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 현실

Search Result 3,270,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Spatial Audio Rendering for AR and VR (AR 및 VR 을 위한 공간 오디오 렌더링)

  • Sang-Wook Kim;Kyeongok Kang;Taeji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14-1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현실세계에서 사용되던 오디오 처리 기법을 가상현실과 증강현실로 확장하는 기술에 대해 제시한다. 메타버스 서비스 구축 등에 활용되는 가상현실 공간을 설계할 때에는 오디오 처리를 위해서 가상현실 공간내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면에 따른 소리의 회절과 반사에 따른 잔향 효과를 고려해 줄 수 있어야 장면에 몰입된 사용자 경험이 가능하다. 증강현실 응용에서는 실제 정보와 증강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가상과 실제 정보간의 위치 정합이 영상 또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제공되어야 한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지원을 위해 현실세계 오디오 재생 기술에 추가되어야 하는 기술들과 함께 진행중인 몰입형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제표준 기술 개발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추가로 기술이 개발되고 보완되어야 할 부분을 제시한다.

  • PDF

Virtual Object Generation Technique Using Multimodal Interface With Speech and Hand Gesture (음성 및 손동작 결합 인터페이스를 통한 가상객체의 생성)

  • Kim, Changseob;Nam, Hyeongil;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47-149
    • /
    • 2019
  •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으로 보다 많은 사람이 가상현실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전의 콘텐츠 플랫폼과 달리 가상현실에서는 3차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2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변화는 보다 높은 자유도를 가지는 반면, 사용자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적응해야 하는 불편함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상에서 음성과 손동작을 결합한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터페이스는 음성과 손동작은 현실 세계에서의 의사소통을 모방하여 구현하였다. 현실 세계의 의사소통을 모방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는 추가적인 학습이 없이 가상현실 플랫폼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가상객체를 생성하는 예제를 통하여 기존의 3차원 입력장치를 대신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Virtual Reality-based Experience Service Improvement System (가상현실 기반의 체험서비스 개선시스템에 대한 연구)

  • Park, Sang-ha;Park, Koo-rack;Park, Seong-hyun;Yoon, Myu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319-320
    • /
    • 2018
  • 최근 국내에서도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분야에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과의 접목이 시도되고 있으나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전문 기술 인력과 비용 등의 이유로 적극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을 이용한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은 가상현실 체험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현실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VR education contents for substation facilitiess (변전설비 가상현실(VR) 교육콘텐츠의 효용성 연구)

  • Min, Seol-hui;Min, Byeong-moon;Han, Soon-min;Kang, Min-hyeok;Park, B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37-238
    • /
    • 2018
  • 가상현실(VR)을 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성능이 빠르게 향상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현실(VR) 기술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VR) 콘텐츠는 현실에서 재현하기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의료 및 안전 분야에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나 가상현실(VR) 교육콘텐츠에 대한 교육효과에 대한 조사 및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태이다. 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력공사와 (주)포미트에서 개발한 "GIS 설비 정밀점검 교육 콘텐츠"를 체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발전 분야에서 가상현실(VR) 교육콘텐츠의 활용성과 교육콘텐츠의 효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Study on co-relation of the leadership between reality and virtual world : focused on 'Goonzu Special' game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에서 발현되는 리더십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군주Special'을 중심으로)

  • Park, Jun-Ho;Lee, S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587-592
    • /
    • 2008
  • 게임의 교육적 목적으로의 활용에 대해 관심이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최근 게임을 통한 리더십 함양이 화두가 되고 있다. 각 기업체에서는 직원들의 리더십 함양을 위해 게임을 활용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꾀하고 있기도 하다. 특히 이 같은 흐름에는 무엇보다 MMORPG 게임이 두드러진다. 왜냐하면 MMORPG 에는 현실 세계와 흡사한 정치, 경제, 사회 시스템이 내재되어 다수의 플레이어와 협동, 경쟁을 하며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과정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과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가상세계이지만 현실과 동일한 잣대로 가상세계에서의 사용자의 성향을 판단하기에는 아직 무리가 있다. 분명 게임이라는 가상공간과 현실세계는 명백한 차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임 내에서의 리더십 유형과 현실에서의 리더십 유형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시 말해 게임을 통한 현실에서의 리더십 함양의 가능성을 언급하기에 앞서 근본적으로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리더십 양상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우선 현실세계에서의 리더십 성향이 가상세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1군주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군주 사용자의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게임 내에서 리더십을 발현시킬 수 있는 여러 요소 (긍정적 요소 장애요소 등)를 살펴보고 향후 리더십 함양을 위한 게임 기획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Muscle On-set Time of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Motions and Actual Motions in Healthy Adults (정상성인에서의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동작과 실제 동작에서의 근수축 개시시간의 분석)

