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정간호사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4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 가정방문물리치료 도입에 관한 인식도 및 필요성 조사 (The Survey of Awareness and Necessity on Introduce Home Physical Therapy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 정대인;김찬규;고대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98-306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가정방문물리치료 제도의 도입과 정착을 위해 수급자 측면의 환자와 공급자 측면의 물리치료사의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참여자는 광주광역시 소재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물리치료사(130명)와 환자(96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환자(60.4%)와 물리치료사(75.4%)는 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에 의해 제공되는 신체활동 지원서비스는 전문성이 부족하며, 가정방문물리치료를 통해 질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환자 47.9%, 물리치료사 59.2%).또한 장기요양보험제도 개선 시 가장 우선순위에 대한 질문에서 환자는 급여비 절감(35.4%)과 대상자 확대(32.3%), 치료사는 전문인력 확대(73.8%)와 다양한 재활서비스의 도입(20.2%)순으로 응답하였고, 재활팀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정방문물리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환자가 의료기관에 가기 힘듦(PT 30.0%)과 노인의 신체기능이 향상(pt47.1%)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물리치료사뿐만 아니라 수요자인 환자 대부분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에 가정방문물리치료 도입에 관한 필요성 및 인식도가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제도의 시행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인지역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의사소통 능력 (Relations among the Decision Making Style, Self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Visiting Nurses)

  • 김은주;임지영;최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24-332
    • /
    • 2011
  • 현장에서 직접 대상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요구사정에서부터 중재, 평가에 이르기까지 간호제공의 전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방문간호사의 업무수행 능력을 제고의 관점에서 의사결정 유형과 셀프리더십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방문간호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과 셀프리더십은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서로 유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방문간호사의 의사결정 유형은 합리적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하여 셀프리더십 정도와 의사소통 능력 측면에서도 합리적 의사결정 유형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합리적 의사결정 유형은 의사결정 유형 중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논의되어 온 바 방문간호사가 높은 문제해결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사례로 해석할 수 있다.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Nurses)

  • 최은숙;김현숙;이소우;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9권2호
    • /
    • pp.77-85
    • /
    • 2006
  • 목적: 호스피스 완화간호 실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본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방법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외 호스피스 완화의료 7개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하였으며, 전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2명에게 우편으로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1. 국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호스피스 완화요법의 이해, 삶과 죽음의 이해, 말기 환자의 통증 및 증상관리, 기관견학 및 실습, 호스피스 병동 운영의 실제, 가정 호스피스, 건강사정(신체사정), 치료적 의사소통, 아동 호스피스, 호스피스 운영관리, 호스피스 완화의료 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윤리와 법, 심리적 사회적 영적 돌봄, 임종 관리, 사별가족관리 등이었다. 2. 간호사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3.5점 이상인 문항은 34개였다. 교육 요구도가 높았던 문항은 '죽음의 이해 ', '죽음에 대한 태도와 반응', '통증의 이해와 평가' 등이었고, 이전에 교육받은 경험이 많았던 문항은 '통증 및 증상완화', '호스피스의 윤리와 법', '호스피스 협력 및 홍보체계 구축'이었다. 3. 17개 내용을 강의, 토론 및 증례 등의 교육방법을 통하여 이론교육 48시간과 실습교육 30시간, 총 78시간의 기본 교육과정 을 구성하였다. 결론: 앞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으로 교육을 시행하여 효과를 평가하고,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실무자들의 교육 요구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실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환자안전보고 촉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tient Safety Reporting Promoting Education Program)

  • 김명수;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84-295
    • /
    • 2012
  • 본 연구는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사를 위한 환자안전보고촉진전략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구축-실행-평가단계로 진행하였다. 구축단계는 분석과 검증의 하위단계로 구성되는데, 분석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현장연구의 단계로 구성되고, 검증의 단계는 두 명의 전문가에 의해 평가받는 과정을 거쳤다. 이 단계를 통해 환자안전보고시스템, 교육자료, 홍보계획, 보상으로 구성된 환자안전보고촉진전략을 개발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구축단계에서 개발된 내용을 일개 병원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 51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중재 후, 활용 후 만족도, 스트레스인식, 업무성과정도를 전-후 점수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설계는 단일군 전후설계를 적용하였고 서술통계 및 paired t-test 를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재 후 업무성과는 3.62점에서 3.75점으로 유의하게 향상시켰다(t=2.653, p=.009). 반면 환자안전보고촉진전략의 활용이 대상자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가정 하에 중재 전-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중재 전 3.06점에서 중재 후 3.13으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t=.785, p=.434).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략은 많은 임상환경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간호사를 위한 환자안전보고를 촉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 사료된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정체선-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의 적용 (Role-Identity of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 김성재;이명선;은영;고문희;김주현;김동옥;손행미;최경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3-113
    • /
    • 2006
  • Introduc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identity through the live experiences of Home Care Nurse Practitioner(HCNP) because the role identity of a professional is constructed by continuous social interaction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of the role identity of HCNP.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2 hospital based HCNPs. This study involved two focus group discussion sand four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The main question was 'what is the role of HCNP?' The debriefing notes and field notes were analyzed using consistent comparative data analysis method. Result: First, Home care (He) is a small clinic. HCNP brings it to hom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Second, HC is the real nursing and HCNP is the 'genuine' nurse who actualizes the essence of nursing in practice. Third, HC is empowering activity to promote self-care ability of the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Forth, HC is like the dish-spinning required high-level mastery and HCNP is an expert who provides the most appropriate services to the patients. Conclusion: HCNPs have the role identity as a highly qualified professional who delivers services from hospital to home, actualizes the essence of nursing in practice, empowers the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o have self-efficacy to recover, and offers the most appropriate nursing care.

