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결속력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초

가족구성원 1인과 2인의 가족적응력 및 결속력평가척도(FACES III) 응답 이용 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CES III When Applied to One and Two of the Family Members)

  • 김정희;박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99-608
    • /
    • 2002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ACES III when applied to the only one and two family members, and to use more appropriately in the nursing practice.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05 college students and 105 of their parents in two local nursing colleges. The original questionnaire,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Olson(1989), was modified b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d by correlation coefficient, Cronbach's α, Guttmans split coefficients and factor analysis. Result: Cronbach's αof the adaptability and cohesion were .77, .73(Guttmans split coefficient were .76, .71) when applied to the only one family member, and were .81, .77 (Guttmans split coefficient were .81, .77) when applied to two.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adaptability and cohesion between two family members were .38, .35. The total-item correlations of the other items except for items 5, 7, 13 were significa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daptability and cohesion when applied to only one and two were .30, .38(p < .01). When the data was analyzed b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with the number of factors fixed to two, two factors explained 37.2% of total variance in the case of one member, and 42.2% of total variance in two.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oncept and the construction validity of cohesion needed to be more clarified. Also It is requir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CES III should be tested in two more family members.

장애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가족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탐색 (An Ecological Study on Family Functions Perceived by Mothers with Mildly Handicapped Children)

  • 윤종희;하수민;김리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2호
    • /
    • pp.149-163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ecological variables that affect family functions and to analyze relative magnitudes of significant predictors. The study employed ecological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143 mothers of mildly handicapped children enrolled in integrated kindergartens in Seoul,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family functions with mildly handicapped children were found to be moderate(M=3.21, SD=.49). 2.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yielded Model V as the most powerful model, explaining 79%$(Adjusted\;R^2=.787)$ of the variance. 3.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throughout Model I to V were found to be maternal efficacy $({\beta}=.578,\;p<.001)$, maternal satisfaction with parent-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beta}=.249,\;p<.001)$, husband's helps $({\beta}=.207,\;p<.01)$, and the availability of assistance other than family members $({\beta}=.232,\;p<.05)$ in the order.

가족자원봉사경험과 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Family Volunteering and the Family Health)

  • 이경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63-87
    • /
    • 2003
  • 우리 사회에서 여러 사회문제의 예방차원에서 가족생활을 증진시키고, 사회복지의 중요한 자원인 자원봉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가족자원봉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자원봉사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정태적 집단비교설계방법으로 전국에서 가족자원봉사 프로그램에 6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참여한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 건강성을 조사하고 통제집단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가족자원봉사 경험을 가진 실험집단(494명)이 통제집단(534명)보다 가족 건강성의 모든 영역(가족의 결속력, 가족원간의 의사소통, 가족의 문제해결능력, 가치체계 공유, 역할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통제집단 중 가족이 정기적으로 함께 하는 활동이 있는 경우에도, 가족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가족과 비교하여 가족 건강성이 낮았다. 따라서 가족자원봉사경험이 여타 다른 가족활동보다 가족 건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족자원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족단위의 자원봉사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 융통성있는 가족자원봉사 개념규정, 가족자원봉사를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사이의 연계, 가족자원봉사의 시간 활용을 위한 탄력적인 근무제도 도입 등 가족자원봉사의 장애요소의 해결들이 제시되었다.

  • PDF

고등학교 여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기능적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3 Dimensional Circumplex Model을 이용하여-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Characteristics and Their Mental Health in Korea)

  • 안양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65-280
    • /
    • 1996
  • A cross-sectional, descriptive-correlational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their perception of family characteristics, such as family adaptability, family cohesion, family type, and family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rationale for this study is the 3-Dimensionl Circumplex Model that was formulated by Olson, et al. With respect to metho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to obtain the data. A total of 199 female students(high school second year) were recruited by convenience sampling.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October 1994 after a pilot study and pretest of the tools. The research tool used the following four self-report research types : Youth Self-Report (YSR) developed by Achenbach and Edelbrock,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s (FACES) III, Family Satisfaction(FS) developed by Olson, et al. and a Demographic Data Sheet. The resulting data were processed using an SPSS PC for a Pearson prod 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 linear relationship were found between female students' mental health and their perceived family cohesion(r=-.2237, p<.001), and family satisfaction(r=-.3951, p<.001),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as found between female students' mental health and their perceived adaptabil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family cohesion, family type, and family satisfaction were more powerful predictors than family adaptabi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nursing practice by demonstrating the usefulness of YSR to differentiate deviant behavior in youth and also by providing nursing interventions designed to promote female mental health.

