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건물

검색결과 1,043건 처리시간 0.022초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콜라비의 생육과 품질에 대한 적정 재식밀도 (Optimal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hlrabi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 운찬일;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4-109
    • /
    • 2019
  • 식물공장에 재배 가능한 작물은 매우 다양할 것으로 본다. 식물공장에서 재식밀도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콜라비의 재배에 적합한 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형태는 형광등을 이용한 완전제어형태로, 박막수경재배를 이용하여 재배하였다. 재식밀도는 $22plants/m^2(15{\times}30cm)$, $27plants/m^2(15{\times}25cm)$, 그리고 $33plants/m^2(15{\times}20cm)$로 처리하였다. 식물체당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또는 식물체당 벌브의 지상부 생체중와 건물중에는 재식밀도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위면적당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또는 단위면적당 벌브의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에는 재식밀도가 높은 처리구($33plants/m^2$)에서 높게 나타났다. 재식밀도와 초장, 엽면적, 광합성, 경도 및 엽록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식밀도와 벌브 높이와 지름 및 당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재식밀도가 낮은 $22plants/m^2$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벌브 높이와 지름을 보였으며, 당도 또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경제성을 고려한 생육적인 측면에서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은 재식밀도 $33plants/m^2(15{\times}20cm)$가 적정하였으나, 당도와 같은 품질적인 측면에서는 재식밀도 $22plants/m^2(15{\times}30cm)$가 적정하였다.

알팔파(Medicago sativa L.) 7개 품종(品種)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근류균접종(根瘤菌接種)의 영향(影響) (Effect of Inoculation (Rhizobium meliloti) on the Plant Height and Dry Matter Yield in Seven Alfalfa (Medicago sativa L.) Varieties)

  • 김무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3
    • /
    • 1975
  • 현지기후풍토(現地氣候風土)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는 7품종(品種) Alfalfa (Washo, Ranger, Lahontan, Narragensett, Atlantic, Vernal, Moapa 69)의 건물생산량과 생육(生育)에 미치는 근류균접종효과에 관한 실험(實驗)을 비교적 척박한 토양(土壤)에 종자(種子) 30l에 근류균(根瘤菌) 6oz 비율로 도말하여 파종(播種) 1973-74년 2년간(年間) 실시하였다. 1. 공시된 품종(品種)에서 근류균(根瘤菌)을 접종(接種)한 구(區)가 접종(接種)하지 않은 구(區)에 비하여 초장(草長) 및 건물량(乾物量)에 있어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2. 1973년(年) Pot 시험에서 접종구(接種區)의 건물생산량은 Moapa 69> Vernal> Lahontan> Washoe> Atlantic> Narragensett> Ranger 의 순(順)이었다. 3. 다음해 포장(圃場)에 이식(移植)한 후에는 접종(接種)과 무접종간(無接種間)의 건물생산량에 차이가 없었다. 총건물(總乾物) 생산량은 Washoe> Lahontan> Moapa 69> Ranger> Narrangensett> Vernal> Atlantic의 순(順)이었다.

  • PDF

호맥의 생육시기별 수량과 Whole crop silage의 품질에 관한 연구 II. 호맥의 생육시기별 Silage의 품질 (Study on the Quality of Whoie Crop Silage and Yield by Stage of Maturity of Rye Plant II. Quality of whole crop rye silage by stage of maturity)

  • 고영두;곽종형;문영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3-156
    • /
    • 1987
  • 본 실험은 이른봄에 많이 생산이용되고 있는 호맥을 수영기, 출영기, 유숙기, 호숙기 및 황숙기의 5단계로 예취하여 이들을 임과로 silage를 만들었을 때 그 품질을 분석비교한 것으로써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ilage의 건물회수율은 난숙기부터 높아졌고 (P<0.01), Total-N에 대한 ammonia 태실표의 비율은 난숙기(9.37%)와 호숙기(12.7%)가 낮았다. (P<0.01). 2.Silage의 건물과 건물회수율 및 건물과 pH의 상관관계는 각각 0.782및 0.785로서 정(+)의 상관이 있었고(P<0.01), 건물회수율과 수분 및 $NH_3-N$간에는 차(일)의 상관이 있었다 (P<0.05). 3. 생율단계별 silage의 유기산함량에 의한 품질평가로서는 난숙기와 호숙기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호맥은 수량과 silage의 품질면에서 볼 때 호숙기에 예취하여 silage로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

