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교파 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views of home economics)

  • 유태명;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79
    • /
    • 2007
  •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가정 교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은 Thomas(1986)가 분류한 시대에 따른 여섯 가지의 견해, 즉 전통적 여성역할, 수공훈련, 과학지식의 응용, 가족관리, 가족발달,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집단을 도와주는 교육으로서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중학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의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독립변수는 수업방식(실험집단은 실천적 추론 수업 비교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수업), 종속변수는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으로 하여 의사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서는 '실천적 추론 수업'을,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가정과 교과서를 위주로 한 수업'을 각각 10차시씩 진행하였다. 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한 대응표본 t-test 결과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가정과교과에 대한 인식 가운데 수공 훈련을 강조하는 교과라는 인식을 감소시켰고,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집단을 도와주는 교과라는 인식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실천적 추론 수업은 가정교과를 전근대적 교육으로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좋은 수업이라 사료된다 또한 현재의 제 7차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발된 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한다고 해도 가정교과를 가족관리나 가족발달을 강조하는 교과로 인식시킬 수 있어 앞으로 가정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실험.실습 운영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Students' Recognition on the Experiment and Practice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s)

  • 송지선;두경자;홍희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45
    • /
    • 2006
  •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통합된 중학교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와 실험 실습의 가치 또는 중요성과 실생활 활용도 등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에 대한 흥미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더 많은 흥미를 보였으나, 영역별로 보면 가정영역에서는 성차가 없었으나, 기술영역에서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흥미도가 더 높았다. 학습자들은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의 내용 이해나 동기 유발을 위해 실험 실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그에 비해 운영되는 실험 실습의 양에 관해서는 부족함을 보고하였다. $\ulcorner$기술 가정$\lrcorner$ 교과의 실험 실습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가 활용도를 가장 높게 인식한 단원은 타 단원에 비해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컴퓨터와 정보처리'였으며, 활용도를 가장 낮게 인식한 단원은 주로 '자원관리와 환경', '제도의 기초'와 '기계의 이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 가정 교과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와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실험 실습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되 학습자의 성별에 따른 단원별 활용도에서 인식 차이를 고려한 실험 실습의 운영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 PDF

예비 가정교사들의 가정교과에 대한 이미지의 유형 (Preliminary Home Economics Teachers' Image of Home Economics)

  • 왕석순;남수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5-211
    • /
    • 2008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성격과 정체성, 그리고 미래 방향을 탐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정교과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인 교과의 이미지를 유형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인의 주관적 인식 경향을 객관화하여 유형화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예비 가정교사를 대상으로 가정과교과의 이미지를 유형화 하였다. 그 결과 가정교과에 대한 이미지의 유형을 총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형은 '사회의 적응을 위한 교과'로서 인식하는 집단이다. 이 유형은 가정교과를 통해 개인이 사회의 성숙된 구성원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능력이 길러지며, 미래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가정교과를 통해 완성될 수 있다고 인식하는 집단이다. 두 번째 유형은 '편견으로 소외된 교과'로서 인식하는 집단이다. 이 유형은 가정교과는 다른 교과와 비교할 때 입시와 관련이 적고 취업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아직도 가정주부들의 일을 배우는 교과로 인식하는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상처를 많이 받는 교과로 생각하는 집단이다. 세 번째 유형은 '삶의 기본요소를 알려주는 교과'로 인식하는 집단이다. 가정교과가 삶의 기본적인 요소를 가르쳐 주는 교과로 다양한 경험의 습득, 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 능력 등과 관련된 교과로 인식하는 집단으로, 인간생활의 거의 모든 면을 다루는 교과로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교과로 생각하는 집단이다. 네 번째 유형은 '가정생활을 강조하는 교과'로 인식하는 집단이다. 이 집단의 경우 가정교과를 전통적으로 가정교과가 담당하고 있었던 가정생활 영위를 위한 기술과 능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이러한 가정생활의 기술이 여성에게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남성에게도 필요한 분야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다섯 번째 유형은 '개인적 성숙을 강조하는 교과'로 생각하는 집단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집단은 가정교과가 개인의 성숙의 바탕이 되는 기본적인 자질을 배양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본적인 인격수양과 바른 인성 그리고 위기대처 능력까지를 포함한 개인발달의 기초가 되는 여러 가지 능력을 키우는 교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등학생의 기술ㆍ가정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유용성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s and Usefulness of TechnologyㆍHome Economics)

