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구배치유형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거주자의 성격유형별 가구배치의 선호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Furniture Layout Preference Characteristics with the Personal Types)

  • 김남효;서정연;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244-251
    • /
    • 2005
  • With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cience and environmental psychology, there have been growing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design preferences and personality types. MBTI personality types have been earning popular credibility. MBTI means Myers-Briggs Type Indicator. It is based on Carl Jung's theory of psychological type. This study is based on Myers-Briggs theory to explain residential furnishing preference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bi-polar personality types-Extroversion/Introversion, Sensing/Intuition, Thinking/Perceiving and residential furnishing preference. These tests were conducted to two hundred and twelve adult residents who live in Seoul, Korea. These tests were analyzed several significances by Chi-Square with SPSS for windows software. (E) Extroverted residents prefer layouts for interaction with guests. (I) Introverted residents prefer centripetal layout around the bed. (S) Sensing residents prefer practical and functional layouts. (N) Intuitive residents prefer personal and conceiving layouts. (T) Thinking residents prefer for attribute of space. (F) Feeling residents for familiar conversation. (J) Judging residents prefer systematic and complete layouts. (P) Perceiving residents prefer adaptable and flexible layouts. In conclusion, personality types can have a determining role in preference of residential furnishing layouts. This study suggests that residential designers should take into account clients' personality types prefer effective designing and should provide a variety of alternatives reflecting clients' preferences. This will promote clients' pleasantness and satisfaction in dwelling at home.

초등학교 학교도서관 기능 공간의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Type of Faculty Space in Library)

  • 신동준;이상호;임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5-179
    • /
    • 2009
  •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은 기본적으로 교육 및 정보를 전달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교사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간 구성은 세부 공간 간의 기능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공간과 가구의 경제적 배치(LAYOUT)가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공간과 가구를 잘 배치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고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기능공간의 배치유형을 조사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학교도서관의 전문화, 다원화, 개성화 하여야하는 목적과 교육환경 및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초등학교 도서관의 사용자인 학생 측면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공간의 점유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도서관 계획시 보다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가구 유형에 따른 여름철 공동주택의 실내온열환경과 냉방 조절 행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Residents' Control Behavior of Cooling according to Household Type in Apartment)

  • 배치혜;배누리;전정윤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89-96
    • /
    • 2008
  • This study measured the thermal environment and residents' control behaviors of cooing according to 3 groups of household type-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families of middle age and families of senior.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to fmd the difference of the actual condition of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cooling control behavior by age or household type and to develop user oriented climate control syste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When the age of members at household is younger, the indoor mean temperature and temperature that people turned off the air conditioner became lower. These different indoor thermal environment of each group means that younger generation is familiar with cooler from their early age and these early uses of cooler made them prefer cooler condition than family of senior. Therefore, this results show that different indoor thermal environment i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household type and metabolism difference and so on.

거주자 가구배치 선호경향을 고려한 실 유형별 붙박이장 위치선정 (Determination of closet position by room style based on movable furniture layout preference of residents)

  • 진경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0호
    • /
    • pp.86-93
    • /
    • 2003
  • Korean traditionally prefer a house with a southern exposure to other styles. Moreover, pretty part of dwelling style in Korea is apartment building. But generally, there are much more north oriented rooms than opposite one in apartment. Generally, most Korean tends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the room as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the arrangement of their furniture. Also, the location of window, door, bed, and closet can affect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furniture layout. So, the closet position should be determined by not only window direction and door position, but also the furniture arrangement preference of residents. After considering the window and door position, there are 16 alternatives in a room. (Multiplied 4 window directions by 4 door position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window and the door cannot be on the same side of the wall.) Also, this study analyzed each room style ratio considering the symmetry of each plan by comparing the apartment building plan. This paper studied the bedroom style by analyzing the 180 apartment building plans and survey of furniture layout; the furniture in this study represents bed and desk those are mainly laid in Korean bedroom.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the methodology to find optimal alternatives of furniture and closet layout for high-rise apartment residents, based on the door and window position, and the furniture layout preference of residents.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가구계획 및 배치유형 분석 (Analysis of Furniture Planning and Layout Type in Subject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y)

