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과정수행능력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2초

융복합 시대 준비를 위한 국내 간호대학 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연구(1996-2014) 동향 분석 (A literature Review (1996-2014) on Critical Thinking in Korean Nursing Education for the Era of Convergence)

  • 하나선;박소영;이미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41-349
    • /
    • 2015
  •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에 중요한 능력인 비판적 사고와 관련되어 국내 간호대학 교육에서 연구된 논문(1996-2014) 75편을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고찰 결과 2006년을 기점으로 비판적 사고 관련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수준에서 경로모형 구축까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판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력, 연령, 교우관계, 학업성적, 임상실습 기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습방법 등이 확인되었으며, 비판적사고 성향이 높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 인지된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문제해결 능력, 임상수행능력, 감정조절, 의사소통 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는 단기간에 획득, 향상되기 어려우므로 지금까지 연구에서 확인된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원인 및 결과변수를 바탕으로 간호교육과정에서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일 지역 병원 간호사와 간호관리자가 인식하는 간호핵심역량 중요도 및 만족도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Nursing Core Competency of Nurses & Nurse Managers in a Community Hospitals)

  • 김상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844-2851
    • /
    • 2013
  • 본 연구는 현장실무중심 간호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하여 일 지역 병원 간호사와 간호관리자가 인식하는 간호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12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K 지역에 소재한 중소병원 간호사와 간호관리자 136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AS/WIN 9.1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ANOVA와 Duncan test를 시행하였다. 간호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는 근무경력, 근무부서, 직위, 채용기준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만족도는 중환자실 근무자가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F=0.54, p=0.01). 간호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는 간호사(t=12.64, p<0.0001), 간호관리자(t=6.20, p<0.0001) 두 집단내에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호핵심역량 중 간호사는 전문지식 역량을, 간호관리자는 인성 역량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인성 역량은 두 집단에서 가장 만족한 것으로, 외국어 활용능력 역량은 가장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업체와 교육계에서는 간호사들의 전문직역량을 증진시키고 간호학생들의 인성과 외국어 능력 등을 포함한 교양교육의 강화를 위한 작업을 서로 밀접하게 수행할 필요가 있다.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이 일 대학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SICPP)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in a Nursing Student)

  • 김덕희;이윤정;황문숙;박진희;김희선;차혜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99-509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Program (SICPP) for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Methods: A non-equivalent pre-post test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One hundred thirty-on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6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62 in the control group. We developed a SICPP taking 3 hours per session, once per week for 10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nursing clinical competence (t=2.72, p=.008) and critical thinking(t=2.18, p=.031)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0.36, p=.720)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SICPP can be used as an integrative program for enhancing the core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However, a SICPP to promot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needs to be more developed and research related with SICPP is further needed.

간호학생이 인지하는 성(Sexuality)건강 간호 장애 요인 : 성 태도와 신념에 관한 연구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on Sexuality : Sexuality Attitudes and Beliefs Survey)

  • 장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355-363
    • /
    • 2014
  • 성 건강은 인간 삶의 핵심적인 영역으로 최근 간호 실무에서 성 건강 사정과 상담은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본 연구는 성 건강 간호 수행과 연관되어 간호학생이 느끼는 성 건강 간호의 중요성과 어려움, 성 건강 간호에 대한 자신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간호학생의 성 태도와 신념을 조사하고 연령, 성별, 교육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성 태도와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4년제 간호학과 3학년 이상 학생으로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2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성 태도와 신념은 평균 44.9점으로 성 건강 관련 간호 수행에 상당히 어려움을 있으며, 성 건강 간호에 필요한 시간을 만들지 않으며(86.9%), 환자의 성 문제를 다루는 자신의 능력을 확신하지 못한다고 인지하는 것(76.2%)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p=0.03)과 종교(p=0.02)에 따라 성 태도와 신념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학생들에게 성 건강 간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성 건강 간호 관련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간호학 전공교과목에 적용한 창의적 교수법이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technique applied to nursing major curriculu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elf leadership)

  • 금란;서임선;김태희;한숙원;김민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73-382
    • /
    • 2019
  •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3개 학년 5개 전공교과목에 기억력과 실용능력 증진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일부를 적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셀프리더십에 대한 영향 여부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행되었으며 창의적교수법 적용 전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적용 결과 학년별로 1개 교과목에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한 1학년의 경우에는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셀프리더십에 차이가 없었으나, 2개 교과목에서 유사한 교수법을 반복하여 적용한 2학년과 3학년의 경우 비판적 사고성향은 6.8점(p<0.001), 문제해결과정은 7.5~7.9점(p<0.001), 셀프리더십은 2.9~3.3점(p<0.001) 향상되었다.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교과목에 여러 가지 교수법을 적용하는 것보다 1~2가지 방법을 여러 교과목에 반복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창의적 교수법은 적성과 흥미에 따라 전공을 선택한 그룹에서 보다 효과적이었으므로 추후 전공에 대한 흥미를 촉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객관구조화 임상시험을 활용한 간호수행능력의 Six Dimension Scale과 간호학생 스트레스 평가지수의 도구 평가-천식 및 1형 당뇨 모듈을 중심으로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and Student Nurse Stress Index Using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 Modules for Asthma and Type 1 Diabetes)

