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보호효과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양배추 추출물의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 효과 (The Effects of Protecting Liver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on Cabbage Extract)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389-395
    • /
    • 2019
  • 본 연구는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고 부작용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지 양배추출물의 간보호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약물(APAP)에 의해 유도된 간손상 동물모델에서 수행된 실험에서, 양배추 추출물은 간손상 마커인 AST 및 ALT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간 보호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양배추 추출물은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추출물로서 유효하다는 것이다. 특히, 양배추 추출물은 간손상에 수반되는 급성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염증 매개체 iNOS 및 COX-2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1{\beta}$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간염 염증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 결과, $100{\sim}150^{\circ}C$에서 열처리 한 배추 추출물은 생배추 추출물에 비해 간기능 개선 효과 또는 항염증 효과가 우수 하였다.

사염화탄소 투여로 간독성을 유발한 쥐에서 생강열수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Ginger Aqueous Extracts on $CCl_4$-induced Hepatic Damage in Mice)

  • 구성욱;이근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41-446
    • /
    • 2012
  • 이 실험의 목적은 사염화탄소 투여로 간독성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생강열수추출물의 간보호 작용을 알아보는 것이다. 생강투여군과 실리마린투여군은 사염화탄소(4 ml/kg)를 투여하기 전 3일동안 생강(500 mg/kg), 실리마린(50 mg/kg)을 경구 투여하였다. 혈청화학적 검사에서 생강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AST, ALT가 유의적 감소(p < 0.05)가 인정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 평가에서도 생강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변성 및 신장변성이 유의적 감소(p < 0.05)가 인정되었다. 이 결과 생강열수추출물의 경구투여가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독성 마우스에서 간보호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CCl_{4}$ 투여 흰쥐에서 부추의 간보호 작용 (Hepatoprotective Properties of Allium tuberosum in CCl$_{4}$ intoxicated Rats)

  • 하헌;윤수홍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3호
    • /
    • pp.205-208
    • /
    • 2005
  • 대표적 간장해 유발 물질인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급성 간독성에 미치는 한국산 부추(Alluim tuberosum) 에탄을 추출물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사염화탄소 투여로 혈청 AST (aspartate transaminale), ALT (alanine tranlaminase)와 ALP(alkaline phosphatase)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부추 에탄을 추출물의 투여(50, 100, 200mg/kg)로 특히 CCl$_{4}$에 의해 유도된 AST와 ALT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회복되었다. 사염화탄소 투여로 감소된 SOD (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 활성은 부추의 에탄을 추출물 투여로 유의성 있는 활성 증가를 나타내어 간장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부추의 항산화작용에 의해 완화되었음을 시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부추 ethanol 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작용으로 사염화탄소로부터의 간장해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백강잠(白彊蠶) 생산을 위한 Beauveria bassiana의 효율적인 접종법 및 백장잠의 간보호 활성 검정 (Efficient Inoculation Method of Beauveria bassiana for Production of Bombycis corpus and Evaluation of Its Liver Protection Activity)

  • 정이연;홍인표;강필돈;남성희;김미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11
    • /
    • 2005
  • 이 연구는 백강잠(B. corus)의 대량생산을 위한 B. bassiana의 효과적인 접종법을 구명하고 백강잠의 간보호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백강잠 대량생산을 위한 B. bassiana의 접종시험에서 포자농도를 1.0${\times}$$10^8$ spores/m/로 할 경우 접종후 고습도 처리시간에 관계없이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으나, 1.0${\times}10^7$ spores/m/의 농도에서는 감염율이 낮았다. 2. B. bassiana 종균의 보관온도 및 보관일수별 활력 검정에서 $4^{\circ}C$에서는 12일까지 보관시 감염률 90% 이상 유지하였으나, 상온($25^{\circ}C$ 내외) 보관시에는 48시간이 지나면 감염율이 급격히 저하(5% 이하)하였다. 또한 모균주 보존기간별 감염율은 $4^{\circ}C$에 12개월 보존시에도 초기값과 활력에 차이가 없었으며 감염율 역시 90% 이상으로 균보관은 $4^{\circ}C$에서 12개월까지 보관하여도 활력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3. B. bassiana 101A의 간기능 보호활성도 측정에서 galactosamine으로 독성을 유발한 처리구에서는 물분획층에서 대조물질 silymarin과 DDB 대비 각각 43.5%, 65.7%의 간보호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염화탄소($CCl_4$)로 독성을 유발한 처리구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대조 물질대비 각각 100%, 69.3%의 간보호 회복 효과가 있었다.

태충(太衝) 및 양지(陽池)의 전침(電針)이 실험적(實驗的)으로 유발(誘發)된 백서(白鼠)의 간보호효과(肝保護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at Taechung (LR3) and Yangji (TE4) on experimental liver injury in rats)