  • 장아리;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80-188
    • /
    • 2015
  • University libraries aim to improve not only educational effects but also the general quality of colleges. A primary way of pursuing this goal is through providing professors and students with sufficient amounts of available references and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academic purposes. However, even though university libraries are intended to be us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ifferent fields, they tend to provide mostly books. This limited offering of resources means that they are not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regular libr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spatial design of a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n a college library. Included in the design are recommendations for the type and placement of the furniture in the room. The summary of results for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layout of data space and reading space in a subject specialization room can be categorized into both document-oriented (document centralized and document categorized) and reading-oriented (reading centralized, all, and group types). The public reading seats and private reading seats in a subject specialization room, according to their ratio, can be divided into private reading, public reading, and distributed reading sections. The ratio of open-spaced tables is higher for groups of four or more people, but users often sit separately from others in order to ensure privacy. Unfortunately, this practice results in seating gaps that do not make efficient use of space. The result is that the public reading seats are less efficient than the private reading seats in terms of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cubicles.

한국형 오픈하우징 시스템 개발을 위한 우리나라의 주생활 행태에 관한 연구(I) - 3침실형 30평형대를 대상으로 - (The Behaviors of Spatial Usages in Korean Apartment for Development of Open Housing System(I) - with special reference to 30s pyong apartment with 3 bed rooms -)

  • 김미희;이유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91-9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behaviors of spatial usages such as patterns of spatial usages, perception on residential spaces, and furniture arrangement.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were adopted in this study, and 146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with 3 bedrooms, stairway access, and 3-bay style in the City of Gwangju.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at 1) dining-kitchen (DK) was conceived and used as a space not only for dining but also family gathering and guest reception. Dining table without refrigerator was frequently found in furniture arrangement of DK, and refrigerator has been relocated in utility room facing DK. The results imply the need for social interaction that has been growing. Anbang (master bedroom) has been perceived and used as couples' private area, aside from the traditional function of family interaction. A coordination of both bed and wardrobe out of different furniture arrangements was popular in anbang. Living room was used as a multi-purpose room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family gathering, guest reception, and housekeeping. Sofa and cabinet were the most common furniture arrangement in living room. The research results are a basis for development residential open housing system.

소가구 증가에 대응한 공동주택지 지구단위계획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ct Unit Plan in Apartment Housing with the Increase of 1~2 person Households)

  • 윤정중;최상희
    • 지역연구
    • /
    • 제34권3호
    • /
    • pp.29-42
    • /
    • 2018
  • 우리 사회의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가구형태도 1~2인의 소가구가 53.3%로 과반을 넘고 있어 향후 이를 주거단지에서 어떻게 계획으로 수용하여 적절한 주거공간을 만들어갈지가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가구화 증가 추이에 대해 기존의 지구단위계획이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소가구화에 대응한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요소별 개선방안과 적용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소가구와 관련한 지구단위계획의 지침과 내용을 분석하고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인 가구 증가에 대응하여 다양한 주거유형의 지구단위계획상 반영이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고, 소형공동주택, 쉐어하우스, 독신자전용주거 등 1인 가구 주택특성에 맞는 가구 획지, 건축물 배치, 건축물 형태 및 외관 등과 관련한 계획요소도 제시하였다. 또한 무인택배시설, 게스트하우스 등 부대복리시설의 도입, 유치원 등 수요가 낮은 부대복리시설의 재검토 등 1인 가구 거주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요소와 방안들은 향후 공동주택의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과 운영기준 등을 작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도서관의 공간구성과 가구배치 유형 계획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Furniture Arrangement of Preschooler's Library)

  • 박지민;윤정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27-13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oncept about a plan direction of preschooler's library, and provide a design type of preschooler's library.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For the preschooler's reading area, it should be segregated between schooler and preschooler.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library use action and a development characteristic, it needs to be segregated to avoid conflict using library for both of those groups. 2) The space composition of preschooler's library stands up, and of a tube considers a traffic line of a user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systematizes a child, and to cause an interest of preschoolers. 3) Furnitures and equipment of preschooler's library must arrange in consideration of human body size of a user in a tube.