  • 박경옥;안영미;강나래;이미진;손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85-93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Six-D Scale)와 간호학생 스트레스 평가지수 (SNSI)의 한국어 버전 개발 과정을 기술하고, 천식 및 1형 당뇨 모듈을 내용으로 한 시뮬레이션 기반 객관구조화시험(OSCE)을 이용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단편적 서술연구이며, 4년제 간호학과 4학년 학생 5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를 이용한 내적 일관성을 평가하였고, OSCE는 검사자간 신뢰도를 계산하였다. 타당도 평가는 Six-D Scale과 SNSI의 하부영역을 OSCE, 평점 및 자아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구성타당도로 확인하였다. 결과 두 도구의 Chronbach's ${\alpha}$는 .82-.95였고, OSCE의 검사자 간 신뢰도는 .75 (천식)-.87 (당뇨)이었다. Six-D Scale은 OSCE (r=.109-.272) 및 자아효능감과(r=.005-.161)는 양의 상관관계를, 평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r= -.246 ~ -.394)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SNSI는 OSCE (r= -.007 ~ -.238), 평점(r=-.092 ~ -.426) 및 자아효능감(r=-.246 ~ -.394) 모두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OSCE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간호수행능력의 Six-D Scale, SNSI 모두 적절한 신뢰도를 보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 간호학생스트레스 도구는 적절한 타당도를 나타내었으나, Six-D scale은 적용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가 보고형 임상수행능력 평가는 좀 더 다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이 더욱 깊이 있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며, 간호학생의 스트레스는 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간주되어 연구 및 교육에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 김윤희;장금성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45-255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regarding care in a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as related to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Methods: A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ifty new nurses were recruited, 26 nur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nurses for the control group. The simulation-based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education included lecture, skill training, team-based practice, and debriefing, and it was implemen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week in May, 2009.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ratio, chi-square, Fisher's exact probability and t-test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t=5.76, p<.001)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5.86, p<.001) for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o had traditional education but problem solving process was not included (t=1.11, p=.138).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 simulation-based education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ew nurses learning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 simulation-based team discussion on cognitive outcome of clinical nurses such as problem solving skills.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예측요인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 신연화;이해정;임연정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7-47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8 nurses at 13 general hospitals who have had less than 12 months of nursing experie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ugust 5 to August 31 of 2009 and analyzed by the SPSS Win 12.0 program. Results: The total mean score for clinical competence was $181.05{\pm}15.17$,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94.65{\pm}8.12$, and practice environment was $41.00{\pm}5.5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GPA (t=-3.58, p<.001), the number of beds in the hospital (t=-3.22, p=.001), instruction by preceptor (t=-2.32, p=.021), and previous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in the hospital (t=-2.21, p=.028). Additionall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actice environ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clinical competence (r=.50, p<.001; r=.20, p=.002). In multivariate approach, predictors included in this study explained 43% of variance in clinical competence. Significant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a=.50$, p<.001), practice environment ($\beta=.14$, p=.012), and working duration ($\beta=.13$, p=.018).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eded that providing supportive practice environment and developing curriculum for enhancing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기본간호학 실습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a Funder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 유문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0-70
    • /
    • 2000
  • It was reported that nursing students had most difficulties in clinical competency due to their short of knowledge and skills in nursing care. Environmental difference between laboratory in nursing school and hospital was another difficulty to them. This implicated that more preclinical competency education is needed in fundermental nursing to achieve skills of care and the laboratory environment of nursing school had to be impro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tents, total lecture and practicum house of the fundermental nursing education in nursing schools. It was also examine the difference of contents between hospital in-service education and nursing school. It'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with study sample of 56 nursing professors who teach fundermental nursing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used in collecting data. The result showed that practicum hours total 96.8 hours which was 59% of funderm nursing course. The education regar medication account for large numbers of h Aseptic technique, elimination care, vital oxygen related care were the next common contents. When compared with hospital in-service education, 76% of the education were the same. This suggested that pre-clinical education in fundermental nursing needed to be enforced in its contents & education hours to establish clinical practice centered nursing education.

  • PDF

핵심기본간호술을 통한 첫 간호의미 경험 (The Experience of Frist Nursing Meaning amo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 김미화;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6
    • /
    • 2021
  • 본 연구는 임상실습전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을 통해 간호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M대학교 간호학과 재학 중인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실습경험이 없고, 핵심기본간호술기수업을 후의 면담을 통해 분석되었다. K시 일개 대학의 3학년 재학생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을 처음 실시한 학생을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와 19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 되었다. 3개의 범주에는 1. 도움의 의미 2. 두려움의 극복, 3.간호술기습득 기회로 이었으며, 결론은 임상실습전 첫 핵심기본간호술은 서로에 대한 도움으로 간호의 진정한 의미를 알아가는 시간이었으며, 반복되는 연습으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고, 새롭게 알게 된 핵심간호술기의 습득은 자신감을 가지는 경험하게 되는 효과적인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본질적인 간호의 철학을 가지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핵심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 향상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