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체계유형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중·장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궤적 유형과 예측요인 탐색: 잠재계층성장분석(LCGA)을 이용한 종단연구 (A Study on Change Trajectories of Self-Rated Health in Middle Aged: Longitudinal Study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 김호정;남석인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941-958
    • /
    • 2019
  • 본 연구는 중·장년기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궤적 유형을 탐색적 차원에서 확인하고, 도출된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궤적 유형과 사회경제적 요인, 개인 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의 관계를 검증하여 중·장년기의 건강한 노후를 맞이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12차(2007년~2017년)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중·장년기 2,418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궤적 유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적용하였으며, 건강상태에 있어 안정집단과 위험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수준-유지형(46.3%)', '저수준-유지형(19.6%)', '감소형(17.5%)', '증가형(16.6%)'의 4가지 유형이 확인되었다. 건강상태와 밀접한 요인인 만성질환 변화를 통제하였음에도, 지속해서 경제활동을 할수록 '저수준-유지형'보다'고수준-유지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감소형' 보다 '고수준-유지형'에 속하고,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이 증가할수록 '저수준-유지형' 보다 '고수준-유지형'으로, 가족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록 '저수준-유지형'보다 '증가형'에 속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장년의 건강을 지속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국가 체계의 정책적 제언과 현장 중심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nderson이 개정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2007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인지적 학급목표 및 성취기준 분석 (Analysis of Cognitive Learning Objectives in the 2007 Home Economics High School Textbooks and Achievement Standards by the Anderson'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이경숙;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3-68
    • /
    • 2011
  •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준거하여 2007 개정 10학년 교과서 6권과 성취기준을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이차원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위해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른 분석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2명으로 코더(coder)를 선정하여 개별적으로 1차 분석을 한 후 2차에 걸친 협의회를 통해서 최종 판정에 합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학습목표는 지식차원의 주요유형은 "미래의 가족생활" 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범주에, "가정생활문화" 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 범주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성취기준에 진술되어 있는 "미래의 가족생활" 단원과 "가정생활문화" 단원 모두 사실적 지식에 해당하는 학습목표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교과서와 성취기준에서 지식차원의 하위유형은 구체적 사실과 요소에 관한 지식(AB)이 가장 많았다. 인지과정차원의 주유목은 교과서에서는 '이해하다'와 '분석하다'의 범주에 집중되어 있었고, 성취기준에서는 "미래의 가족생활" 단원에서는 '분석하다' 범주로만, "가정생활문화" 단원에서는 '이해하다' 범주로만 진술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로부터 교과서와 성취기준은 메타인지에 대한 지식과 고차적 인지과정의 활동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을 설계할 때 성취기준과 교과서에 진술된 학습목표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고등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목표 재진술이 필요하고, 성취기준은 중단원보다 더 세부적인 소단원 및 내용요소별로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제시하여야 하며, 이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는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고려한 학습목표의 진술이 요구된다.

  • PDF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유형과 분리개별화 (Family System Types and The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dures Recognized Middle School Students)

  • 이희자;최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5-28
    • /
    • 1999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family system types and the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dures, which seriously affect the mental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analysed the rate of separation-individuation in each family system types, as well. The rese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idrange family was 61.1% among the four family system types, recogniz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2. Mo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ffering from the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dures. And the most afflicted hardship was the dependency denial, which was followed by the reject expectancy and self-centeredness. 3. The girl students were more deeply affected by the family system types than boyhood. Therefore girl students were much more intimate with family and made very stagnant progress on the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dures .

  • PDF

가족체계유형 및 자아분화와 청소년 후기 자녀의 심리적 안녕 (Family system types,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ecnt)

  • 이천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01-11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mily system types,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 The subjects were 248 male and 241 female students selected from 3 universities' freshmen to seniors.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the FACES Ⅲ, Self-Differentiation Scale and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Scale. SA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verified by frequency,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 according to family system types. Adolescents of balanced families had the most psychological well-being.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 according to family system types. Adolescents of balanced families had the most self-differenti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 according to self-differentiation. The more th degree of self-differentiation is high, the mo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s high. 4. The self-differenti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

  • PDF

가족체계내 역동성요소에 근거한 가족유형에 따른 주부의 가정관리행동 (The role of family types clustered based on the intra system dynamics elements in explaining housewive's managerial behavior.)

  • 이연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5-308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family types clustered based on the intra system dynamics explained housewive's managerial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a stratified sample of 544 housewives in Seoul who lived with husband and children. The questionnaires included FACES Ⅱ and Ⅲ, Communication Scale, Managerial behavior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Frequency, percentile, mean, correlation,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with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had resulted in three major findings. The first was that families were clustered by four types, named structed-separated family, flexible-connected family, change oriented emashed, and rigid-disengaed family. The second finding was that a difference in managerial behavior was found among four types of family. Housewives whose family were more connected each other and adapted more easily to changing situations showed better managerial behavior. The last one was that the managerial behavior of housewives was better explained by family types than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better ways to lead effective managerial behavior were suggested.