한국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여가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중심으로 (Study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lderly and Their Leisure Time Spending : Analyzing the Data of Hours of Living 2014)

  • 김형민;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7-67
    • /
    • 2019
  • 목적 : 통계청 201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한국노인의 여가생활시간의 유형을 살펴보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생활시간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생활시간조사 원 자료(Raw data) 중 65세 이상 노인 9228명의 일반적 특성과 시간 사용에 해당되는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가구 개인관련 사항과 주된 행동에 관한 여가생활시간 사용에 따른 행동분류(대분류 1개, 중분류 7개, 소분류 39개)를 최종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한국노인들은 여가생활시간 유형 중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구관련 사항에 따른 여가생활시간 분석 결과 성별, 가구 소득은 문화 및 관광활동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혼인상태의 경우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과 문화 및 관광활동 유형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개인관련 사항에 따른 여가생활시간을 분석한 결과 교육정도는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경제활동 상태와 월평균 소득의 경우 문화 및 관광활동과 의례 활동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개개인의 배경(Context) 안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발견하고, 이를 삶 속에 적절히 배치시킬 수 있는 균형 잡힌 여가생활시간의 활용이 필요하겠다. 더불어 한국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건강하고 활력 있는 노후생활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방안이 필요하겠다.

전통 목조건축 서까래의 이형적(異形的) 배치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variant placement method of the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rafter)

  • 홍은기;장헌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4호
    • /
    • pp.110-125
    • /
    • 2015
  • 본 연구는 잦은 수리가 이루어지는 평연(平椽) 부분을 대상으로 서까래에 나타나는 변형의 흔적을 통해 서까래 배치에 대한 수리 방식과 변형이 이루어지는 시기 등을 고찰하고 이형적(異形的) 배치 방식이 사용된 건물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에 덧서까래 방식의 한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던 '덧걸이' 방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 기초 연구로써 하연(下椽)과 상연(上椽)이 엇갈려 결구되지 않고, 하연 끝뿌리에 덧도리가 사용되고 덧도리 상부에 상연이 새롭게 배치되는 방식이다. 조선 후기(18세기 중반) 이후부터 건물의 수리 중에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등장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19세기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덧걸이 방식이 사용된 26동의 건물을 중심으로 덧도리가 사용되지 않던 유형에서 덧도리가 사용되고 추가 보강재가 사용되는 단계로 차츰 발전해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덧걸이 방식이 갖는 구조적 특징은 크게 4가지로 첫째, 하연 뒷뿌리에 상연을 받기 위한 덧도리가 사용되었다. 덧도리의 사용은 상연을 배치할 때 하연과의 관계성이 적어져 시공상의 편리성을 제공하였고 하연의 뒷뿌리를 눌러주는 힘이 증가해 처마의 처짐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반자가 구성되어 반자 내부의 구성에 자율성이 부여되었다. 천장을 이용해 내부가구를 가림으로써 상부가구의 간소화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하연 뒷뿌리가 빠져나가는 길이에 제한이 없어지게 되었다. 또한 일부 건물에서 보이는 추가 보강재들은 상연을 한번 더 눌러주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셋째, 기존 엇걸이 방식에서는 하연과의 연계성이 더 크던 지붕 기울기가 덧걸이 방식에서는 상연과의 연계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덧걸이 방식에 사용된 서까래는 상연이 하연의 굵기에 비해 얇은 특징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