  • PDF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복지의식 연구 : 서울지역 기혼자를 중심으로 (Familism and Welfare Consciousness in Korea)

  • 양옥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229-256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인 대부분이 공유하고 있는 전통적 가치관이라고 알려진 가족주의 가치관이 한국인으로 하여금 복지제도와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하는데 어떤 관련이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가족간의 결속력이 유난히 강하고 가족중심적인 사고가 모든 사회관계에서도 지배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한국사회에서의 가족주의 가치관은 다른 가치관이나 이념 및 의식을 구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가족이 그 구성원을 돌보고 양육, 부양하는 것을 당연한 의무와 책임으로 여기고 있는 가족주의적 사고가 복지의식을 형성하고 구체화하며, 복지국가 형태의 수준을 갖게 하는데 제한을 가한다는 비판의 소리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복지의식을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과의 관련성 속에서 재조명해보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지역의 기혼 여성과 남성을 체계적 층화표집과 할당표집으로 표본추출하였으며, 총 1,131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한국인의 복지의식은 가족주의 가치관과 많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제도에 관한 인식에서 가족주의 가치관은 부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주의 가치관이 낮은 집단에서 복지제도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복지책임주체에 관해서는 가난한 사람과 노인영역에서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높은 경우 가족책임 성향도 높게, 그리고 장애인과 실업자의 경우에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낮은 경우 정부책임 성향을 높게 지적하였다. 그러나 복지정책 욕구에서만은 가족주의 가치관이 낮은 경우 정부책임 성향을 높게 지적하였다. 그러나 복지정책 욕구에서만은 가족주의 가치관의 관련성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족주의가 높은 집단에서조차 복지정책 욕구가 크게 보여졌다. 이 같은 결과는 가족주의 가치관이 한국인들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주는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전통적 사고가 국가의 복지제공 의무를 회피하는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가족의 기능을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기제로 활용되어야 하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이는 한국인에 맞는 복지모형의 개발을 시사한다.

  • PDF

자비에 돌란의 <단지 세상의 끝>에 그려진 가족관계 연구 (A Study on Family Relations Drawn at of Xavier Dolan)

  • 김태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22-628
    • /
    • 2019
  • <단지 세상의 끝 Juste la fin du monde>은 죽음을 눈앞에 둔 한 인간의 죽음에 대한 인식, 태도 그리고 성찰을 심도 있게 표현한 작품이다. 에이즈에 걸려 시한부 인생을 선고 받은 주인공이 12년 만에 고향으로 가족을 찾아간다는 단순한 스토리로 구성되어있는 이 작품은 이 과정에서 가족이란 무엇인지 우리에게 끊임없이 질문한다. 자신의 상태를 알리고 가족과의 소원했던 관계를 회복하고 영원하지만 아름다운 이별을 목적으로 한 이 방문은 오히려 그동안 숨겨왔던 혹은 애써 태연한척 받아들였던 가족 간의 원망, 증오, 비난의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낸다. 그렇다면 가족이라는 관계는 언제나 서로 이해가 되는 관계이며 서로 무조건 용서하고 보듬어 주어야만 하는 관계인가? 자비에 돌란 감독은 우리가 감추고자했던 가족 구성원 사이의 아픈 진실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아픈 진실이 현실의 모습임을 자각토록 한다. 주인공 루이의 소극적인 자세, 그리고 그를 기다리고 있던 가족들의 불평과 불만 등은 멀어진 간극을 좁히는데 절대적으로 부족한 시간이었다. 저마다 상처를 간직한 채 서로를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이 가족은 비록 '가족'이라는 공동체로 묶여 있긴 하지만 약한 결속력으로 인해 오히려 서로에 대한 감정의 골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여줄 뿐이다.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가족 수업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기술·가정 '관계'와 '안전'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torytelling Family Class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Resili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of 'Relationship' and 'Safety'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주현정;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7-184
    • /
    • 2020
  •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가족 단원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업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가족 형태, 가족관계, 가족갈등, 성폭력, 가정폭력, 가족 상실에 관한 5가지 주제의 그림책을 선정하고 스토리텔링 요소와 기법을 적용한 '그림책으로 만나는 가족'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남녀 중학생 194명을 대상으로 기술·가정 수업시간에 적용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회복탄력성 정도는 수업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사회성 영역의 하위요인 중 자아확장력에서는 수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수업의 효과가 나타났고,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애정적 결속 정도가 더 증가하였다. 회복탄력성의 향상과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목표로 하는 기술·가정 교과의 가족 단원에서 그림책을 통한 스토리텔링 수업은 자신의 역경을 딛고 일어서는 잠재적인 힘을 청소년 스스로 길러주게 하여 청소년 가정의 가족과의 관계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가족 특성, 경험한 아동 학대와 정신 건강과의 관계 (An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Perceived Family Characteristics, Experienced Abuse and Mental Health in Childhood)