  • 김진희;김행자;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3-61
    • /
    • 2004
  •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기술ㆍ가정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유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경남지역의 고등학생으로서 6개 학교에서 5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등학생들의 기술ㆍ가정 교과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영역은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 '결흔과 육아', '직물을 이용한 생환용품 만들기', '가족생황 주기와 생활 설계'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주로 '가정' 분야로 나타났다. 2. 고등학생들의 기술ㆍ가정 교과의 흥미도에 대한 영향 변인은 성별, 학교형태 기술ㆍ가정 교과 선호도, 자아존중감 등으로 나타났다. 3. 고등학생들의 기술ㆍ가정 교과에 대한 유용성 인식이 높은 영역은 '결혼과 육아'였으며, 다음으로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 '초대와 행사의 계획과 준비', '가족생활 주기와 생활 설계'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가정' 분야로 나타났다. 4. 고등학생들의 기술ㆍ가정 교과의 유용성 인식에 대한 영향 변인은 아버지의 연령과 기술 가정 교과 선호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술ㆍ가정 교과에서 가정 분야는 기술 분야에 비해 흥미도와 유용성 인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등학교 가정과학의 운영실태 및 교과에 대한 담당교사들의 인식 -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가정과학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The Current Practic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High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ing on Busan, Ulsan and Kyoungnam Area-)

  • 김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77
    • /
    • 2005
  • 본 연구는 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중 여자고등학교와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가정과학 담당 교사 70명을 대상으로 가정과학의 운영실태와 교과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향후의 수시개정에 대비하고 보다 바람직한 가정과학의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 20일$\~$11월 26일까지에 걸쳐 조사대상학교로 설문지를 우송하는 우편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보면, 가정과학은 여고일수록 총학급 규모가 클수록 가정과학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근무교사 수도 많았다. 수업내용으로 다루고자 하는 영역을 살펴보면, $70\%$의 교사들이 4-5개 대영역을 선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가정과학의 수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학생들의 흥미부족과 참고서 부족으로 나타났다. 가정과학 고과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기술${\cdot}$가정과는 연계성이 높다고 보고 있었으며, 교과목 표면에서 진로와 직업탐색에서 취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과학의 교과내용에 대한 필요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되었으나, 교사들이 본 학생들의 흥미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특히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에 관해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기능을 많이 다루는 의생활과 주생활 영역에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낮게 나타났다. 미래 요구도 면에서는 교과내용의 전반에 걸쳐서 다소의 수정/개선과 강화가 요구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소비자역할과 보호' 및 '가족의 영양과 건강' 에 대해서는 강화, '편물과 자수', '의복의 디자인과 제작'은 내용적 축소가 요구되고 있었다. 향후 추가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최근의 가정 및 사회의 변화 현상을 반영할 필요가 제기되었고,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지닌 문제점으로 교과내용의 과다, 중복, 진부성, 심화수준의 불충분함 등을 지적하고 있었다.

  • PDF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가정교과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 경기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between Alternative and General School Students -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

  • 하윤명;이종이;이준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58
    • /
    • 2012
  • 본 연구는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가정교과의 운영실태 및 인식에 관한 비교연구를 위해 경기지역의 대안학교와 그 인근 지역의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고, 조사대상자는 대안학교 130명, 일반학교 241명이었다. 조사대상자들의 학교 만족도는 일반학교의 경우 '보통이다' 38.6%, 대안학교의 경우 '만족한다' 40.8%가 가장 많아 대안학교의 경우 학교 만족도가 더 높았다(p<0.001). 가정교과를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는지의 항목은 5점 만점에 일반학교는 3.08점, 대안학교는 3.32점으로 대안학교의 인식이 더 높았다(p<0.05). 실습 만족도와 수업 만족도도 대안학교 학생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대안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하여 시청각 학습자료의 사용이 크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실 시설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도에서 일반학교는 '보통이다'(36.9%), 대안학교는 '관심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38.5%)가 가장 많았다. 가정교과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일반학교는 67.6%, 대안학교는 79.2%로 대안학교의 경우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도의 성별차이를 살펴본 결과 '의복마련과 관리'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학교 남학생의 평균 2.82점, 여학생은 3.12점으로 여학생의 흥미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p<0.05), 대안학교의 경우도 남학생 2.84점, 여학생 3.58점으로 여학생의 흥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따라서 일반학교에 비하여 대안학교에서 부족한 시청각 학습 자료의 사용을 늘이고, 미비한 실습실 시설을 확충하여 가정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대안학교의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일반학교의 경우도 가정교과의 실습시수 확보방안이 모색되어 실습만족도와 수업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PDF

