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중평가지수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물가지수의 가중치 추정모형: 물가지수체계의 연관분석적 평가법(속)

  • 김준보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v.5 no.2
    • /
    • pp.109-118
    • /
    • 1976
  • 현행 일반적으로 쓰여지고 있는 물가지수 산식은 기준시점의 거래량(또는 거래금액)을 상품별 가중치(weight)로 삼는 가중총합방식(weighted aggregate formula, 또는 가중산술평균산식)으로서의 Laspeyres식이라 함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그것이 상품별로 유통면의 중요성을 분명히 감안하여 있고, 비교시점의 가격변동만이 계산에 반영된다는 점에 있어서 물가지수로서의 실용성이 널리 인정되어 있는 산식이다. 그러나 Lasperyres식의 난점을 또한 많은 것이니 그 가운데 특히 가중치의 고정성과 관련하여 기준시점의 이동에 따른 전후 물가지수의 비연결성은 결정적 결함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이 식의 지수적 허구성이 흔히 논의되고, 이른바 Paasche check라 하여 수시로 조사한 거래량(또는 거래금액)에 의하여 물가지수의 가중치로 삼아서 전자를 검정하는 방법도 쓰여지는 형편이다. 필지는 일찌기(1973년) Laspeyres식의 상품별 가중치에 관한 객관적 평가법의 하나로서 산업(따라서 상품)의 연관분석적 수단에 의한 약간의 시안을 발표한 바 없지 않았다. 그것은 요약컨대 산업연관분석에 쓰이는 투입계수표를 중심삼아 한 상품가격이 다른 상품가격에 미치는 파급효과, 따라서 물가에 미치는 파급력을 계산하고, 나아가서 각 상품의 수요 및 공급함수를 도입하여 그들 계수를 추정함으로써 가중치의 객관화를 꾀해 본 것이 전고의 골자이다.

  • PDF

Seasonal Adjustment on Chain-Linking (연쇄가중법 도입에 따른 계절변동조정)

  • Jeon, Gyeong-Bae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6 no.1
    • /
    • pp.41-50
    • /
    • 2009
  • Chain-linking is a method for aggregating volume measures which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estimates of economic growth over the present fixed base in Korea. There is a risk that choice of chain-linking techniques such annual overlap, one-quarter overlap or over-the-year overlap may create an artificial seasonality to the volume series. The empirical results on Korean GDP suggest that the use of the annual overlap is recommended. And conducting seasonal adjustment after chain-linking to produce the chain-linked seasonally adjusted GDP is more appropriated in Korea.

A Study on Customer's Satisfaction of Web site providing Science & Technology Contents (과학기술 콘텐츠 제공 웹 사이트의 고객만족도에 관한 연구)

  • 김윤종;문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303-30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model of the customer's satisfaction score for web site providing science & technology content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the customer's satisfaction score is providing more appropriate information service about science & technology. Internet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customers.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5th though December 30th, 2002. There were 2, 092 respondents to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core of the customer's satisfaction for web site providing science & technology contents is 87.13 which is from our customer's satisfaction score model.

  • PDF

A Study on WSERVQUAL weight with PCSI index (PCSI지수를 이용한 WSERVQUAL 가중치에 관한 연구)

  • Lim,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3-7
    • /
    • 2006
  • 현대 기업은 경영 전략의 방향 및 평가를 위하여 고객만족도를 조사한다. 특히 서비스업에서는 많은 경우 SERVQUAL 점수를 이용하여 고객만족도를 평가한다 SERVQUAL은 고객의 기대와 지각의 차이를 조사하여 고객만족도를 평가하며 22 개의 평가항목은 5가지의 품절특성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확신성 공감성)에 대한 SERVQUAL 접수로 산출된다. WSERVQUAL 접수는 SERVQUAL 점수에 단순평균방식과 상대적 중요도를 가중한 가중접수로 계산되는 방법으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에서는 중요도에 대한 고객의 의견을 파악하여 적용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임성욱의 잠재적 고객만족 개선지수 (PCSI Index)를 적용하여 고객의 향후 잠재적 만족개선정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가중치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outcomes and post-treatment changes by the PAR index (PAR 지수를 이용한 교정치료 결과의 평가에 관한 연구)

