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ct Unit Plan in Apartment Housing with the Increase of 1~2 person Households

소가구 증가에 대응한 공동주택지 지구단위계획 개선방안

  • 윤정중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최상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8.09.10
  • Accepted : 2018.09.22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Population growth in Korea is slowing down, and the ratio of 1~2 person households has exceeded 53.3% of the total. And in the future,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how to accommodate as proper planning in residential areas. In this paper, we examine whether the existing district unit plans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trend of the increase in small-sized housing, and we propose improvement plans for elements of the district unit plan and measures to enhance its applicability in response to small-sized housing. To do this, we analyzed the guidelines and contents of the district unit plans related to small-sized housing in recent 6 residential sites, and derived problems and improvem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we proposed the items that need to be reflected in the district unit plan related to various housing type for one person household. And planning elements related to households, housing site, building layout, and architectural shape and appearance were also proposed, which were suitabl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such as small-sized communal housing, share-house, and single-person housing. It also suggeste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should be considered for hous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introduction of auxiliary welfare facilities such as unmanned delivery box and guest houses, and exclusion of low-demand auxiliary welfare facilities such as kindergartens. The suggested content can be used to make guidelines for small-sized housing in district unit plan.

우리 사회의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가구형태도 1~2인의 소가구가 53.3%로 과반을 넘고 있어 향후 이를 주거단지에서 어떻게 계획으로 수용하여 적절한 주거공간을 만들어갈지가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가구화 증가 추이에 대해 기존의 지구단위계획이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소가구화에 대응한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요소별 개선방안과 적용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소가구와 관련한 지구단위계획의 지침과 내용을 분석하고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인 가구 증가에 대응하여 다양한 주거유형의 지구단위계획상 반영이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고, 소형공동주택, 쉐어하우스, 독신자전용주거 등 1인 가구 주택특성에 맞는 가구 획지, 건축물 배치, 건축물 형태 및 외관 등과 관련한 계획요소도 제시하였다. 또한 무인택배시설, 게스트하우스 등 부대복리시설의 도입, 유치원 등 수요가 낮은 부대복리시설의 재검토 등 1인 가구 거주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요소와 방안들은 향후 공동주택의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과 운영기준 등을 작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18,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 2018.1.2 개정본.
  2. 국토교통부, 2008, 국민주거안정을 위한 도심공급활성화 및 보금자리주택 건설방안.
  3. 권세연.박환용, 2014, 서울시 1인 가구의 주거환경만족 영향요인 연구, 주택연구, 22(1), pp.77-104.
  4. 김보나.서귀숙, 2013, 소규모 1인가구를 위한 공동체 주택계획, 한국주거학회논문집.
  5. 김진영, 2013, 여성 1인가구 소형임대주택계획을 위한 주거의식과 주거요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4), pp.109-120. https://doi.org/10.6107/JKHA.2013.24.4.109
  6. 김옥연.문영기, 2009, 1인가구 주거실태 분석: 서울시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7(2), pp.37-53.
  7. 박보림.김준형.최막중, 2013, 1인가구의 주택점유형태: 연령 및 소득요인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8(1), pp.149-163.
  8. 배건이.정극원, 2014, 1인 가구 주거지원을 위한 주택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토지공법연구, 64, pp.157-176.
  9. 서울특별시, 2017, 서울특별시 지구단위계획 수립기준.
  10. 윤정중.최상희.권영태.이진희.윤서연, 2015, 인구.사회변화에 따른 공공주택단지의 지구단위계획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대전: 토지주택연구원.
  11. 조하은.김의준, 2018, 서울시 청년 1인 가구 주거 문제 분석-주거소비면적 감소현상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34(1).
  12. 통계청, 인구총조사.장래가구추계,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13. 한국토지주택공사, 2007, 성남판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
  14. 한국토지주택공사, 2013, 강남보금자리주택지구 지구단위계획시행지침(변경).
  15. 한국토지주택공사, 2013, 서울서초 보금자리주택지구 지구단위계획시행지침.
  16. 한국토지주택공사, 2013, 김포한강 택지개발사업 제1종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17. 한국토지주택공사, 2013, 위례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18. 한국토지주택공사, 2014, 구리갈매 공공주택지구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19. Landeshauptstadt Stadt Munchen, 2006, Wohnen in Munchen VI, p.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