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구구조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34초

일인가구의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People Living Alone)

  • 이현민;김욱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3호
    • /
    • pp.147-177
    • /
    • 2018
  • 본 연구는 일인가구의 정신건강 증진의 기초 자료의 구축에 기여하기 위하여 일인가구의 대인관계와 우울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역할과 삶의 만족을 통해 발생하는 간접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기 위해 동거가족 없이 혼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 일인가구 300명을 대상으로 전국 규모의 대표성이 있는 2012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인관계의 질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가 우울의 완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일인가구를 고립의 대상으로 바라보기보다 친족 관계자원을 비롯해 비친족 관계자원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이를 통해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해 나간다는 대인관계의 강점자원을 발견했다. 둘째, 대인관계의 질은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우울을 감소시키는 삶의 만족의 간접효과가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혼자 사는 사람의 삶의 만족도 향상 및 우울 수준 완화를 위한 현실적인 실천적 개입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전통짜임의 활성화를 위한 조형적 분석 (Shape Analysis for the Activation of a Traditional Zzaim)

  • 남궁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18-426
    • /
    • 2013
  • 본 연구는 전통공예기술인 짜임을 현대 가구디자인에 활용하기 위해 조형적인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리된 짜임의 분석 자료를 토대로 가구를 제작하는 데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짜임을 이용한 가구로 생성될 수 있는 형태를 조사한 결과, 판재+판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구, 판재+각재 2축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구, 판재+각재 3축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구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가구의 위치에 따라 사용되는 짜임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으로 가구의 상부에 주로 사용되는 짜임의 종류와 가구의 중앙부에 사용되는 짜임, 가구의 하부에 주로 사용되는 짜임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짜임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짜임은 그 사용되는 위치나 가구의 형태에 따라 그 구조를 이루는데 필요한 짜임이 다르다. 그래서 일반인들이 처음 짜임을 접할 때는 어떤 짜임이 어디에 사용되어야 되는지 파악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가구의 조형분석을 통해 가구의 형태별, 가구의 위치별로 적용할 수 있는 짜임을 분석하여 정리함으로써 장인이 아닌 일반인들에게 대중적으로 짜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동북아 가구류 무역구조 분석을 통한 항만물류 비즈니스 모델의 탐색 (A Study on Trade Structure of Furniture and Port Logistics Business Model in North-east Asia)

  • 오용식;권문규;구경모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1-257
    • /
    • 2014
  •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필자들은 한중일 3국의 협력적 물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보완과 새로운 제안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정 산업의 물류네트워크에 초점을 두었고, 지금까지 다루어진 바가 거의 없는 가구산업에서 새로운 한중일 협력적 물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구산업은 한중일 3국에서 모두 해외 의존도가 높고 물류문제가 이슈가 되는 산업이다. 따라서 가구류 수출입 물류구조는 항만배후지를 이용하여 합리화될 수 있는 여지가 크고, 거기에서 새로운 물류 비즈니스를 창출할 기회가 엿보았다. 그 결과 부산항 가구물류센터에서 중-일간 크로스독 기능과 일본향 수입가구 조립배송기능을 담당할 것을 제안하였다. '중일 크로스독 센터' 모델은 중일항로에서 부산항이 가진 지리적 이점과 고밀도 네트워크를 활용한 것이며, '일본향 수입가구 조립배송센터' 모델은 일본 수입가구의 조립과 배송기능을 부산 신항 배후지로 이전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가구류 항만물류 비즈니스모델의 현실화에는 크게 보아 적극적 투자유치활동의 전개, 부산항의 경쟁력 유지 강화, 부산신항 배후부지 활성화 등 3가지의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 라이프스타일 기반 스마트홈 공간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smart home space design based on lifestyle of one person household)

  • 전진배;안세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1-262
    • /
    • 2018
  • 현대사회의 1인 가구는 전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홈서비스를 1인 가구가 효과적으로 제공받기 적합한 공간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현황 조사와 1인 가구 라이프스타일 분석과 원룸형 주택의 구조 및 유형 분석, 국내 스마트홈서비스 선호도 조사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여 스마트홈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는 공간디자인 방향을 계획하였다.

  • PDF

국내 가구 교통비의 지출 구조 및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n Expenditure Structures and Impact Factors of Household Transportation Cost)

  • 한상용;이재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3-4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1995~2007년까지의 도시가계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의 가구 교통비 지출구조를 분석함과 동시에 교통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고, 교통비 지출에 의한 소득분배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통비 지출구조 및 소득효과 분석에 있어 경제학적 방법론의 적용과 탄력성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분석결과, 가구 교통비 지출 부담은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크고, 공공교통비보다는 개인교통비의 증가가 도시 근로자들의 교통비 지출액 증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경제 사회 및 통행특성 등 가구 특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공공교통비, 개인교통비, 대중교통비용, 자가용 승용차 비용 등 4개의 개별 교통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교통비 지출은 소득 양극화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특히 공공교통비보다는 개인교통비 지출에 의한 부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큼을 알 수 있다.