  • Cheong, Soo-Bong;Park, Young-Gu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1 no.4 s.87
    • /
    • pp.393-401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treatment results in orthodontic department, Kyung Hee University, to evaluate the occlusion at 2 year follow-up control, in relation to the original malocclusion, and changes occurring in the follow-up period, and to determine whether treatment and posttreatment changes of the PAR index were related to the original Angle classification Dental study casts of 25 patients in permanent dentition were evaluated using Peer Assessment Rating (PAR) index. The PAR index was measured at the pretreatment stage,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nd at 2 yews posttreat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treatment reduced the PAR index by 85.05% and it indicates that KHDC clinic has a high standard of treatment 2. The follow-up result of 75.40% PAR score reduction implies a gain of 9.55% of posttreatment PAR score during follow-up period. 3.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treatment changes of the PAR index and the orignal Angle classification.

  • PDF

A Study on Scores of Evaluation Indicators to Energy Saving PR Activities (에너지절약 홍보활동 성과 평가지수 산정)

  • Lim, Ki Ch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6 no.3
    • /
    • pp.1-10
    • /
    • 2017
  • Among the four indicators that made up the evaluation indicators, the indicator on PR content scored the highest at 75.8 (3.79 out of a 5-point scale) followed by 74.4 (3.72) for PR media outlet, 69.6 (3.48) for PR impact, and 65.4 (3.27) for PR agency. The evaluation indicator or weighted average value of these indicators was 71.6 (3.58 out of a 5-point scale).In future research agendas,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es that include changes in electricity consumption or auto fuel consumption is needed.

Correction of Erroneous Individual Vehicle Speed Data Using Locally Weighted Regression (LWR) (국소가중다항회귀분석을 이용한 이상치제거 및 자료보정기법 개발 (GPS를 이용한 개별차량 주행속도를 중심으로))

  • Im, Hui-Seop;O, Cheol;Park, Jun-Hyeong;Lee, Geon-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2
    • /
    • pp.47-56
    • /
    • 2009
  • Effective detection and correction of outliers of raw traffic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is of keen interest because reliable traffic informa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quality of raw dat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ased traffic surveillance systems are capable of producing individual vehicle speeds that are invaluable for various traffic management and information strategies. This study proposed a locally weighted regression (LWR) based filtering method for individual vehicle speed data. An important featur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technique to generate synthetic outliers for more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proposed method. It was identified by performance evaluations that the proposed LWR-based method outperformed an exponential smoothing.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for filtering out raw individual vehicle speed data.

Percentile-based design of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harts (지수가중이동평균 관리도의 백분위수 기반 설계)

  • Jiyun Ku;Jaehe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7 no.2
    • /
    • pp.177-189
    • /
    • 2024
  • The run length is defined as the number of samples or subgroups taken before the control chart statistic exceeds the control limits. Because the distribution of run length is typically asymmetric and has a large variability,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use ARL (average run length) alone to design control charts and evaluate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concept of percentile (PL)-based design of control charts, and propose the procedure for PL-based design of EWMA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harts. For the PL-based design of EWMA, we present a fitted function for the control chart coefficient, given specific percentile parameters. Additionally, we perform simulations to compare the proposed design with the ARL-based desig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esign yields improvements in monitoring in-control processes while maintaining the ability to detect out-of-control performance.