  • PDF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Need of Materials Related to Disability)

  • 장우권;박성우;정대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7-181
    • /
    • 2016
  • 이 연구는 장애인 본인 및 가족, 관련자 등 장애 관련 다양한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장애관련 정보를 파악과 함께 정보유형에 따른 이용자들의 인식을 비교분석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이용자 맞춤형 정보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장애인, 장애인보호자, 장애기관 종사자, 장애인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및 장애 관련자들의 주요정보원은 일반포털 사이트이며, 중요 정보유형은 구인구직정보, 이동편의(교통)정보, 의료기관 정보 등이다. 또한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정보의 중요성이 낮고 자료의 획득도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장애유형에 따라서 중요 정보유형 및 획득의 용이성이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 한부모의 자립 경험과 강점 자원에 대한 연구 : 사별, 이혼, 미혼모 가족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experiences of self-reliance and strengths of single mothers: A comparative study of widowed, divorced and unmarried single mother families)

  • 김지혜;김희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4호
    • /
    • pp.159-193
    • /
    • 2018
  •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 발생 유형, 즉 사별, 이혼, 미혼 한부모의 삶의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고 자립하는 과정, 자립의 과정에서 작용하는 강점을 비교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강점은 강점관점의 틀을 중심으로 개인, 환경적, 삶의 요소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세 유형의 한부모 가족의 자립 경험, 강점 자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자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편적 제반 조건들을 파악함과 동시에 각 유형의 독특성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사별 4사례, 이혼 8사례, 미혼모 8사례로 총 20사례를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 결과, 세 유형 모두에게 자립은 하나의 완결된 사건이 아니며, 엄마로서 주어진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그 힘을 갖추어나가는 과정으로서의 자립을 의미하였다. 힘을 갖추는 것은 경제적 자립을 위한 힘을 갖는 것뿐 아니라 자신의 삶에 대한 수용, 통제감 갖기, 자기 개발을 통해 역량강화되며 심리사회적 힘을 갖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들의 자립 경험과 강점 분석을 통해 자립 과정에 중요한 공통 자원과 경험의 독특성, 차이점 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부모 가족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의 기능과 제도적 지원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체계유형과 가족내 심리적 거리 (The Types of Family System and Psychological Distance in Family Perceived by Adolescent Child)

  • 최윤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1권1호
    • /
    • pp.159-175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distance through semantic app-roach perceived by adolescent child in the subtypes of 'Extrem Family' dysfunctional families by classification of Olson and his associates ' Circrumplex Mode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072 abolescents living in Seoul. Korea The survey methods were questionnaires including FACES II and The Psychological Distance Scal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statistics of frequency percentage arithematic mean standard devia-tion crosstabs and one way-anov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levels of family cohesion family adaptibility and the psychologival distances with father mother and siblings perceived by adolescent were high. 2) The most of subject's families belonged to 'Balanced Family' in the types of family system ' Extreme Family' type showed the lowest frequency and the main subtypes of it that had the highest frequency were 'Enmeshed Chaotic Family' ' Disengaged Rigid Family' 3) While adolescents of 'Enmeshed Chaotic Family' perceived most closely with other family members. those of 'Disengated Rigid Family' most distantly totally and in evaluation potency and activity three subfactors in psychological distance. 4) There were differences of unit points in subfactors of psychological distances with other family members perceived by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system. While the points of 'Enmeshed Chaotic Family' were the highest those of 'Disengaged Rigid Family' were the lowest. 5) While 'Enmeshed Chaotic Family' were located most closely 'Disengaged Rigid Family' were located most distantly in the mutual distances and direct distances among family concepts on semantic space.

  • PDF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 적응성 및 가족체계 유형이 부모-청소년기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olescent-perceived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System Types o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 전귀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7-173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system type o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For this study, adolescents' perceptions of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quality were utilized. The 443 subjects were selected randomly from the second grade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city of Taegu. The survey instruments were AFCESⅢ and CAM/CAF.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MANOVA, and Scheff test were conduc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family as high in cohesion reported the highest quality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in comparison with other levels of cohesion. (2) There were differences in adolescents' evaluations of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quality by their perception of family adapability levels. Namely, adolescents who perceived family adaptability to be low level-i.e. rigid family-showed the relatively severe problems in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3) Adolescents did show some differences by types of family system in their evaluations of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quality. Adolescents reported the highest quality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hen they perceived their families as balanced family.

  • PDF

A MODEL OF RESIDENTAL MOBILITY OVER FAMILY LIFESPAN ACCORDING TO SOCIOECONOMIC CLASSES

  • 김혜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3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1-27
    • /
    • 1993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인 각 가구의 주거 서어비스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나타난 주거 이동 주기를 규명하므로 수요자의 다양성에 의한 주택공급 정책의 접근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틀을 형성하여 국토개발 연구원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의 1620가구를 대상으로 하였고 SPSS와 LIMDEP을 이용하여 기초분석외의 판별분석, 로짓분석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계층과 가족 생활 주기에 따라 주거 이동 동기와 주거 이동 형태가 달랐다. 하류계층은 강요된 이동동기가 많았고 수평 또는 하향 이동의 형태로 이동하였다. 중류 계층은 조정적 이동동기가 많았고 다른 계층에 비해 상향 이동이 많았다. 상류계층은 다양한 이동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주거 시설 수준 면에서 상향이동을 하였다. 주거이동주기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모델이 개발되었고, 모델에 의해 사회계층에 따라 상이한 유형이 나타났으므로 수요자의 다양성에 의한 주택 공급 정책이 필요함을 제시사해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