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ypes of leisure time spending of the Korean elderly according to the data of Hours of Living 2014 from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compare and analyze features of leisure time spending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Method : This study has only adopted the data of 9228 elder people whose ages were above 65, a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ime spending features form the data of Hours of Living 2014. The final comparison and analysis has been made through behavior classification (1 major classification, 7 medium classification, 39 minor classification), which reflects how the elderly spend their leisure time according to their household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Result : Firstly, the Korean elderly were found to spend most of their leisure time with media. Secondly, analyzing the features of leisure time spending based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ir gender and household inco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ypes of leisure time activities except for cultural and sightseeing activity. And their marital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the leisure time activities excluding leisure time activity with media and cultural and sightseeing activity. Thirdly, analyzing the features of leisure time spending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ir education level ha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ypes of leisure time activities. As for their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average monthly income, the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most of the leisure time activities excluding cultural and sightseeing activity and ritual activity. Conclusion : We should help to find meaningful occupation within personal contexts and arrange it properly with balanced leisure time spending. Moreover, it is highly important to have appropriate occupational approach to prevent social isolation of the Korean elderly, and ensure their fruitful and successful later life.
목적 : 통계청 201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한국노인의 여가생활시간의 유형을 살펴보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생활시간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생활시간조사 원 자료(Raw data) 중 65세 이상 노인 9228명의 일반적 특성과 시간 사용에 해당되는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가구 개인관련 사항과 주된 행동에 관한 여가생활시간 사용에 따른 행동분류(대분류 1개, 중분류 7개, 소분류 39개)를 최종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한국노인들은 여가생활시간 유형 중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가구관련 사항에 따른 여가생활시간 분석 결과 성별, 가구 소득은 문화 및 관광활동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혼인상태의 경우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활동과 문화 및 관광활동 유형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개인관련 사항에 따른 여가생활시간을 분석한 결과 교육정도는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경제활동 상태와 월평균 소득의 경우 문화 및 관광활동과 의례 활동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개개인의 배경(Context) 안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발견하고, 이를 삶 속에 적절히 배치시킬 수 있는 균형 잡힌 여가생활시간의 활용이 필요하겠다. 더불어 한국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건강하고 활력 있는 노후생활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방안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