종단 대 종단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웹 서버 환자감시장치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Web Server Patient Monitoring System using Point to Point Protocol)

  • 최재석;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63-46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종단대 종단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웹 서버 환자감시장치를 구현하였다. 환자감시장치의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 심전도를 획득할 수 있는 아날로그 보드와 데이터를 처리, 전송할 수 있는 모듈만으로 구성하여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줄였다. 아날로그 보드는 기존의 심전도획득보드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전송 모듈은 전화접속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종단 대 종단 프로토콜, 인터넷을 통한 통신과 서버 동작을 하기 위한 TCP/IP, 웹브라우저를 통한 환자감시장치를 위해 HTTP 그리고 환자감시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JAVA처리 프로그램이 하나의 칩에 구현이 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성은 가정에 있는 전화망을 사용할 수 있어 별도 망을 구성하지 않아도 되며 서버로 동작하므로 계속적으로 통신망을 열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환자를 감시하고 싶을 때 감시가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환자감시장치를 제어, 감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접속과 함께 JAVA코드로 전송되어 웹브라우저에서 실행되므로 전화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라면 환자 감시를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환자감시장치는 저가의 가정용 환자감시장치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환자를 감시하기 위한 위치나 시간의 제약을 덜게 할 것이다.

  • PDF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요구도, 간호만족도 및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비교 (Comparison of Patient Needs, Patient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Type of Nurses betwee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Patients)

  • 강연진;민정아;박창순;전은영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7-328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atient-centered nursing by comparing the patient needs, patient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type of nurses for patients admitted to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between September 7 and October 9, 2021. Patients were patients recruited from a hospital in D city, 100 each from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𝜒2-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needs between the patients of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t=-1.12, p=.263). However,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the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than in the general ward (t=-3.55, p<.001). Pertaining to the communication type of nurses, the informational communication type (t=-4.02, p<.001) and the friendly communication type (t=-3.92, p<.001) were stronger in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than the general ward. It was, hence,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in the reliability domain and technical-professional domain, and that the nurse informational communication type and friendly communication typ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tisfaction. Conclusion: The expansion of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may be considered in the future, with an informational and friendly communication method as an effective response that can be adapted in practice as a reflection the type of communication among nurses.

중소병원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that Affect the Confidence of Performance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the Control of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 최미정;이미향;정선영;송민선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1-329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fidence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the control of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and to establish basic data for the interventional strategy to improve the nurses' execution of the control of infection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Methods: A total of 154 nurses working at four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situated in City C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1.0 software. Results: Confidence in controlling infections caused by multdrug-resistant organism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knowledge of this control and the health beliefs of the nurses. Factors that affect nurses' confidence in controlling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included perceived benefits (β=.431, p<.001) and knowledge (β=.354,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6.4%.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nurses have higher confidence in executing their duties with higher perceived benefits of and knowledge about the control of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As such, it is deemed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o elevate the advantages of and knowledge about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at the time of training/education on controlling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대학병원 병동간호사의 노인섬망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mong Ward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 박성숙;송민선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3-193
    • /
    • 2022
  •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nursing stress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mong word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8 to October 13, 2020,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185 ward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city D. A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nursing experience with these patients. Nurses' knowledg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lso,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nursing performanc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ere emotional intelligence and knowledg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12.5%. Conclusion: For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by ward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eriatric delirium nursing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knowledg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In addition,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es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코로나19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의사소통 능력 및 간호근무환경이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Dedicated COVID-19 Hospital Nurse on Person-Centered Care)

  • 정태명;김경아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5-17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o identify nursing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working environment factors of dedicated COVID-19 hospital nurses and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person-centered care. Methods: Participants were 211 nurses working in one tertiary hospital, two general hospitals, and one dedicated COVID-19 hospital in a metropolitan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software. Results: Person-centered ca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57, p<.001), communication competence (r=.56,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60, p<.001). As a result, communication competence (𝛽=0.33, p<.001), hospital type (𝛽=0.25, p<.001), nursing professionalism (𝛽=0.23, p=.002), nursing work environment (𝛽=0.18, p=.006) and clinical career (𝛽=-0.11, p=.045) in that order.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30.467, p<.001) and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49.6%.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and hospital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nurses to participate in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to improve person-centered care. This may enable them to enhance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on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