CASE Study: Policy implications of HAZUS analysis

  • 김용균
    • 한국방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8-52
    • /
    • 2008
  • 대형태풍 카트리나가 준 주요 교훈 중의 하나는, 위험도 분석에 기반한 종합적인 재해경감 프로그램의 중요성이다. 미국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위험도 분석(risk analysis)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해 왔다. HAZUS(Hazarda-US) 프로그램은 대표적인 자연재해 예측 시스템으로서, 위험요인 파악(hazard identification), 지역사회의 취약성 분석(vulnerability of the society), 그리고 피해결과예측(loss estimation)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1992년 지진을 대상으로 개발된 이 프로그램은 현재, 지진 홍수 허리케인 윈드에 대해 피해예측을 할 수 있는 HAZUS-MH MR3가 사용 중에 있다. FEMA에서는 주정부에서 HAZUS를 활용, 피해 예측에 기반한 재해경감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정적 기술적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4년 머릴랜드 주에서는 미국 최초로 주 전역에 걸친 홍수피해 예측을 실히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경감정책을 추진하였다. 머릴랜드 주정부에서 Salisbury 대학에 의뢰하여 수행한 홍수 피해 예측 과정은, 조사구역 및 위험요인(홍수) 결정, 사용 데이터 확정, 수문학적 분석, 수리학적 분석, 피해예측(건물 용도별 피해면적, 건물 용도별 피해액, 건물 재질별 피해면적, 건물 재질별 피해액, 지역의 경제학적 피해)의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홍수피해 예측 결과, 100년 빈도 홍수가 재현될 경우, 주 전체 면적 중 13%이상의 지역에서 약 80조 이상의 피해액이 예측됨에 따라, 종합적인 재해경감 대책의 필용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머릴랜드 주정부에서는 홍수피해예측 결과를 토대로, 주정부 재해경감 예산 재분배, 홍수터 보호, 건물규제 강화, 토지이용계획 재조정 등 보다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재해경감 프로그램을 추진하였다. 머릴랜드 주정부의 이번 연구는 주정부로서는 최초로 HAZUS를 활용하여 주 전역에 걸친 피해예측을 실시한 것으로서, 피해예측 시스템이 어떻게 주정부의 과학적 피해경감 프로그램에 기여할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 PDF

하번초형 혼파초지의 목초이용성 비교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Herbage Utilization of Turf Type Mixtures)

  • 이형석;이인덕;이중해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701-706
    • /
    • 2004
  • 본 연구는 2001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하번초형 혼파초지 {Turf type mixtures: Kentucky bluegrass(Newport) 40%+tall fescue(Rebell Jr.) 20%+perennial ryegrass(Palmer II) 10%+redtop(Barricuda) 10%+red fescue(Salem) 10%+creeping bentgrass(Crenshaw) 10%}에서 수확한 1번초(4월 24일)의 목초와 상번초형 혼파초지 {tall type mixtures:orchardgrass(Potomac) 40%+tall fescue(Fawn) 20%+Festulolium braunii(Paulita) 10%+perennial ryegrass(Feveille) 10%+timothy(Climax) 10%+red clover(Kenblue) 5%+alfalfa(Vemal) 5%}에서 수확한 1번초(4월 24일)를 공시하였다. 시험축은 한국재래산양을 8두를 공시하여 건물소화율, 건물섭취량,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섭취량은 하번초형 초지(28.9g/BW,kg/day)가 상번초형 초지(26.2g/BW,kg/day)에 비하여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세포내용물질(cellular constituents)의 소화율은 하번초형 초지가 높은 편이었으나(P<0.05), DM, NDF 및 ADF 소화율은 두 초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외관상 생물가는 하번초형 초지(56.7%)가 상번초형 초지(56.4%)보다 높은 편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3) 외관상 대사에너지 축적률은 하번초형 초지(58.3%)가 상번초형 초지(57.9%)보다 높은 편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재래산양에 의한 하번 초형 목초의 이용성은 상번초형 초지에서 생산된 목초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료원으로 이용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하겠다.

우리나라 실내조경식물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대형건물의 Lobby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Interior Landscape Plants in Large Buildings in Seoul)

