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족결속력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노인의 가족결속력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Family Cohesion on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 Elderly)

  • 정명희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6호
    • /
    • pp.51-60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가정 만족도, 종교 사회활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노인들이 가정을 이용하는데 가족결속력과 자기 조절능력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자기 조절능력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여가 사회활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이용 중요 전체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후에 노인의 사회활동에 필요한 요인들로서 활동가능하다.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사회활동의 범위를 세분화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조사를 토대로 앞으로의 본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첫째, 점차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는 현실에서 노인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자녀와의 가족결속력에 심리적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노인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녀와의 진실한 대화를 통한 유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노부모와 자녀들 간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상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이 생각하는 생활만족,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에만 치우쳐 있다. 앞으로의 연구는 자료수집과 분석에 어려움이 다소 예상되나 노부모와 자녀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특성을 각각 파악하고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과 자녀가 느끼는 노부모와의 결속에 어떤 일치와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가족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녀의 노부모 부담 및 돌봄의 짐을 덜어주기 위한 현실적 정책제안이 필요하다. 즉, 노인을 돌보는 자녀들에 대한 지원 정책뿐만 아니라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들이 언제든 자녀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시군구의 직영 요양시설의 증가가 필요하다. 또한 거주지의 주소지 소속에 대한 혜택을 전국 어디서든지 자녀들의 주소지의 요양시설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국가가 책임지고 재정적, 행정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하며,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의 표집대상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7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경로대학에 출석하는 대상자만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를 지닌다. 둘째, 설문조사과정에 있어서 응답자의 개인변인 등을 고려하여할 때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기 가족결속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Associations between Family Cohesion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 최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67-18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인 가족결속력과 개인요인인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설정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주요 변수들 간의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은 청소년기 학교적응력에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가족결속력 강화와 자기효능감 증진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노인의 가족결속력, 자가간호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Cohesion and Self-Care Agency on the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서금숙;염은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16-525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결속력, 자간간호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6년 9월 2일부터 9월 20일까지 B광역시에 소재한 노인복지회관 두 곳의 65세 이상 노인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재가노인의 가족결속력은 자가간호역량(r=.434, p<.001), 삶의 질(r=.544, p<.001)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가간호역량은 삶의 질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571, p<.001). 재가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가간호역량(${\beta}=0.413$, p<.001), 가족결속력(${\beta}=0.365$, p<.001)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는 삶의 질에 대해 약 42.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74.31, p<.001). 그러므로 자가간호역량과 가족결속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이 재가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ole of Family Cohesion and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Sense of Community by Regions: The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 정순둘;이아영
    • 한국노년학
    • /
    • 제41권4호
    • /
    • pp.469-490
    • /
    • 2021
  • 본 연구는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연령통합 인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만 20세 이상 85세 미만의 성인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 인식 중 지역사회 참여환경 인식은 모든 지역에서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역시와 중소도시에서 가족결속력이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모든 지역에서 지역사회 참여환경인식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연령통합인식이 부분적으로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 사회의 공동체 의식 증진을 위하여, 가족의 결속력을 높이는 방안과, 고령친화환경인식, 특히, 지역사회의 참여환경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생 자녀와 부모의 가족결속력과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and Parents)

  • 박안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39-55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 자녀와 그들 부모 간에 가족결속력 및 가족적응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어떤 요인들이 가족결속력과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의 대학생 자녀 197명과 그들의 부모 1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t-검정, ANOVA를 이용한 차이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가족기능지수는 10점 만점에 평균 $7.42{\pm}2.28$이었으며, 정상 가족기능군은 65.48%였다. 대학생 자녀와 부모의 가족결속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가족적응력은 훈육(t=-3.100, p<.01)과 역할(t=.212,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 자녀의 가족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 간의 가족활동의 공유,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이었으며, 45.9%의 설명력을 보였다. 부모의 가족결속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사분담, 가족 간의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이었으며 이들은 51.4%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가족적응력은 가족간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과 더불어 가족활동의 공유가 중요하고, 부모의 가족결속력은 가족 간 정서적 친밀감 및 가정행사 모임과 더불어 가사분담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우울감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 김윤정;강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41-249
    • /
    • 2014
  • 본 논문은 청소년, 성인, 노인의 우울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5월부터 8월 사이에 청소년 399명, 성인 473명, 노인 370명을 대상으로 전국 10개 도시에서 설문조사를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살위험과 우울감 수준은 노인이 가장 높고, 청소년, 성인 순이었으나, 가족결속력은 성인이 가장 높고, 노인, 청소년 순이었다. 둘째, 우울과 자살위험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에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청소년과 성인의 가족결속도는 우울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과 성인의 자살감소를 위해서 가족결속력을 향상시켜야 함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가족관계가 어느 시기보다 중요한 노인의 경우 우울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도의 완충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이에 대한 해석을 노년기 자살의 특성에서 논의하였다.