  • 김희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89-303
    • /
    • 1997
  •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family characteristics, experienced abuse and mental health in childhood. For this, this study used row data by questionnaire, analysis, and frequency, ANOVA, t -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sample was 118 children 10-12 years old in primary schoo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perceived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highly, family adapt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relations with a parent's job, a parent's academic level, and type of residence. Second, it appeared that some children experienced physical, emotional, and sexual abuse. Third, in general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was good. Their mental health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economic level of family, and type of residence, creating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phobic anxiety, psychoticism. By family size, their mental health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somatiz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Fourth, family cohesion and mental health perceived by children supported a linear relation to phobic anxiety, and family adaptability and mental health perceived by children supported the reverse -linear relation to somatization, anxiety, paranoid ideation, etc. Fifth, connections with perceived abuse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emotional abuse and mental health were also supported. Further more, on somatiz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psychoticism, etc, a reverse-linear re lation existed. Physical abuse supported a reverse-linear relation with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paranoid ideation, etc. and sexual abuse supported a reverse-linear relation with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 and family have to concern themselves with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because experienced abuse and family characteristics do indeed affect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 PDF

반항성 도전 장애 아동과 연관된 공존 증상 및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연구 - (COMORBIDIT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 WHO HAVE THE SYMPTOMS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 COMMUNITY BASED STUDY -)

  • 김붕년;정광모;조수철;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79-89
    • /
    • 2005
  •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반항성 도전장애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이하 ODD)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역학적 특징, 공존 정신병리 및 환경적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서울 근교의 지방도시(부천시)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초등학생 986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모든 정보는 부모로부터 얻었다. 우선 DSM-III-R과 DSM-IV에 의한 파탄적 행동 평가척도를 통해 대상군을 선정하였고, 나머지 군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소아행동조사표, 아동성격척도를 통해 아동 문제 및 기질을 조사하였다. 또한 가족적응/결속척도, 가족기능/만족도척도를 통해 가족 기능을 평가하였고, 동시에 임신-분만-주산기 문제들을 조사하였다. 두 군간의 차이는 t-검정과 $\chi^2$-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 ODD군 아동은 대조군에 비해 아동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의 모든 소항목과 파탄적행동장애평가표(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 DBDS)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 전반적인 공존 정신병리가 심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가족 결속력, 가족 기능/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임신-분만-주산기 문제 중에서는 임신기의 심한 정서적 스트레스, 임신 중 약물 복용, 산후 우울증 빈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성격척도에서는 ODD군이 보다 높은 위험회피성, 새것추구성을 보이는 것에 반해 보상의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ODD를 독립된 대상군으로 선정하여 시행된 첫번째 지역사회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반항성 도전장애 아동들에게 임신-분만-주산기의 생물학적인 환경적 위험 요인과 가족 기능으로 대표되는 심리-사회학적인 환경적 위험 요인이 동시에 증상 발현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준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우울, 불안 등의 다양한 공존 병리를 보여 ODD에 동반된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ODD의 질병 경과를 파악하고 위험 요인간의 상호관계를 밝히며 공존 병리 존재 시 치료 모델을 확립하기 위한 보다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기반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of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Men Living Alone Based on Ecological System Theory)

  • 홍시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2권2호
    • /
    • pp.57-68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실제 자료간의 적합도를 검증함으로써,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켜주는 노인자살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chi}^2/df$, RMR, GFI, AGFI CFI, IFI, RMSEA 기준을 만족하여 가설적 모형을 수정없이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다.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아존중감이였으며, 요인에 대한 설명력이 55%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의 최종 결과변인으로 검정된 우울,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가족결속력, 사회활동 참여,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맞춤형 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는 가정, 경로당, 종합복지회관을 이용하는 남자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남자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확대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설문의 내용이 민감하여 제대로 답변을 못하는 경우도 있어 심도있게 향후 질적연구를 제언하며, 본 연구에서 규명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영향변인들을 근거로 남자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한 맞춤형 노인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