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 기능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3초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Integration in family)

  • 남순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2호
    • /
    • pp.1-15
    • /
    • 2004
  • 최근 급변하는 사회현상들로 인한 다양한 가족유형들은 가족에 대한 개념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가족내 세대간 가치차이를 야기하며, 가족갈등이나 사회문제로 파생되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다양화, 다각화로 변모하고 있는 사회현상으로 인한 가족내 변화에 따른 가족내 세대간의 문제를 다루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현대사회의 가족구조적인 변화가 가족내 어떤 기능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들을 촉구하고 있었다. 첫째, 가족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하는 방식의 변화이고, 둘째, 가족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애정, 보살핌과 같은 관계적 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연속성의 요구이며, 셋째, 형식적 관계에서 벗어나 실질적 관계로의 전환, 및 마지막으로, 보다 명료한 의사소통망의 활용이었다. 또한 가족생애주기의 변화에 따른 부모-자녀관계의 상호작용을 재조명해봄으로써 세대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탐색해본 결과, 첫째,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족유형의 가변성을 수용하고, 변화하는 가족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여야 하며, 둘째, 각 세대가 지니고 있는 상호교환적인 가치를 수용하여 세대간 관계적 기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셋째, 효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했다. 즉 가족기능의 세대간 전수는 가계와 가문형성의 근원이 될 수 있지만, 세대간의 상호작용없이 불가능하다.

  • PDF

장애 아동 부모의 사회적지지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와 경제적 안정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Family Function :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 문종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21-429
    • /
    • 2019
  • 본 연구는 아동발달센터에서 치료 및 훈련을 받는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장애수용, 경제적 안정감, 가족기능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S시 소재 아동발달센터를 이용하는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 2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지지와 가족기능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지지, 장애수용과 가족기능 간의 관계에서 경제적 안정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매개효과 3단계 검증 절차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절변인인 경제적 안정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 및 장애수용과 가족기능간의 관계 모두 경제적 안정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간의 관계를 장애수용이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의 관계를 장애수용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의 가정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가족복지실천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 및 관계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Function and Relationships of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for Family Welfare Practice)

  • 임효연;이사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5-95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가족복지실천의 중점 기관인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각 기관이 수행하는 기능과 더불어 양 기관의 관계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문헌연구와 양 기관의 기관장과 중간관리자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운영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양 기관의 기능과 관계성을 통해 가족복지를 지역사회에 전개해 나가는 데 있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가자들은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지만 각 기관만의 기능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차별성을 제기하였고, 이를 통해 종합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안의 개인과 가족에 초점을 둔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사례관리가 중점적 기능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임을 확인하였다.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일반가정의 가족생활주기에 맞춘 보편적 가족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예방활동과 지역주민의 심리적 접근성을 최대한 가깝게 유지하면서 건강가정을 구축해나가는 데 있어서의 토대역할이 기대가 되었다.

치매노인의 기능손상으로 인한 가족간호자의 간호부담과 삶의 질에 관한 조사연구

  • 문혜리
    • 한국보건간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간호학회 1998년도 전국노인보건학술발표대회
    • /
    • pp.33-75
    • /
    • 1998
  •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성 질환이 증가하고, 대표적 노인성 질환직 하나인 치매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제까지 치매가 노화의 한 정상적인 과점으로 여겨져왔고 최근에 와서야 하나의 질병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그간 치매노인의 의료복지적 측면의 관리가 소홀하였고 가족의 어려움이 켰었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치매노인 가족간호자를 대상으로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기능손상정도 및 건강상태, 가족간호자의 간호부담정도, 사회적지지, 치매노인과 가족간호자의 삶의 질 정도, 그리고 그들이 어떤 사희복지적지지 서비스를 이용하려 하는 지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치매노인과 그 가족간호자의 부함을 경감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well-being, Self-identity and Family fun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효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76-38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자아정체감, 가족기능의 관계를 파악하고 고찰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 C도에 소재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583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 1일부터 2012년 3월 31일까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결과 주관적 안녕감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년, 종교, 경제상태, 학교생활 만족도,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정체감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종교, 경제상태, 학업성적, 학교생활만족도, 전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기능은 경제상태, 전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을 고려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고령노인의 가족기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Effects of Family Function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이종운;허만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07-317
    • /
    • 2022
  • 본 연구는 고령노인들의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2019년 7월1일부터 2019년 7월3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총 296부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행하였고, 매개 변수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령노인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기능은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령노인의 가족기능과 우울 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하였다.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여성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Bereaved Older Women)

  • 김윤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59-269
    • /
    • 2022
  • 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A시에 거주하는 배우자 사별경험이 있는 60세 이상 여성 노인 192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7.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우울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계층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여성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이 완전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배우자와의 사별을 경험한 여성 노인의 원만한 적응을 돕기 위해 가족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소방공무원의 임파워먼트와 가족기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owerment and Family Function on the Depression of Firefighters)

  • 최희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116-121
    • /
    • 2018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임파워먼트와 가족기능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소방공무원의 우울에 관한 예방 차원의 실천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지역 소방공무원 351명을 대상으로 유의표집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소방공무원의 우울에 임파워먼트와 가족기능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예방을 위해 내적 대처자원으로서 각 개인의 임파워먼트를 적용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과 소방공무원 가정의 가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이 필요하며, 가족의 건강성 회복을 이끌어내기 위해 예방차원의 효과적인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의 적극적 도입과 지원을 제안하였다.

치매노인 부양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Reinforcement of Family Function for Family Supporting Senior with Dementia)

  • 이문숙;김정동;한건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495-506
    • /
    • 2019
  • 본 연구는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의 과정 절차에 맞춰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정, 기획, 실행, 평가의 체계적 과정을 통해 구성하였으며,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여가욕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프로그램 내용의 실현 가능성을 높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 낸 이론적, 실천적 의미로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첫째, 가족지원서비스 철학과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위한 가족지원서비스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이론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치료레크리에이션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셋째,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적과 목표에 따른 구체적인 개입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직접적인 실천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본 프로그램은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실제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검증하고 평가받음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재혼가족의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Boundary Ambiguity and Family Functioning in Remarriage)

  • 김연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3호
    • /
    • pp.183-202
    • /
    • 2012
  • 본 연구는 재혼가족을 경계라는 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재혼가족의 모 125표본을 대상으로 재혼가족의 재혼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의 관련성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79.2%, 남성배우자의 74.2%의 전혼해체사유가 이혼으로서 '이혼 후 재혼'이 재혼의 보편적 유형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여성재혼자가 전혼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비율이 남성재혼자가 전혼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비율보다 앞선 조사결과를 통해 재혼의 사회문화적 태도 또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육체적 실재와 심리적 실재의 일치여부로 측정한 가족경계모호성 분석결과, 조사 대상자의 67.6%가 경계모호성이 없는 반면, 32.4%가 심리적, 육체적, 혹은 양쪽 모두의 경계모호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