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족 의사소통

Search Result 277,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Variables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Focusing o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Jeonnam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전남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Jung Yeon-Ho;Ryoo Jom-Sook;Shin Hyo-Shik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17 no.2
    • /
    • pp.145-158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patterns,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o estimate the differences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ccording to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variables and to offer the basic data that are needed to improve desirabl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Results of thes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birth order. Close communication with father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adolescent's birth order and family type.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Close communication with mother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and birth order. 2. Family cohe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dolescent's sex and income level. And family adapt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dolescent's set adolescent's birth order and income level. 3. Family cohesion was influenced by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income level and adolescent's sex. And family adaptability was influenced by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close communication with father, income level and adolescent's sex.

  • PDF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Mother Perceived by Adolescents - Focused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을 중심으로 -)

  • 박옥임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16-25
    • /
    • 1994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들이 의사소통 만족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 의사소통 변인은 자녀성별, 어머니 연령, 교육수준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으나, 의사소통 만족도는 어머니 연령, 가족형태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둘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을수록 의사소통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가족의 정서적 유대감과 변화 대처능력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과 관련이 깊은 것을 보여준다. 세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부정적인 대화로 나타나, 긍정적인 대화를 이끌수 있는 어머니의 역할이 강조된다.

  • PDF

The relation between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정도와 가족탄력성의 관계)

  • Yoon, Suk Ja;Kim, Hee J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8
    • /
    • pp.23-30
    • /
    • 2013
  • This study attempt to explore relation between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resilience objects to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we study a difference of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relation between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n difference of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Dialogue time with father, age, and dialogue time with mother are significant. Also, in difference of between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ore monthly income of family, the longer time of dialogue with parents, family resilience is high.

Relation of Day-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의 관계)

  • Lee, Young-Ae;Pu, Sung-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6
    • /
    • pp.466-47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day-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One hundred and fifty five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Suwon-si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escriptiv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day-car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 and career level and their type of institute. Second, the family-teacher communication level of day-car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and their type of institute. Thirds,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day-care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family-teacher communication.

A Study for Program Activities in Healthy Family Support Business: Focused on Family Values, communication, relationships (가족 가치관, 의사소통, 관계성에 따른 건강가족지원사업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 Lee, Hyou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31-13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에 따라 개설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필요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라는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 서구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29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 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에서 평균미만집단이 평균이상집단과 비교하여 건강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필요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프로그램은 지역주민의 가족의 가치관, 의사소통, 가족관계성 수준을 반영한 필요도 중심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A Case Study on Therapeutic Music Making for Enhancement of Communications in Single-Mother Families (여성 한부모 가족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치료적 음악 만들기 사례연구)

  • Lee, Na Kyung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8 no.2
    • /
    • pp.21-4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therapeutic music making affects the way of communications in single-parent families. To do this, the study conducted a therapeutic music making program in two families consisting of a mother and a child. Songwriting, Ostinato-creating, improvisation imitation, and ensemble were used as musical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participant group B improved from 59 to 69.5 point after the program. However, the group A decreased from 81 to 75.5 point mainly due to frequent absences, differences in applying music.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verbal, nonverbal and musical responses from the program suggests that the group B gradually improved functional communications as each session develops. For the case of group A, at the initial stage, dysfunctional communications in verbal and nonverbal ones could be found. After the eighth session however, functional communications had increas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overall therapeutic music making has been an effective musical intervention in improving communication in single-parent families.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Husbands' Authoritarian Communication (남아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 관련변인)

  • 김순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157-167
    • /
    • 1995
  • 본 연구는 평등한 부부관계로의 변화를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부인과의 대등하고 민주적인 의사소통을 저해하고, 부인의 정신.신체증상 호소라든가 가족문제를 야기시키는 한국남편의 전형적인 권위주위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밝혀내어 부부간의 민주적인 관계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328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 부부간의 변인으로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부부간의 학력차, 부부간의 연령차, 가족환경적 변인으로 남편의 성장가족에서 친부의 권위주위적 행동, 주관적인 사회계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개인적 변인, 부부간의 변인, 가족환경적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14.5%, 11.3%, 11.5%를 각각 설명해 주고 있다. 개인, 부부간, 가족환경 변인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는 자아존중감,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친부의 권위주의적 행동, 성역할 태도, 부부간의 학력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이들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25.2%를 설명해 주고 있다.

  • PDF

The Effects of Internet-Addiction on Adolescents' Family Communication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Kim, Kee-Ree;Lee, Seon-Jeong;Shin, Hyo-Shick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4
    • /
    • pp.187-203
    • /
    • 2008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nternet addiction and family communication i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the 39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Gwangju.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d, Cronbach's $\alpha$, T-test, one way ANOVA, Duncan'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 WIN 14.0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choolboys internet addiction were higher than schoolgirls. Open communication was higher than median but problem communication was slightly lower than median. 2.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parent's absence frequency, the level of living, parent's attitude about internet, the motive, the purpose, and the times required for internet. 3. Family communic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ernet addiction level. 4. Open communication was influenced by the level of living, parent's attitude about internet, the times required for internet and the level of internet-addiction and was explained about 19% by these variables. Problem communication was influenced by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 level of living and was explained about 14% by these variables.

  • PDF

Effects of the Personal Space the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Adolescent Children and their Parents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부모.청소년자녀간의 대인거리.심리적거리.의사소통이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서병숙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04-116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자녀들이 가족의 응집성과 가족의 적응력을 어떻게 지각하 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한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대인거리, 심리적거리, 의사소통개방성은 부모의 연령, 자녀의 성별, 재학부별에 의하여 부모와 자녀관 계를 상당한 정도로 예측할 수 있다. 둘째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은 자녀들이 지 각하는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력에서 가장큰 영향력을 보인다 이는 청소년 자녀가 있는 가족 의 정서적 유대감과 변화대처능력은 부모와의 대화가 결정적으로 중요하고 자녀와의 갈등이 나 문제해결에 있어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가 결정적으로 중요하고 자녀와의 갈등이나 문제 해결에 있어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가 일차적인 기능을 하게 됨을 반영한다. 셋째 부모와 청 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 중에서도 특히 부와의 의사소통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변화의 시기인 청소년기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강조된다.

  • PDF

Homemanagement Pattern, Communication & Colaboration - Centering on Families of Cheng Ju City -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 청주시 가정을 중심으로 -)

  • 오경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26-34
    • /
    • 1995
  • 본 연구는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도 및 가사협조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가정내일의 협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관리자의 관리유형 규명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녀를 1명 이상 둔 청주시 주부 418명을 대상으로 1993년 12월 중순부터 1994년 1월초까지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SAS/PC program을 사용하여 Mean, F-test t-test, Duncan's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정관리유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부부의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였다. 2)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부연령과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3)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사협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직업,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4)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간에 관계를 경로분석하여 본 결과 가정관리유형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가사협조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부언하면 가정관리자가 인간중심적인 관리유형을 취할수록 가족 내 의사소통도가 높아지고 더불어 가사협조도도 증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