  • 나창수;윤대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2호
    • /
    • pp.167-176
    • /
    • 2006
  • 목 적 : 본 연구는 태충(太衝) 및 양지혈(陽池穴) 에 대한 전침(電鍼)이 galactosamine 을 이용한 백서의 간독성(肝毒性)을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모델에서 예방효과(豫防效果)를 알아보고자 혈청중의 $\gamma\;-GTP$, GOT, GPT, LDH,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방 법 : 간독성은 각 군들은 간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무처치한 정상군, 간독성을 유발하고 난 후 무처치한 대조군, 각각 10 Hz, 50 Hz, 100 Hz 전침을 20 일간 10 회 시행한 후 간독성을 유발한 Pre 10, Pre 50, Pre 100군 등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태충(太衝) 양지혈(陽池穴)에 대한 전침(電鍼) 치료(治療)의 예방효과(豫防效果)에서는 Pre 10 군에서는 ${\gamma}\;-GTP$, GOT, GP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이 Pre 50군에서는 ${\gamma}\;-GTP$GOT, GPT, LDH,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이, Pre 100 군에서는 ${\gamma}\;-GTP$, GOT, LDH,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결 론 :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간독성에 대하여 태충(太衝) 양지혈(陽池穴)의 전침(電鍼)을 시행한 모든 군에서 간능과 지절대사에서 간손상에 대한 유의한 예방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활성산소종의 조절을 통한 음료 '별의별간'의 급성간독성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STAR of STAR series on CCl4 induced acute hepatotoxicity by reg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 장보윤;오준석;한지혜;김다은;홍재희;김성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5-282
    • /
    • 2016
  • 본 연구는 4종의 별의별간(SS) 음료의 간보호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항산화능 평가, t-BHP 와 $CCl_4$로 산화적 손상 및 급성 간독성 유도한 in vitro, in vivo 모델을 활용하여 간보호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별의별간 01~04는 $50{\mu}M$ vitamin C 와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HepG2 세포에 t-BHP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한 뒤 나타나는 세포독성에 대해 별의별간 01 및 04에서 농도 의존적인 세포 보호효과를 보였으며, ROS 생성 억제에서 별의별간 01, 03, 04에서 농도의존적인 억제를 나타내었다. 미나리가 혼합된 별의별간 04에 대한 급성 간손상 in vivo 모델을 활용하여 간보호능 검증 결과, 별의별간 04는 $CCl_4$로 증가된 혈중 ALT, AST의 유의적 감소, 간 조직중 증가된 MDA 함량 감소 및 감소된 GSH의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및 간 조직에서 증가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며, 별의별간 04는 in vitro 및 in vivo 모델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해 간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귀뚜라미의 수용성 및 알콜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Water/Methanol Extracts of Cricket on the Acute Hepatic Damages in the ICR-mice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CCl_4$)

  • 안미영;이용우;류강선;이희삼;김익수;김진원;이용기;김은선;김영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84-687
    • /
    • 2002
  • 귀뚜라미의 곤충산업의 발달로 대량체계화 사육된 귀뚜라미의 새로운 용도 개발의 일환으로 귀뚜라미의 간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사염화탄소로 6주령의 ICR 응성 생쥐에 급성간염을 유발시킨 후 귀뚜라미 물 추출물(20 mg/kg) 및 메탄올 추출물(20 mg/kg)을 각각 투여하여 GOT, GPT, LDH 간혈청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 귀뚜라미 메탄올 추출물은 대조구에 비해 GOT, GPT, LDH치가 74, 50, 101% 감소하였다. 지질과산화 억제정도는 귀뚜라미 물추출물 및 메탄올추출물이 정상군 대비 40%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강제수영법에 의한 귀뚜라미 추출물의 항피로 효과를 측정시 대조군에 비해 메탄올 200 mg/kg에서 현저한 수영시간 증가를 보여 양성대조군인 토코페롤 100 mg/kg 수준의 유의성 있는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귀뚜라미의 수용성 및 알콜추출물은 간보호 효과를 가지는 건강보조식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의 베타인 첨가에 의한 항당뇨 및 간보호 효과 (Hypoglycem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Betaine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정재준;김용택;서원석;양현주;이용수;차재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67-772
    • /
    • 2006
  • Sprague-Dawley 수컷에 streptozotocin (50 mg/kg body weight)을 복강 주사하여 유발시킨 당뇨군에서 베타인(1%, w/w) 첨가에 의한 항당뇨 및 간보호 효과를 검토하였다. Streptozotocin-유발 당뇨군에서 혈당치 및 fructosamine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베타인 투여로 감소하였다. 간 기능의 biomarker로 사용되는 alanine aminotransferase (AST) 및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활성은 당뇨군에서 현저히 증가한 반면 간보호 효과가 있는 베타인 투여 당뇨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됨으로써 당뇨성 간 손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중성지질 농도는 당뇨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베타인 투여에 의해 정상군 수준까지 감소하였으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베타인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다. 췌장 조직의 조직검사에서 췌도 세포의 정상적인 타원형 모양이 정상군에서는 잘 유지되었으나, Streptozotocin-유발 당뇨군에서는 췌도 세포의 파괴가 일어났으며, 베타인 투여에 의해서는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당뇨군에서 베타인 투여에 의한 혈당강하 효과는 췌장의 췌도세포 파괴 억제에 의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일차 배양한 간세포에서의 권백의 간보호효과의 Screening Test (Screening Test of Selaginella tarmariscina for Liver Protective Effects in Primary Cultured Hepatocytes)

  • 윤수홍;이주영;하헌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1권3_4호
    • /
    • pp.65-68
    • /
    • 1996
  • Selaginellae Herba has been used as folk medicine for antineoplastics, coagulants, antidotes and invigorants. To find an in vitro screening method for liver protective effect of Selaginellae Herba in benzo(a)pyrene intoxicated injury were examined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Using MTT assay, herba concentration showed dose dependently viability. The lowest concentration of benzo(a)pyrene giving cytotoxicity revealed around 50gM.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Selaginellae Herba in both water and chloroform extracts was also increased dose depende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