  • 박상헌;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54
    • /
    • 1989
  • 최근 몇년동안 식물은 빌딩 실내디자인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서울시 대형건물 28개소를 대상으로 실내조경식물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사항을 알 수 있었다. 1. 우리나라 대형건물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의 층은 Dracaena속, Monstera속, Philodendron속, Schefflera속, Washingtonia속의 순으로 나타났다. 2. 품종별로는 몬스테라(페루투사 종), 쉐프렐라 홍콩, 와싱토니아 야자, 관움죽, 디펜바키아(하와이 스노우 종) 순으로 나타났다. 3. 실내식물은 대부분이 관엽식물로 99.5%를 차지 하였다. 4. 덩굴성식물은 모두 9품종으로 나타났는데 헤데라(피트스버그 종) 에피프레늄은 지피식물로 군식으로 식재되어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다음이 옥스카르디움, 신고니움(마크로필럼 종) 순으로 나타났다. 5. 실내식물의 대부분이 프라스틱분을 사용하였으며, 배치형태는 바닥이 전체 58%를 차지하고, 실내정원과 선반위에 배치한 것이 각각 19%, 18%를 나타내었다. 6. 실내식물의 초장은 50cm 이내가 51%를 차지하고 50cm-2.8m가 43%를 차지하였으며, 가장 초장이 긴 것은 카나리아 야자로 4m로 측정되었다. 7. 실내의 조도가 500Lux 이하로 측정된 건물이 43%나 되어 식물이 정상적인 생장을 위하여 인공조명을 필요로 하고, 인공조명을 설치함으로서 화분을 교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8. 대형건물에서의 실내식물의 구입목적은 탐방객을 위한 것이 88%로 나타났다. 9. 관리자들의 식물재배형태는 화분 받침대를 이용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10. 실내에서 식물생장을 위해 가장 중요한 환경요소는 광과 조도, 수분이었다.유되어 있었으며 당분은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무는 3.2m일 때 10년후에는 30%가, 4.2m일 때 20년 후에 30%가 겹치게 되며, 백목련의 경우는 3.3m일 때 10년 후에 30%가 겹치며, 4.2m 일 때 30%가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년 후까지는 수종간에 차이가 없으나 20년 후를 고려하면 느티나무의 식재간격은 다소 넓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행동의 설명력있는 이유로 볼 수 없다.때로는 민담에서도 풍수가 주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통하여 취락민이지녀온 자연요소에 대한 인식관 또는 그러한 생활에서 나타나는 윤리관 등이 암암리에 표현되기도 한다. 민담을 통하여 우리는 주민들 의식 속에 남아있는 취락의 중요한 요소나 장소들을 찾아볼수 있고 더불어 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지도 모를 생활모습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ulcorner$순응$\lrcorner$의 다른 일면 또는 때에 따라서는 극히 의도적인 $\ulcorner$표현$\lrcorner$적인 한 면모 - 그 대표적인 경우로 정원을 구성하는데 개재된 인간의 의미는 무언가를 표현 또는 표출하고자 함에 있다는 점 -라 볼수도 있을, 예로써 성리학적 사고관념으로써 집과 정사 그리고 주변 경관을 자신의 내적본직 또는 윤리적 영역으로 삼아 묘사.표현.구체화 시켜가기도 한다. 최소한 동족부락의 한두 예들에서 그러한 $\ulcorner$표현$\lr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 PDF

보행공간디자인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가로의 보행공간구조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fferentiation of Pedestrian space -Focused on a Comparison of the structure of Pedestrian space in the Street-)

  • 김진우;이재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3-232
    • /
    • 2004
  • 가로 안이 보행공간은 가로가 존재하는 지역특성에 따라서 보행자가 보행 시 시각적으로 느끼는 이미지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특성은 가로형태를 조성하는 가로의 물리적인 공간구조에 기인한다. 즉, 가로의 구조적인 차이에 의해서 보행자는 지역의 차이를 다른 이미지로 인지하게 된다. 어떠한 가로구조가 지역의 특징적인 이미지를 창출하는 가로구조인가, 이러한 구조에 부가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과연 어떤 요소들인가를 지역가로의 보행공간을 중심으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연구범위는 보행공간구조와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보행자들이 많이 모이는 번화한 지역의 가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의 가로 중에서 차선 수를 기준으로 4차선이상의 가로 중ㅇ서 보행공간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정된 10개의 보행공간의 이미지는 Df/H(보도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와 D/H(가로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의 비율의 차이로 2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2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보행공간의 이미지는 어떤 이미지라고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관이미지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형용사들을 사용하여 2그룹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었다. 그 중 하나의 이미지는 “번화함의 이미지”이며 다른 하나는 “쾌적함의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또 선정지역의 보행공간의 연도건물의 성격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2개의 그룹이 상업지역과 업무지역으로 나뉘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번화함의 이미지”는 상업지역에, “쾌적함의 이미지”는 업무지역의 보행공간의 이미지라고 인식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로 4차선이상의 가로구조를 가진 보행공간에서 보행자가 느끼는 가로이미지의 차이는 보도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의 차이, 가로 폭과 연도건물의 높이의 비율의 차이에서 따라 다른 이미지를 인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특성을 부여하는 가로를 디자인할 경우, 가로구조 특히 보행공간의 구조를 형성의 지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강원 영서지역에서 겨울 및 여름 사료작물 이모작 시 생산성 (Double Cropping Productivity of Winter and Summer Forage Crops in Yeongseo of Gangwon Province)

