshop, a committee was formed consisting of 5 women's hospital nursing unit managers. Finally, after validation, the developed contents were made into a survey asking about nursing unit manager's duties and tasks. Results: Sixteen duties and 83 tasks were identified on the DACUM chart.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the tasks were ranked in terms of A, B, and C, with A being the highest degree. Eight tasks received A's all in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performance. The 8 tasks were: 'taking over', 'taking care of seriously ill patients on handover', 'ward rounding', 'analyzing and resolving demands identified during handover and patient tour', 'reporting patient status during rounding', 'promoting breast-feeding', 'uterine contraction, and training for breast-feeding'. The duty with the biggest determinant coefficient (DC) was 'patients complaint management' (DC=7.09). Based on tasks, the one with the biggest DC was 'solving patient and patient guardian's complaints' (DC=7.53), followed by 'making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DC=7.5). Conclusion: When expanding the nursing staff of the hospital, women's hospitals nursing unit managers also need to use administrative functions as intermediaries to focus on the operation management of the entire hospital rather than direct nursing to suit their role.

A Meta-Analytic Path Analysis on the Outcome Variables of Nursing Unit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간호단위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결과변인에 관한 메타경로분석)

  • Kim, Sunmi;Jeong, Seok 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50 no.6
    • /
    • pp.757-77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utcome variables of nursing unit manag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o test a hypothetical model using meta-analytic path analysi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PRISMA guidelines. Data analysis, conducted using R version 3.6.2 software, included 49 studies for the meta-analysis and 119 studies for meta-analytic path analysis. Results: In the meta-analysis, four out of 32 outcome variables were selected. These four variables were empowerment,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showed larger effect sizes than the median and more than five k. The hypothetical model for the meta-analytic path analysis was established by using these four variable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 total of 22 hypothetical paths including nine direct effects and 13 indirect effects were set and tested. The meta-analytic path analysis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direct effects on the four variables. Finally, eight direct effects, 12 indirect effects, and six mediating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hypothetical model was verified. Conclusion: Nursing unit managers can us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improve empowerment,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This study empirically showed the importa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ursing managers. This finding will be used as evidence to develop strategies for enhanc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ing science and practice.

A study on the value orientation of nursing unit managers and nursing organization performances (간호단위 관리자의 가치지향성 리더쉽유형과 간호조직성과의 관계)

  • Han, Su-Jeo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9 no.2
    • /
    • pp.159-170
    • /
    • 2003
  • Purpose :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 of the value orientation of the nursing unit manager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ursing unit nurse. Method : We used the systematic questionnaires as a study tool. The contents were composed of 46 questions in total such as 4 questions of general feature, 23 value-oriented questions, 10 job satisfaction questions, and 9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August to September 2000. Result : 1) The value of flexibility was 3.82 points (${\pm}.3788$), which is above average. The values of equalitarianism was 3.37 points (${\pm}.4422$), which is above average. 2) The leadership pattern according to the value orientation perceived by the head nurses in 6 clusters has been divided into 3 patterns of change-oriented leader, task-oriented and stability-oriented leader. 3) The nurses who worked with the change-oriented leader showed higher values of job satisfaction (F=5.941, p=O.003), and affective commitment (F=5.793, p=O.003) than those who worked with the stability-oriented leader. Conclusion : As revealed in this study, we think that we have to consider that the change-oriented leader can produce higher performance of an organization than the stability-oriented leader, and write th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al courses of leadership development or workshops etc. in order for the nursing unit managers to play their roles for the effective ward-unit management.

  • PDF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regarding Workplace Bullying: A Q Methodology Approach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Q 방법론적 접근)

  • Choi, Jin Kyu;Lee, Byoungsoo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9 no.5
    • /
    • pp.562-57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regarding workplace bullying. Methods: Q methodology was used to identify the response patterns. Thirty-six Q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Q population of 210 that included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linical nurses and nursing managers. Participants were 30 nursing unit managers who had experience managing workplace bullying and they classified the Q samples into a normal distribution frame measured on a nine-poi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Five types of response patterns were identified: (1) sympathetic-understanding acceleration, (2) harmonious-team approach, (3) preventive-organizational management, (4) passive observation, and (5) leading-active intervention. The preventive-organizational management type was most frequently used by the nursing unit manage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nursing unit managers attempted to prevent and solve workplace bullying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duct leadership training and intervention programs that appropriately address the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such as those identifi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