  • Park, Tae-Sung;Kang, Jong-Ho;Kim, In-Bae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1
    • /
    • pp.173-177
    • /
    • 2018
  • This study compared the muscle on-set time of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motions with that of actual motions to if there difference. The subjects were 30 healthy adults subjects and compared the virtual reality moction group(punch, archery) and actual motion group(punch, archery) muscle on-set time.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reality motion group and actual motion group muscle on-set time(p>0.05).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is deemed to be applicable for use in physical therapy.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a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can be applied to patients.

Comparison of the Size of objects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and real space (가상현실 공간상에서 물체의 크기와 실제 크기간의 비교연구)

  • Kim, Yun-Ju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9
    • /
    • pp.383-398
    • /
    • 2017
  •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being used as media in various fields. In order for the virtual reality contents to be realistic, the scale of the objects in the virtual reality must be the same as the actual size, and the user must feel the same size. However, even if the size of the character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is made equal to the size in comparison with the size of the character in the reality, the distortion of the size can occur when the user looks at the object in the image with the HMD.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requirements related to size in virtual reality, and try to find out what difference these requirements have in virtual reality and how the difference affects users. Experiments and surveys to compare the size of objects in virtual reality space and the size of objects in real space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cale distortion occurs at distant and near places.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a useful research for virtual reality developers.

A Study on Immersion and Presence of VR Karaoke Room Implementations in Mobile HMD Environments (HMD 모바일 환경에서 가상현실 기반 노래방 구현물의 실재감과 몰입감 연구)

  • Kim, Ki-Hong;Seo, Beomj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7 no.6
    • /
    • pp.19-28
    • /
    • 2017
  • There exist a variety of VR(Virtual Reality) contents that have been developed by the use of the latest VR technologies. Unlike the rapid advances in the recent VR devic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VR based game contents that fully utilize such cutting-edge devices has been lackluster. Using more accessible form of smartphone-based HMDs(Head-Mounted Displays), we compare two popular VR presentation methods(a realistic 3D VR karaoke room and a 360 degree video karaoke room) and analyze their users' immersion and realistic perception. We expect that our study can be utilized as a supporting guideline for future smartphone-based VR content developmen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P based Networked Virtual Reality System (중요도 기반의 네트워크형 가상현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강종호;임성수;김은정;오세웅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71-474
    • /
    • 2000
  • 오디오, 비디오를 취급하는 네트워크형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가상공간의 품질은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린 컴퓨터의 자원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공간의 품질을 제어하기 위해 IoP(Importance of Presence)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실제 네트워크형 가상현실 시스템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Mixed Reality Technology Using HMD (HMD 기반 혼합현실 기술)

  • Kim, H.S.;Jeon, J.K.;Eom, G.M.;Kim,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3
    • /
    • pp.20-27
    • /
    • 2017
  • 최근 많은 종류의 HMD(Head mount display) 출시로 전시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고, 포켓몬고와 같은 게임을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이 사용자들에게 일반화된 개념이 되어가고 있다. 이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의 개발자 버전 출시를 통해 현실을 기반으로 가상현실과 같은 몰입감의 혼합현실을 제공하는 기술이 단순 컨셉트가 아니라 현실의 서비스로 실현되어 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가상현실, 증강현실의 일부 또는 독립적인 개념으로 분류되는 혼합현실, 특히 HMD 기반의 혼합현실 개념과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된 HMD 기반 혼합현실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