실직 여성가장의 가족스트레스와 심리적 디스트레스: 가족결속력 및 대처와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The Effect of Family Stress on Psychological Distress in Unemployed Female Head: The Interactions with Family Solidarity and Coping)

  • 조희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8권3호통권47호
    • /
    • pp.25-3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stress, coping, family resources 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interactions with family solidarity and coping in unemployed female head. The sample was 101 unemployed female heads(without husband) who are living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amily solidarity had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to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But the effect of coping on psychological distress was not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family solidarity was very important to decrease the psychological distress(somatization, anxiety, depression) of unemployed female head.

  • PDF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건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ceived healthcar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 한수정;김미란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39-46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건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시 고등학생 최종 119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7일부터 9월 17일까지 진행하였다.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일원 분산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건강관리능력은 가족기능의 하위영역인 가족결속력(r=.65, p<.001), 가족적응력(r=.54, p<.001)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등학생의 건강관리능력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β=.17), 자신의 건강상태 인식(β=.23), 가족결속력(β=.45)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0%로 나타났다. 추후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고등학생의 건강관리의 실천을 증진시키고, 건강한 성인기를 위한 건강교육 프로그램 중재 및 효과 검증 연구를 제언한다.

교육박물관에서의 "교육문화 페스티벌" 개최를 통해 본 가족 참여 교육 가능성 고찰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Family Particpation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Culture Festival" at the Educational Museum)

  • 엄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45-553
    • /
    • 2018
  • 최근 여가 문화 비중이 날로 증가하면서 레저 관광 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와 동시에 질 높은 문화 향유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초 중 고 자녀들의 견문 넓히기를 위해 주말이면 나들이를 떠나는 인구 비중 역시 문화 향유 기대치와 비례하여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관람객의 주말 가족 단위 여행을 통한 체험은 휴식과 놀이는 물론 교육적인 목적을 포함한 활동이기를 기대한다. 최근 교육 프로그램은 과거 아이들만 현장에 맡기는 탁아형에서 벗어나 부모가 교육 활동에 개입하는 공유형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이며, 가족간 결속과 가족 탄력성이 은연중에 스며들도록 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실현이 매우 중요해졌다. 교육의 효과는 한순간의 경험으로 끝나는 마침표가 아니라 반복된 훈련과 경험의 연속성을 통해 발현된다. 가족 간의 긴밀한 친화력과 소통, 공감 능력도 마찬가지이다.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체험과 교육의 기회 제공은 가족해체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결속력 회복을 위한 국가차원의 책무이다. 나아가 오늘날 박물관 미술관의 역할이자 의무이며 이를 통해 가족 결속력, 가족 친화력을 북돋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나 교육박물관에서의 교육적 목적 실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은 필수적이며, 사회적 차원의 '가족을 위한 교육'개발은 필연적이다. 본 고에서는 교육박물관에서의 가족 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온가족 참여 교육 결과를 가족 대상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해보고 보다 적극적인 가족 형태의 교육활성화를 제고하고자 한다.

도시숲을 활용한 주말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가족응집력과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 만족도 (Effects of Weekend Forest Healing Program Utilizing Urban Forest on Improvement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Relationship and Parental Satisfaction)

  • 박숙현;박봉주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58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숲을 활용한 주말 회기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가족 응집력과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8년 4월부터 8월까지 인천대공원에서 진행되는 주말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가한 가족 21팀(6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1회 2시간씩 총 4회 8시간으로 가족 숲체험 활동과 산림치유요법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새롭게 구성하여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주말 가족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가족응집력 및 가족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부모의 만족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따라서 산림치유활동은 가족의 응집력 및 가족관계를 개선함으로써 가족의 결속이나 정서적 유대와 같은 기능이 중요하게 인식되는 현대사회에 효과적인 치유활동으로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하며, 가족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가족체험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