영암사지(靈巖寺址) 금당의 목조 가구구조(架構構造) 복원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of Wooden Frame Structure of Kumdang in Yongamsaji)

  • 윤재신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5호
    • /
    • pp.25-4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Buddhist temple, Kumdang in Youngamsaji which assumed to be built in the 9th century of Unified Silla Dynasty. The remaining site of Kumdang in Youngamsaji is investigated thoroughly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bay size and column distribution. Th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which were built in the same period also have the same frame type as Youngamsaji Kumdang. These five ancient Buddhist temples and Kumdang in Youngamsaji are meticulous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bay sizes and measuring modules. The framework schema is devised as a conceptual tool to conjecture wooden frame structures of Buddhist temple. A theoretical differentiation between frame type and frame structure is attempted to formulated a wooden frame structure as a stepping-stone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mainly follows the oldest Korean wooden pavilion, Muryangsujeon in Busuk temple, with a hip and gable roof. The wooden frame structure of 9C Kumdang in Youngamsaji is reconstructed through 3D computer modeling to such an extent that every wooden components of the structure can be 3D printed. The reconstruction also takes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융합디자인 가구의 변천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Design Furniture)

  • 김미숙;강화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7-143
    • /
    • 2018
  • 융합을 기반으로 4차 산업 혁명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가구산업에도 IT기술과 융합한 스마트가구가 출시되면서 우리 생활에 편리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을 기반으로 가구디자인 특성을 시대 변천에 따라 분석 하였다. 20세기 전 후의 융합 가구는 동양의 건축양식이나 캔틸레버와 같은 건축구조 및 재료를 융합한 디자인적 특성을 보인 반면, 21세기의 융합 가구는 IT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홈서비스 및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는 융합가구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소비 추세로 인해 소형 공간에 적용 가능하도록 복합적인 기능의 가구, 기능의 융합이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융합가구 디자인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이제까지 낙후산업이라 인식되었던 가구산업이 첨단 산업으로 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볼 수 있음과 동시에 본 논문이 가구산업의 발전에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가구주율법에 의한 장래가구추계 (A Household Projections Using Headship Rate Method)

  • 김형석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3권1호
    • /
    • pp.65-90
    • /
    • 2002
  • 가구는 인구, 사회, 경제적으로는 물론 통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단위이다. 전통적으로 가족주의에 기반을 둔 한국 사회가 최근산업화, 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가구 구조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어, 장래 가구를 추정하는 것은 비단 산업이나 학문뿐 아니라 가족복지 정책을 수립하는데도 매우 중요하다. 장래가구를 추계하는 방법으로는 가구주율법이 단순하면서 자료에 대한 제한이 적을뿐더러, 한국 사회처럼 혼인 연령이 빠르게 상승하는 사회에 적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장래 가구 주율은 가구주가 35세미만인 경우에는 선형로그식, 35세이상인 경우에는 순천이율(net transition rate)로 추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장래 가구주율 추정결과를 보면, 남자는 35-39세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50-54세에 정점에 달하는 일봉(one peak)패턴을, 여자는 20대에 증가하다가 30-34세에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쌍봉(two peaks)패턴을 보였다. 한편 가구추계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20대 및 노인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나는 1인 가구에 대해 가구형성과 해체 패턴을 좀 더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나타났다.

  • PDF

저소득층의 자살생각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물질적 어려움의 경험을 중심으로 - (Suicidal Ideation among Low-income Households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Material Hardship -)

  • 이재경;이래혁;이은정;장혜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181-201
    • /
    • 2016
  • 본 연구는 저소득층이 경험하는 물질적 어려움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7~9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가구주를 분석단위로 2,081가구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물질적 어려움을 경험한 저소득 가구주는 물질적 어려움을 경험하지 않은 가구주보다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물질적 어려움의 4개 하위변수들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는 식품 불안정이나 신용불량을 경험한 가구주가 그렇지 않은 가구주보다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물질적 어려움과 자살생각의 정적인 관계가 여성가구주 집단보다는 남성가구주 집단에서, 비노인가구주 집단보다는 노인가구주 집단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 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 사회구조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예방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

우리나라 임가의 구조와 임업경영 - 2005년의 임업총조사와 임가경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Structure of Forestry Household and Forest Management in Korea - The Case of 2005 Forestry Census and the Economic Survey of Forestry Household -)

  • 김철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05-71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업총조사 결과의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2005년 임업총조사와 임가경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임가 구조 및 임가 소득에 대한 구조를 파악하는 데 였다. 분석결과, 2005년 현재, 우리나라의 총 임가 수는 97,108가구였으며, 이 중 전업임가는 7,925가구(8.2%), 겸업임가 88,183가구(91.8%)로서 우리나라의 임가는 대부분 겸업인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가의 평균 가구원수는 2.7명으로 농가인구와 비슷하였다. 임가 경영주의 연령은 60대가 32,628명 (33.6%)으로 가장 많았으며, 60세 이상인 경영주가 51,505명으로 전체의 53%를 차지하고 있었다. 임가 경영주의 임업종사기간은 6개월 이상이 39,229가구(40.4%)로 가장 많았으며, 1개월 미만은 7,216가구(7.4%)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보유 임가의 산림보유 평균 면적은 4.6ha 이였으며, 업종별로는 벌목업 임가에서 19.5ha를 보유하여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임가의 가구당 평균 소득은 27,148천원이었으며, 이 중 임업소득은 6,529천원으로 임가소득의 24.1%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임가의 임산물 판매는 500만원 이하인 임가가 51,633가구로 전체 임가의 64%를 차지하고 있었다. 임가의 임업경영비는 가구당 평균 6,566천원이었다. 한편, 임가가 존재하는 마을 수는 우리나라 전체 36,041개 마을 중 32.8%를 차지하는 11,829개 마을이었으며, 행정구역 중 경상북도의 2,979개 마을에 임가가 존재하여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