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과교사 교육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7초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인식과 요구도 분석 (Development of Empowerment Scale Instrument and Needs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Teachers' Empowerment)

  • 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1-14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우리나라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을 포함한 개념으로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 및 문항을 추출하고, 내용 타당도 검증과 문항이해정도에 대한 예비조사를 거쳐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를 6점 리커트 척도로 20문항 개발하였다. 가정과교사 2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Win 10.0과 AMOS 6.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요구도 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는 19문항 6요인으로 개발되었다. 수업운영능력, 영향력, 자율성, 신념, 전문성, 윤리성의 6개 요인이 전체 변량의 72.18%를 설명하였고, Cronbach's $\alpha$ 값이 0.94로 내적 일치도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살펴본 결과, 가정과교사는 현재 '윤리성'과 '자율성'을 높게, '영향력'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미래 가정과교사가 지녀야 할 임파워먼트에 대해서는 '수업운영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요구도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수업운영능력'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 PDF

제7차 중학교 '기술.가정' 8학년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 내용에 관한 가정과교사의 인식과 수업실행도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the Rate of class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the contents relevant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 of 'Clothing Life'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8 Grade in the 7th Curriculum)

  • 배현영;이종순;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1-43
    • /
    • 2010
  • 본 연구는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8학년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의 환경교육관련 내용에 관한 인식과 수업실행도 조사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환경보전실천을 높일 수 있는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중학교 의생활 단원을 가르쳐본 경험이 있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집방법으로 2007년 12월~2008년 1월에 걸쳐 우편을 통해 260부의 설문지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들은 우리나라의 환경문제가 심각하여 그로인해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환경단체에 가입하는 등의 실천의지와 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의생활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과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에 대하여 가정과교사들은 의복의 기능과 옷차림, 간단한 의복 만들기 단원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모든 단원은 환경교육과 관련성이나 수업실행도, 환경보전실천도 모두 높다고 인식하였다. 가정과교사들이 연령과 경력이 높을수록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고 환경관련 수업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교사는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만큼 의생활영역에 대해서 학생들이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높일 수 있도록 수업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자격기준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requirement criteria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 백인경;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5-125
    • /
    • 2009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교사로서 필요한 자격을 실증적 자료 수집에 의한 통계적 검증 과정(주성분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제시하고, 교사와 학생이 가정과 교사의 자격기준 중 어떤 요인(자격기준)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여,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필요한 교사로서의 자격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주성분 분석 과정을 통하여 확인된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의 전문가', '다양한 학습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 '전문적 지식을 갖춘 교과 전문가', '공정하며 민주적인 교실 환경 조성자', '학생의 특성과 환경을 이해하는 진로 및 상담전문가'의 6가지로, 이러한 6개의 총 요인은 전체분산의 60.4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6가지 자격기준 모두를 가정과 교사가 학생보다 가정과교사에게 필요한 자격으로 보다 중요한 자격기준이라고 응답하였으나, 각 자격기준의 중요도의 순위는 동일하여서 교사나 학생집단 모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영역을 가정교사의 가장 중요한 자격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 전문가'영역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과 교사들은 남자교사보다는 여자교사가, 복수 부전공을 이수한 교사일수록, 또 교사연수에 참여한 횟수가 많은 교사일수록,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의 6개 요인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생들은 가정 실습의 횟수가 많은 학생일수록, 또 가정 담당 교사를 좋아하는 학생일수록, 그리고 기술 가정 교과 성적이 높으며, 가정 영역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가정과 교사자격기준의 6개 각 요인이 가정과 교사에게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생의 교사 인식에는 가정과 수업에서의 실습, 교사 선호도,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성취도 여부가 중요한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 PDF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한 요구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 남윤진;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6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가정과수업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과 면담법을 병행하였으며 설문지는 이메일을 통하여 발송하였고 총 177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Win (ver10.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학습지도 기술의 향상과 교과내용학적 지식의 폭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자기장학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교과와 관련하여 자기장학이 필요한 부분을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과 교과내용학, 가정교육 철학 영역이라 인식하고 있다. 셋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자기장학의 유형 중 현장견학, 각종 연수 참여, 대중매체의 활용, 연구회 및 모임 참여, 동료 교사와의 정보 공유 등의 순으로 가정교과 수업의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자기장학의 활성화를 위하여 잡무경감과 시간적 여유, 교사 스스로의 의욕 회복, 물리적 자원의 지원(교실 특별실의 제반 환경 개선 등), 경제적 지원,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연수 및 학회에의 참여 기회 확대, 관련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에 대한 요구를 많이 하였다. 이와 같이,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상당히 높아졌다. 그러나 교과관련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요구가 높은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 영역과 교과내용학 영역뿐만 아니라 가정교육 철학 영역과 가정교육평가 영역에 대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지원도 병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가정과교사들은 다양한 교과관련 자료에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길 원하고 있으므로 흩어져있는 관련 자료를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지원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