  • 손범영;원용재;김성국;김민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1-76
    • /
    • 2021
  • 본 시험은 강원 영서지역에서 겨울사료작물(IRG 및 트리티케일)과 여름사료작물(사료용 벼) 이모작 시 양질 조사료의 최대 수량 생산 작목조합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겨울사료작물의 건물률은 IRG '코윈어리'가 평균 29.6%로 트리티케일 '조성'의 평균 35.5%보다 낮았다. 평균 생체수량은 '코윈어리'가 2,662kg/10a, '조성'이 2,836kg/10a로 두 작목 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평균 건물수량은 트리티케일 '조성(996kg/10a)'이 IRG '코윈어리'(696kg/10a)보다 많았다. 여름사료작물인 사료용 벼의 건물률은 '조농'이 평균 34.5%, '조우'가 평균 35.0%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평균 생체수량은 '조우'가 5,367kg/10a로 '조농'의 3,966kg/10a보다 많았다. 또한 평균 건물수량도 '조우(1,936kg/10a)'가 '조농(1,433kg/10a)'보다 많았다. 겨울사료작물인 트리티케일 '조성'을 10월 중순에 파종하여 이듬해 5월 하순에 수확한 후 여름사료작물인 사료용 벼 '조우'를 6월 상순에 이앙하는 조합으로 2,982kg/10a의 최대 건물 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Italian ryegrass의 추계예취시기가 목초의 재생 , 탄수화물축적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utumnal Cutting Times on the Regrowth , Accumulation of Carbohydrate and Dry Matter Yield of Italian ryegrass ( Loium multiflorum ))

  • 안계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1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추파(秋播)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추계예취시취(秋季刈取時取)가 목초(牧草)의 재생(再生), 탄수화물축적(炭水化物蓄積) 및 건물수량(乾物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遂行)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예취시기(刈取時期)가 빠른 구(區)일수록 높았고(P<0.05), 예취시기(刈取時期)가 제일 늦은 구(區)는 무예취구(無刈取區) 보다도 수량(收量)이 낮았다. 2. 건물중(乾物中) 전수용성탄수화물(全水溶性炭水化物)(TSC)의 함량(含量)은 일번예취직후(一番刈取直後)에 약간(若干) 떨어졌다가 재생장(再生長)에 따라 점점(漸漸) 높아졌으며 이번초(二番草) 예취기(刈取期)에 가까울수록 다시 떨어졌다. 기온(氣溫)이 영하(零下)로 하강(下降)하기 1주일전(週日前)의 TSC 함량수준(含量水準)은 그루터기, 줄기, 잎 별(別)로 모두 예취시기(刈取時期)간 빠른 구(區)일수록 고수준(高水準)이었으며 (P<0.01), 이번초(二番草)와 건물수량(乾物收量)과의 사이에 상관(相關)이 성립(成立)되었다(P<0.05) 3. 개체군(個體群) 생장속도(生長速度)(CGR)는 평균기온(平均氣溫)이 $8^{\circ}C$에서 하강(下降)할수록 떨어졌으며 상승(上昇)할수록 높았다. 상대엽면적생장율(相對葉面積生長率)(RLGR)과 순동화율(純同化率)(NAR)은 각구(各區) 모두 재생(再生)30일간(日間)이 가장 높았으며 재생후기(再生後期)에는 저하(低下)되었다.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LAI)의 증대(增大)는 각구(各區) 모두 예취후(刈取後) 50일(日)까지는 빨랐으며 그 후(後)에는 완만하였고 최대치(最大値)의 범위(範圍)는 $3.4{\sim}5.8$이었다. 또한 예취후(刈取後) 70일(日)까지의 LAI가 큰 구(區)일수록 이번초(二番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이 높았다. 4.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는 저온기(低溫期)의 TSC, LAI ,CGR, NAR 및 LWR와 이번초건물수량(二番草乾物收量)과의 사이에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엇으며, 그 공헌도(貢獻度)는 LWR>LAI>TSC>NAR>CGR의 순(順)이었다.

  • PDF

고구마 품종 간 이면접목에 의한 생산능력과 저장능력 (Source and Sink Relationship in Diallell Grafting among Sweet potato Cultivars)

  • 남상영;정승근;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9-93
    • /
    • 2001
  • Source와 Sink의 차이가 있는 고구마 품종간 이면 접목을 통하여 수량에 미치는 source와 sink의 상대적 기여도를 구명함으로서,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율미, 신율미, 건미, 홍미 및 선미의 5품종을 공시하여 저장능력과 생산능력을 분석 하였다. 1.경엽중과 괴근중에 대한 일반접목효과(GGE), 특정접목효과(SGE) 및 정역접 목 효과(RCE)가 모두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총 건물중은 접목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며, 접목조합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3. 생산능력은 접수 그리고 저장능력은 대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4.신율미는 잠재생산능력과 잠재저장능력이 높아, 총 건물중이 많았으며, 홍미와 율미는 잠재생산능력이 낮아 총 건물중이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