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스 배관재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새로운 도시가스 배관공법의 개발과 실용화

  • 내산박일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17호
    • /
    • pp.106-111
    • /
    • 1991
  • 최근 주택의 건축공법에 적합하고 시공성이 매우 좋은 배관공법으로, 스텐레스강 후렉기블관 공법이 개발되었다. 더욱이 본 공법을 활용하여 기존 주택의 내장재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가스배관을 갱신할 수 있는 보호관내 배관 공법이 실용화되었다.

  • PDF

LMG 배관시스템의 열유동 해석 및 최적설계 프로그램 개발 (A Computer Programme Development for Thermal-Hydraulic Analysis and Optimal Design on LNG Pipeline System)

  • 이상규;홍성호;이중남;박석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14
    • /
    • 2000
  • 생산지로부터 LNG 선박으로 수송되어 각 생산기지의 저장탱크로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 (LNG; Liquified Natural Gas)는 극저은인 Boiling Point보다 약간 낮은 온도 ($-162^{\circ}C$)로 전송된다. LNG 전송은 배관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배관 내에는 2상 유동 (2-Phase Flow)이 자주 형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이러한 배관내의 2상 유동대한 압력강하량 계산법을 연구하였고, 단열재와 배관 표면을 통한 외부 열유입량과 그에 따른 BOG (Boil-off Gas) 발생량 계산 방법을 연구하여, 이들을 기반으로 LNG 배관시스템의 열유동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토대로 최적의 단열재 두께와 배관 Size를 구할 수 있는 최적 설계 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이는 배관설계 시 주어진 최대 허용 압력 강하량과 BOG 발생량 등의 허용 운전 조건과, 단위 길이 당 배관가격과 단위 부피당 단열재가격을 기준으로 허용 범위 내의 최소 설비 비용을 찾는 최적 설계 방법이다.

  • PDF

탄소 섬유 복합재료로 보수된 가스 배관의 구조 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Gas Pipeline Repaired by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s)

  • 박성호;김한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2-68
    • /
    • 2014
  • 도시가스 배관의 현행 보수 방법으로는 육성 용접, 슬리브 용접과 같은 용접을 이용한 방법 이외에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복합 재료를 사용한 보수 방법이 해외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도 도시가스 배관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체보수규정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해외의 사례로서 이미 연구가 상당부분 이루어진 용접에 의한 보수 방법이 아닌 비교적 새로운 보수 방법인 복합재로 보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 보수배관의 안정성 평가의 기본 단계로서 탄소 섬유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보수한 가스 배관의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구조 해석을 수행하였고 결과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도시가스 배관용 되메움재 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s of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Pipelines Carrying Natural Gas)

  • 류영돈;곽채식;유영조;이수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5-80
    • /
    • 2008
  • 도시가스안전관리기준 통합고시에서는 도시가스배관 매설시 되메움 기초재료 및 침상재료로 모래 또는 19mm 이상의 큰 입자가 포함되지 않은 양질의 흙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대부분 모래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육상모래 고갈 및 수급곤란 현상이 발생하고, 건설공사 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되메움재가 배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국내 외의 되메움재 사용실태를 조사한 후 "모래이외의 되메움 재료"에 대한 세부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조사 연구 자료는 정부에서 가스배관의 되메움재료에 관한 도시가스안전관리기준 통합고시 기준을 개정하는 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기체공급계 재순환배관의 성능시험 및 계산 (Performance Test and Calculation of Recirculation Line in Propellant Feeding System)

  • 권오성;조남경;정용갑;한상엽;김영목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17
    • /
    • 2007
  • 기체공급계 추진제공급시스템의 재순환배관에 대하여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극저온 추진제로 액체 산소를 사용하고 재순환촉진용 분사가스로는 헬륨을 사용하여 탱크 얼리지가 대기압 상태인 경우와 4 bars로 가압된 경우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자연재순환의 발생여부와 헬륨분사량에 따른 액체산소의 재순환량 변화 및 배관 내부 온도분포를 파악하였고, 주어진 규격의 배관시스템에 대한 적정 헬륨분사량과 터보펌프 전단의 추진제 온도상승 정도를 살펴보았다. 시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순환배관의 성능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시험과 계산결과를 비교하였다.

