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38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ffects of Simulation Program using Immersive Virtual Reality: Meta-analysis (몰입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 Choi, Moon-Ji;Kim, Kyeng-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3
    • /
    • pp.381-38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imulation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VR). Examination of databases resulted in identification of 1,415 studies of which 3 satisfied the inclusion data.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version 4.0.2 to calculate the effect sizes, explore possible causes of heterogeneity, and check for publication bias, using a funnel plot. The mean effect size of the simulation program was medium (g=0.35), along with the skill performance (g=0.59), satisfaction (g=0.38), knowledge (g=0.21). Finally a funnel plot was produced to check for publication bias, but no significant bias was detec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mulation program using VR affects nursing education.

3D interfaces for data visualization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몰입형 가상현실에서의 데이터 가시화를 위한 인터페이스)

  • Hur, Yo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511-514
    • /
    • 2011
  •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의 발전으로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의 구현이 가능해졌으며, 이런 현실감으로 인해 가상현실은 자동차 설계나 의료분야뿐만 아니라 시뮬레이션 실험 등의 공학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실용 범위가 꾸준히 넓어지고 있다. 이런 가상현실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실제로 체험하기 어렵거나 실재하지 않는 물체 또는 상황을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으로, 가상현실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분야에 적용하게 되면 데이터에 대한 보다 직관적인 해석이 가능해진다. 또, 데이터의 크기 및 복잡도의 증가로 인해 데이터 처리를 고성능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경우 가상현실 환경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하고 가시화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몰입형 가상현실에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가시화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3차원 인터페이스에 대해 소개하고 구체적인 데이터 제어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런 3차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3차원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Framework for Visualizing Rotor Dynamics Data on Immersive VR Environments (몰입형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로터 동역학 데이터 가시화를 제어하는 가상현실 프레임워)

  • Hur, Young-Ju;Kim, Min-Ah;Lee, Joong-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71-274
    • /
    • 2010
  • 컴퓨터에서 생성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일련의 가시화(VIsualization)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이 적용됨으로써 인간이 해석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되게 된다. 연구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수치의 나열로 구성돼 있던 시뮬레이션 데이터가 보다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고성능 컴퓨터(HPC)의 발달로 인해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크기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데이터의 크기가 기가바이트를 넘어 테라바이트에 이르는 경우도 흔해지고 있다. 기존의 가시화 시스템에서 복잡해진 가시화 데이터를 면밀하게 해석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며, 그로 인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나 몰입형 가상현실 장치의 도입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현 시점에서 클러스터 시스템을 이용한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가상현실 환경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거의 유일하다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특히 로터 동역학 분야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가상현실 환경에서 가시화하고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레임워크와 인터페이스를 소개할 것이다. 이 프레임워크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로터 동역학 분야의 시뮬레이션 데이터와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한 해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반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game synchronized with real robot (로봇과 동기화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게임의 개발)

  • Shim, Jae-Youn;Yoo, Hwan-Soo;Sung, Hyun-Se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8 no.4
    • /
    • pp.33-42
    • /
    • 2018
  • Virtual reality can user experience the virtual world of computer and stimulate user eyesight and emotions. HMD can acquire and stimulate user behavior and sensory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rtual reality game using robot control. Controlling the robots using various interfaces and synchronizing them with the virtual reality game. In this paper, we use OID mat for robot movement detection based optical code recognition and Kalman filter.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on Nursing Process Competency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과정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Lim, Jung-Hy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9
    • /
    • pp.401-409
    • /
    • 202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nursing process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after apply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 nursing college students using URL from February to April 2021 and analyzed SPSS 22.0.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 of each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nursing process competency(t=-3.776,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3.608, p=.001) and self-efficacy(t=-3.580, p=.001).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improve nursing process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will be the basis for preparing effectiv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strategies for nursing students. It is suggested to have follow-up studies on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and various scenarios should be developed.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o Industrial Safety (안전을 위한 가상현실의 응용)

  • 기재석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33-39
    • /
    • 2000
  • 실 상황하에서 안전에 대한 훈련이나 시뮬레이션은 매우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훈련을 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몰입감 있는 가상환경을 구축하여 활용하면 참여자가 위험에 직접 노출되지 않고 안전에 대한 훈련을 받을 수 있으며, 여러 시나리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현실의 안전분야에 대한 응용은 급속도로 확대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의 안전분야 응용에 대한 범주를 제시하고, 응급상황의 발생 시에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가상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개발단계를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the Virtual Reality Space Design Simulation (가상현실 공간설계 시뮬레이션의 교육적 활용 탐색)

  • Kim, Ji-Yun;Jung, Bokmoon;Yoo, Jiyeon;Lee, Tae Wuk;Kim, Kw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39-442
    • /
    • 2021
  • 가상현실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신산업으로 꼽히는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공간설계의 교육적 가능성을 확인하고 교육적 활용을 위한 툴로서 3D 컴퓨터 그래픽 제작 소프트웨어인 블렌더와 3D 객체를 웹에서 쉽게 렌더링해주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three.js를 이용한 건축 내외장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프로토타입을 개발 및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식으로 학습자들은 자유도 높은 가상공간 공간설계가 가능하여 조형놀이의 형태로 학습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에서 구현한 프로토타입과 같은 방식으로 가상현실 공간설계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토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imulation and Analysis of the Emergency Response Training for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조류인플루엔자 재난대응훈련 시뮬레이션 기술연구)

  • Kang, Min-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1
    • /
    • pp.19-26
    • /
    • 2019
  • Simulation using the virtual reality has been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xercise, education, disaster simulation training, but there is a little research on disease caused by virus transmiss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simulation studies and analysis of avian influenza disaster response training. The annual avian influenza virus is recurring every year in Korea, but there are still few solution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the preventing the avian influenza. The avian influenza can cause a great deal of societal harm and enormous economic damage. Prophylaxis is important because livestock epidemics, such as avian influenza and foot-and-mouth disease, have a large impact on farm households. Therefore, we proposed and analyzed contents that can be avoided through simulation of avian influenza disaster response presented in this study.

Workbench System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위한 워크벤치 시스템)

  • Gu, Bon-Wook;Lee, Hyun-Sook;Jang, Tae-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306-30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워크벤치 시스템과 가상현실 햅틱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워크벤치를 통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구현된 모델을 바라보며 SensAble 사의 PHANToM Omni 햅틱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물체에서 느낄 수 있는 촉각을 재현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의 실제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새로운 워크벤치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Expertise Level on Task Load and Easy-to-use in Virtual Reality Based Dental Clinical Simulation (치과임상용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서 사용자의 숙련도 수준이 과제부하와 사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 Jeong, Museok;Lim, Taehyeong;Ryu, Jeeh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258-270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malocclusion examination for dental education. A 4-step modeling procedure was applied to develop a tooth model with a realistic level in order to be held and observed in detail. Eighty-six participants used HMDs to examine the developed virtual dental simulation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according to expertise levels. The independent variable, expertise group, included three levels: 29 juniors, 29 seniors, and 28 dentists, respectively. The dependent variables, that were task-load and usability, were measured through two cases. Results showed that the junior group perceived a higher level of mental demands and embarrassment than the dentist group. It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task load varies according to the expertise levels in the simulation task. However, the senior group perceived a higher level of ease of use than the dentist group.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