Development of Spatio-Temporal Analysis of Drought Using Mass Moment (질량모멘트를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방법 개발)

  • Kwon, Hyun-Han;So, Byung-Jin;Yoo, Ji-Young;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4-434
    • /
    • 2011
  • 가뭄은 홍수와는 달라서 정확한 발생시점, 지속시간, 피해반경 등을 정의하기 어렵다. 가뭄은 가뭄지수를 통해서 정의되며 정해진 지속시간에 따라서 가뭄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가뭄의 심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 지수로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개월 지속시간에 SPI 지수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 가뭄연구에서 시공간적 거동을 평가하는 연구가 중요한 연구주제로 자리 잡고 있다. 가뭄은 홍수와는 달리 공간적으로 전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가뭄의 시작점과 영역반경을 평가하는 것은 가뭄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선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뭄의 시공간적 분석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질량모멘트 개념을 도입하여 가뭄의 중심과 영역을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가뭄의 중심(centroid)은 1차모멘트를 통해서 추정되며 가뭄의 영역은 2차모멘트 즉, x방향의 공분산, y방향의 공분산, xy의 공분산을 통해서 타원(ellipse)형태로 수치적 접근이 가능하다. 다음 그림과 같이 가뭄의 중심을 1차모멘트로 추정하게 되면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분산을 타원체로 표현하여 가뭄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1, 2차모멘트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Threshold 로 -2.0 이하의 값만을 이용하였으며 각 격자별 SPI 강도를 가중인자로 이용하였다. 그림과 같이 가뭄이 서해안에서 시작되어 시간에 따라 중동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모형을 통해서 추출된 1, 2차 모멘트 정보를 활용하여 가뭄의 특성을 범주화하고 이를 기상학적 특성과 연결시키면 기상특성을 고려한 가뭄 예측모형으로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rought Analysis and Assessment Using Land Surface Model on South Korea (지표수문해석모형을 이용한 국내 가뭄해석 및 평가)

  • Son, Kyung-Hwan;Lee, Moon-Hwa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53-53
    • /
    • 2011
  • 가뭄은 강수 부족 및 온도 상승에 따른 물 수지의 불균형으로, 그 특성상 점진적이고 홍수에 비해 피해규모가 광범위 하여 효율적인 대처방안을 마련하기가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의 경우 가뭄관리를 위해 비구조적 대책 방안인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해당 지역의 부족한 용수의 정도를 시 공간적으로 측정하고 크기와 강도에 대한 정량적 또는 정성적인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강수 및 기온자료를 토대로 한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나마 제공되는 지수들의 경우 가뭄을 나타내는 기준이 상이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가뭄관리를 위해서는 장주기 기상정보를 토대로 국가 또는 권역별 가뭄감시가 이루어져야하며, 기상 분만 아니라 지표와의 물 수지 해석이 반영된 수문정보(유량, 토양수분 등) 기반의 가뭄 정보가 생산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지구 수문해석이 가능한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하여 남한에 대한 수문성분 기반의 가뭄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우선 남한 전역에 대한 기상 및 지형 정보를 구축하고 지표수문해석모형에 적용하여 격자별 수문성분을 생산하였다. 수문성분은 가뭄평가에 필요한 정보로 전환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빈도해석기법을 적용하여 가뭄에 대한 발생 빈도 및 규모를 정량화 하였다. 즉, 모형에서 산정된 수문정보로 부터 빈도해석을 수행하여 적정 확률분포형을 결정한 후, 해당기간에 대한 확률값을 산정하여 과거 대비 가뭄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였다. 산정된 지수에 대한 평가를 위해 국내 과거 가뭄기록사례를 조사 및 기존 가뭄지수인 SPI 및 PDSI를 활용하였다. 평가 방법은 시계열 및 지역별 분석과 유역별 물수지 분석으로 구분되며, 주로 가뭄기간동안의 가뭄심도와 가뭄 발생 및 해갈에 따른 재현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가뭄발생 및 해갈시기 그리고 피해지역에 대한 표현에 있어 기록된 사항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가뭄지수 보다 가뭄 재현에 있어 비교적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지표수문해석모형 기반의 가뭄평가의 경우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및 동아시아 가뭄감시 전망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