양쪽 출구가 트인 배기가스 재순환 버너의 냉간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d Flow Characteristics of a Flue Gas Recirculation Burner with Both Outlets Opening)

  • 하지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12
    • /
    • 2018
  •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연소로 내의 고온의 온도 분위기에서 열적 질소산화물이 발생하게 된다. 연소기기에서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 배기가스 재순환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기가스 재순환 배관에 코안다 노즐을 사용하고 양쪽 출구가 트인 재순환하는 버너에 대하여 냉간 유동 특성을 전산유체해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재순환 배관이 원통 버너의 접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버너 내부에서 선회유동이 형성되어 원통 버너 중심 부분에 역류가 생기는 현상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한쪽이 막힌 재순환 버너와 유사한 경향임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양쪽 출구가 트인 재순환 버너에서 재순환 유입량은 한쪽이 막힌 버너보다 약 5%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양쪽 트인 버너에서 배기가스 재순환 배관의 유입구 위치의 출구에서는 전체 영역에서 유입 유동이 형성되고 반대편의 출구에서는 총 유량은 배출되지만 원통의 가운데 부분은 역류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출되는 출구에서 배출되는 유량은 유입되는 출구에서의 유입량보다 3~5배 유량이 크게 나타났다.

화재 위험성이 높은 노출배관 사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osed Piping with High Risk of Fire)

  • 김엽래;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61-66
    • /
    • 2015
  • 건축물 내에 노출배관의 자재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두지 않음에 따라 내부식성, 내약품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알려진 Poly Vinyl Chloride (PVC)관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시 유독가스의 발생과 화재의 확산 방지에 취약하다는 우려의 시각이 있다. 노출배관은 불연재를 사용하여야 화재시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초대형 건축물이 많이 건설되고 있는 시기에 화재시 피해의 심각성이 매우 우려된다. 건축물의 화재안전기준을 강화하고, 높아진 안전의식을 수용하여야 선진국으로의 진입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 노출배관에 사용되는 자재를 조사하고, 선진국의 기준에 대해 분석하여 효율성을 연구함으로서 국민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국내 각 지역별 건축물의 노출배관에 대해 현장의 실태를 조사하여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건축물 안전과 거주자의 안전 확보 및 국내 외 노출배관의 불연재 사용에 대한 실태를 바탕으로 관련법규를 개선함으로 국민안전에 대하여 그 효율성을 제고한다.

단열된 배관의 유도초음파 최적 발생조건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Generation Condition of Ultrasonic Guided Waves for Insulation Pipelines)

  • 이동훈;조현준;강토;박동준;김병덕;허윤실;이연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0-57
    • /
    • 2016
  • 배관은 석유화학플랜트에서 가장 많은 구성요소이며, 주요설비들에서 생산된 물질을 수송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저온 또는 고온의 물질을 수송하는 배관들의 경우 물질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온재를 배관의 외면에 덮어 사용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온재에 덮인 배관들에서 부식이 발생할 경우 보온재를 제거하지 않고서는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장검사시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비파괴적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온재 내부에서 발생하는 보온재하 부식(CUI : Corrosion Under Insulation)을 유도초음파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해서 유도초음파의 위상속도 분산선도와 파형구조의 이론적 해석을 통해 최적 발생조건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석유화학플랜트 배관의 보온재하 부식에 대한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현장검출에 적용할 경우 매우 유용할 것이다.

탄소섬유복합재료 슬리브로 보수된 KS D 3631 배관의 구조 해석 및 안정성 평가 (Structural Analysis and Safety Assessment of KS D 3631 Gas Pipeline Repaired by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 Sleeve)

  • 최종민;김한상;조성민;이승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6-103
    • /
    • 2016
  • 도시가스 배관의 손상부에 대한 적절한 보수방법은 안전한 가스이송 및 가스 배관의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육성용접, type-A 슬리브, type-B 슬리브 그리고 복합재료 슬리브와 같은 보수 방법들이 현재 도시가스 배관 보수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보수방법중 비교적 손쉬운 보수절차로 인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으며 쉽고 경제적으로 보수 할 수 있는 복합재료 슬리브를 이용한 보수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복합재 보수방법과 그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화력발전소 주증기배관에서 밸브 차단에 따른 수증기 충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eam Hammering Characteristics by Sudden Closure of Main Stop Valve in the Main Steam Piping System of a Power Plant)

  • 하지수;이부윤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0-77
    • /
    • 2013
  • 본 연구는 화력발전소 최종과열기에서 고압터빈 사이 배관과 고압터빈을 지난 곳에 있는 체크밸브와 1차 재열기 사이 배관을 포함한 수증기 배관시스템에서 터빈의 급작스런 사고로 인해 터빈으로 들어가는 수증기를 차단할 때 발생하는 수증기 충격이 배관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수격현상 해석에 많이 사용하는 Flowmaster 소프트웨어로 배관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시간 변화에 따라 배관 내부의 압력, 질량유량률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특성으로부터 수증기 충격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곡관에서 수증기 충격에 의한 힘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수증기 충격은 주증기 차단 밸브 직전의 곡관과 체크밸브 이후에 바이패스 배관과 연결되는 곡관에서 수증기 충격에 의한 힘이 가장 크게 나타남을 밝혀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도출한 힘의 기본 자료를 이용하여 차후 연구에서 화력발전소 수증기 배관시스템의 수증기 충격 시 곡관과 지지대의 안전성을 진단하는 토대를 구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