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12.516

Effects of Family Cohesion and Self-Care Agency on the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Seo, Kum-Sook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Yeom, Eun-Yi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cohesion and self-care agency on the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Using a descriptive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during September 2-20, 2016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and retrieving them from 197 elderly participants aged 65 years or older in two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Results showed that family cohesion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self-care agency (r=.434, p<.001) and quality of life (r=.544, p<.001), while self-care agency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571, p<.001). The factors that had the bigges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self-care agency (${\beta}=0.413$, p<.001) and family cohesiveness (${\beta}=0.365$, p<.001). These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n explanatory power of 42.8% for quality of life (F=74.31, p<.001). Therefore, a strategy to improve self-care agency and family cohesion may be help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Keywords
Elderly; Family Cohesion; Self-care Agency; Quality of Lif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남기만, 정은경,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 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325-348, 2011.
2 김영희,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1권, 제3호, pp.1273-1287, 2009.
3 통계청, 2014 고령자통계, 2014.
4 한경혜, 윤순덕, "자녀와의 동.별거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1권, 제2호, pp.163-178, 2001.
5 조병은,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결속도와 노부모의 인생만족도," 한국노년학, 제10권, 제1호, pp.105-124, 1990.
6 박지원, 반금옥, "Circumplex Model에 근거한 취약가구 노인의 가족기능과 성공적 노화,"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39-249, 2010.
7 유정현, 성혜영,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관계 만족도의 중재효과,"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717-728, 2009.
8 김대영, 경로대학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로회신학대학, 석사학위논문, 2012.
9 유하나, 한혜율, 오혜미, 박미정,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결속력이 노인여성의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7권, 제1호, pp.469-483, 2015.
10 D. E. Orem, Nursing concepts of practice (6th. ed), Mosby Inc, 2001.
11 남기현, 만성통증 노인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2 신현선, 일 지역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만족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3 유성호, "노인복지관 이용실태에 대한 분석," 한국노년학, 제21권, 제2호, pp.91-208, 2001.
14 정미영,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행위 관련변인과 삶의 질의 관계연구," 대한보건연구, 제26권, 제2호, pp.215-222, 2000.
15 김혜진, 관상동맥질환자의 삶의 질과 자간간호행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6 이윤화, 김동기, 김홍철, "가족응집력이 노인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과 무망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69호, pp.269-289, 2015.
17 이행신, 취약계층 만성질환 노인의 자가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8 박기선, 문정순, 박선남,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 가족지지, 우울," 기본간호학회지, 제16호, 제3권, pp.345-352, 2009.
19 신동순, 재가노인의 자가간호역량 조절요인 설명력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0 소향숙, "자가간호역량의 도구개발과 그 예측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147-161, 1992.
21 소희영, 김현리, 주경옥, "ICF 모델에 근거한 노인의 삶의 질 예측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4호, pp.481-490, 2011.   DOI
22 안지숙, 최혜영,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추이,"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2권, 제2호, pp.275-287, 2018.   DOI
23 최수정,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측정도구 개발," 성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401-410, 2002.
24 유미진,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지혜 및 자가간호역량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5 M. H. Liu, C. H. Wang, Y. Y. Huang, W. J. Cherng, and K. W. Wang, "A correlational study of illness knowledge,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22, No.2, pp.136-145, 2014.   DOI
26 이은현,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간호학탐구, 제16권, 제2호, pp.24-38, 2007.
27 국민건강보험공단, 2016년 노인장기요양보험통계 연보, 2017.
28 김영근, "노인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6권, 제3호, pp.99-110, 2008.
29 강지원, 재가 노인과 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30 박경은, 권미형, 권영은,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 불안, 삶의 질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527-538, 2013.   DOI
31 A. Walker, "A European perspective on quality of life in old age," European Journal of Ageing, Vol.2, pp.2-12, 2005.   DOI
32 Z. Gabriel and A. Bowling, "Qualit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s of older people," Ageing & Society, Vol.24, No.5, pp.675-692, 2004.   DOI
33 오미숙, 일 도시지역 노인의 자가 간호역량과 생활만족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4 김재중, "노인의 배우자 사별 여부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9권, pp.137-159, 2014.
35 김승연, 고선규, 권정혜,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제26권, 제3호, pp.573-596, 2007.
36 김귀분, 이윤정, 석소현, "가족동거노인과 독거노인의 건강상태, 우울 및 삶의 질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5호, pp.765-777, 2008.
37 이홍직, "노인의 삶에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스트레스연구, 제17권, 제2호, pp.131-141, 2009.
38 배상열, 고대식, 노지숙, 이병훈, 박형수, 박종, "한국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255-266, 2010.   DOI
39 이혜상, "우리나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양을 주는 요인-일반 특성, 생활습관, 정신건강, 만성질환, 영양섭취상태를 중심으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2010-2012,"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9권, 제5호, pp.479-489, 2014.   DOI
40 D. H. Olson, J. Portner, and Y. Lavee, FACES III,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St. Paul, Minnesota, 1985.
41 안양희, "고등학교 남학생 가족의 기능적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권, 제2호, pp.169-182, 1988.
42 E. Geden and S. Taylor, Self-as-carer: A preliminary evaluation. In proceedings of the seventh annual nursing research conference, Columbia, MO: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School of Nursing, 1988.
43 권중돈, 김동기, 김기수, 박수진, "노인의 가족응집력, 스트레스, 우울 및 문제 음주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3-25, 2012.
44 송경화, 김경화, "입소시설 노인의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가간호역량 간의 관계," 한국간호연구학회지, 제2권, 제2호, pp.55-66, 2018.
45 서혜림, 백영호, 이의철, "교육수준에 따른 노인들의 자가건강관리형태, 일상생활수행능력,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제1999권, 제4호, pp.571-578,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