가정교과의 인식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recognition measurement of Home Economics Subject)

  • 백민경;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1-116
    • /
    • 2012
  • 이 연구는 가정교과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개방형 질문지조사, 전문가를 통한 내용타당도 검사, 예비조사의 3단계를 거쳐 조정된 문항을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4집단(중 고 학생, 학부모, 가정과교사, 교육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hi}^2$ 검증과 그 지수로서 Cramer의 V계수를 산출한 결과 총 57개 문항으로 수정되었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척도는 8개의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8개 요인의 전체 설명력은 57.439%였다. 8개 요인은 '인간의 성숙과 사회적 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실천적 교과', '전 생애에 걸친 광범위한 교양을 쌓는 교양교과', '건강한 가정생활 문화를 주도하는 생활문화 교과', '독자적인 정체성과 전문성에 대한 구축과 적극적 홍보가 요구되는 교과', '생활의 과학적 지식과 기본 능력을 길러주는 생활교과', '실생활의 유용한 경험을 제공하고 실생활에의 적용을 중시하는 응용교과', '사회적 편견으로 교육적 당위성에서 소외되고 있는 교과', '행복한 삶의 설계에 기여하는 행복 디자인 교과'로 명명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개인 및 집단이 가정교과에 대하여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타당한 잣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가정교과가 필수교과로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집단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도를 평가하는 타당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가정교과 이수여부별 남.여 고등학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차이 (The perceptions of female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on Home Economics)

  • 신용해;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between female and male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learned Home Economics and who have never learned. The number of 400 sampl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percentages, t-test, regressions and $\chi$(sup)2 analyses by SPSS/W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le students who have taken Home Economics were more likely than those who have never taken perceived Home Economics as a living science and to be interested in the subject. There were sexual differenc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learned the subject in favorite units, increases in interests,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s, etc. Sex and the level of participating household wor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of high school students.

  • PDF

고등학생의 남자 가정과교사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ubjectivity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ale Home Economics Teachers)

  • 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이 어떻게 유형화 되며 인식의 각 유형은 어떤 특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가 스스로 자신들의 의견과 의미를 만들어가는 자결적 주관성 연구에 탁월한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Q방법론의 일반적 절차를 따랐다. 먼저 Q모집단에서 Q표본 즉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표상체계로 구성된 40개 진술문을 확정하였고, 고등학교 3학년 31명으로 구성된 P표본에 의해 진술문을 Q분류하였고,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유형은 4개로 도출되었고 구체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형 1은 '개인 특성 중시형'으로, 남자 가정과교사의 '남자'라는 성과 담당 교과인 「가정」은 교사의 개인적 특성일 뿐이라는 인식특성을 드러냈다. 유형 2는 '교과 중시형'으로, 남자 가정과교사를 「가정」이라는 교과를 중심으로 인식하는 특성이 있다. 유형 3은 '역량 중시형'으로, 남자 가정과교사는 가정교과를 가르치기에 충분한 실력과 역량을 갖춘 교사라는 인식적 특성을 보인다. 유형 4는 '인성 중시형'으로, 남자 가정과교사는 가정이라는 교과에 도전한 멋진 교사라는, 교사의 인성적 특성을 중시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점점 증가하는 남자 가정과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개인의 맥락에서 심도 있게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다.

중학교 남학생들의 가정교과에 대한 요구 및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내 중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Male Pupil’s Necessity and Perocep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n Middle School in Seoul-)

  • 두경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 and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middle school male pupil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630 male pupils in Seou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le pupils generally perceived Subject’s valu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2) The male pupils in 1 grade interest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ut the higher grade, the fewer interest they are. (3) The male pupils recognized subjec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 practical joyful subject. (4) The male pupils took the affirmative view in home economics education (5) The male pupils wanted the same textbook as fem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