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Interior Landscape Plants in Large Buildings in Seoul

우리나라 실내조경식물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대형건물의 Lobby를 중심으로-

  • 박상헌 (성균관대학교 농과대학 조경학과) ;
  • 심경구 (성균관대학교 농과대학 조경학과)
  • Published : 1989.07.01

Abstract

In recent years plants have increasingly become in inferior part of the interior designing of large buildings. In 28 large buildings selected at random in Seoul City have been subjected to studies on utilization status of fille interior landscape plan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lant class found in Interior of large buildings were 59 class, especially Dracaena were the most predominent plants among them, and then comes Monstera, Phiodendron, Schefflera, and Washingtonia in that order. 2. The most abundant ornamental plant cultivars were Monstera adansoii(Monstera perutusa cv.), and then comes Schefflera arboricora(Schefflera Hong Kong cv.), Washingionia rubusta (Washingtonia palm). Rhapis excelsa, and Diffenbachia(Hawaii Snow cv.) in that order. 3. Foliage plants among the interior landscape plants showed 99.5 percent and Woody plants and Bonsai plants showed each 0.4, 0.1 percent. 4. Climbing foliage plants found in 28 large building observed For the present study were 9 cultivar, and the most abundant plants were Hedera (pittsburgh cv.) and Epipremnum (Marble Queen cv.) pl anted to clustered planting. 5. A majority of plants used to plastic pot, and most of 71an1s place on the floor. 6. Height of plants ranging less then 50cm were more frequently found, but ranging from 50cm to 2.0m were 4.3 percent and the most predominent height of plants were Canariensis showed 4m in the large buildings. 7. Interior light intensity in large building were shortage, therefore artificial lamp for formal growing needed to be equipped. 8. Purpose growth of interior plants were to in order visitors. 9. 7he superintendents prefered to used pot-stand. 10.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factor for plant growing were light, humidity, and water.

최근 몇년동안 식물은 빌딩 실내디자인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서울시 대형건물 28개소를 대상으로 실내조경식물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사항을 알 수 있었다. 1. 우리나라 대형건물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의 층은 Dracaena속, Monstera속, Philodendron속, Schefflera속, Washingtonia속의 순으로 나타났다. 2. 품종별로는 몬스테라(페루투사 종), 쉐프렐라 홍콩, 와싱토니아 야자, 관움죽, 디펜바키아(하와이 스노우 종) 순으로 나타났다. 3. 실내식물은 대부분이 관엽식물로 99.5%를 차지 하였다. 4. 덩굴성식물은 모두 9품종으로 나타났는데 헤데라(피트스버그 종) 에피프레늄은 지피식물로 군식으로 식재되어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다음이 옥스카르디움, 신고니움(마크로필럼 종) 순으로 나타났다. 5. 실내식물의 대부분이 프라스틱분을 사용하였으며, 배치형태는 바닥이 전체 58%를 차지하고, 실내정원과 선반위에 배치한 것이 각각 19%, 18%를 나타내었다. 6. 실내식물의 초장은 50cm 이내가 51%를 차지하고 50cm-2.8m가 43%를 차지하였으며, 가장 초장이 긴 것은 카나리아 야자로 4m로 측정되었다. 7. 실내의 조도가 500Lux 이하로 측정된 건물이 43%나 되어 식물이 정상적인 생장을 위하여 인공조명을 필요로 하고, 인공조명을 설치함으로서 화분을 교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8. 대형건물에서의 실내식물의 구입목적은 탐방객을 위한 것이 88%로 나타났다. 9. 관리자들의 식물재배형태는 화분 받침대를 이용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10. 실내에서 식물생장을 위해 가장 중요한 환경요소는 광과 조도, 수분이었다.유되어 있었으며 당분은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무는 3.2m일 때 10년후에는 30%가, 4.2m일 때 20년 후에 30%가 겹치게 되며, 백목련의 경우는 3.3m일 때 10년 후에 30%가 겹치며, 4.2m 일 때 30%가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년 후까지는 수종간에 차이가 없으나 20년 후를 고려하면 느티나무의 식재간격은 다소 넓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행동의 설명력있는 이유로 볼 수 없다.때로는 민담에서도 풍수가 주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통하여 취락민이지녀온 자연요소에 대한 인식관 또는 그러한 생활에서 나타나는 윤리관 등이 암암리에 표현되기도 한다. 민담을 통하여 우리는 주민들 의식 속에 남아있는 취락의 중요한 요소나 장소들을 찾아볼수 있고 더불어 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지도 모를 생활모습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ulcorner$순응$\lrcorner$의 다른 일면 또는 때에 따라서는 극히 의도적인 $\ulcorner$표현$\lrcorner$적인 한 면모 - 그 대표적인 경우로 정원을 구성하는데 개재된 인간의 의미는 무언가를 표현 또는 표출하고자 함에 있다는 점 -라 볼수도 있을, 예로써 성리학적 사고관념으로써 집과 정사 그리고 주변 경관을 자신의 내적본직 또는 윤리적 영역으로 삼아 묘사.표현.구체화 시켜가기도 한다. 최소한 동족부락의 한두 예들에서 그러한 $\ulcorner$표현$\lr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