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문자>

검색결과 1,060건 처리시간 0.051초

온라인 뉴스 웹사이트의 로그를 이용한 연관규칙 발견에 관한 연구 (Mining Association Rules from the Web Access Log of an Online News website)

  • 황현석;유기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7-57
    • /
    • 2013
  • 인터넷의 활용으로 기업활동의 많은 영역이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고객이 웹사이트 방문 후에 어떤 활동을 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경영활동의 성과로 연계하기 위해 웹 로그를 분석하고 있다.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도 방문자의 활동을 파악하고 어떤 기사에 관심이 많은지, 어떤 분야의 기사를 많이 보는지 등을 파악하여 독자에게 서비스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언론사의 웹사이트 로그를 분석하는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뉴스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로그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웹사이트 내에서의 활동을 파악하고 뉴스 기사간 연관규칙을 도출한다. 연구는 크게 방문자의 세션(session)을 파악하는 첫 번째 단계와 방문자가 읽은 뉴스 기사간의 연관규칙을 살펴보는 두 번째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차례에 걸쳐 수집된 웹사이트 로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규칙의 의미와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 고려해야 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다중이용 웹서버 하에서의 보안운영체제 개선을 위한 로그관리 통제시스템 강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Log Management Control System For Improving Secure Operating System Under Multi-using Web-server)

  • 김예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56-1059
    • /
    • 2007
  • 본 논문은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문자들의 방문 기록을 관리하는 로그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는데 첫째, 사용자 로그인 표시에 사용자 정보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를 확인하는 절차를 적용하였다. 둘째, 개인 정보보호 같은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 포함된 로그관리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서버와 안전한 사용자 로그인을 위한 채널을 생성하도록 하였다. 셋째, 사이트 접속 에러 분석시 웹사이트 관리할 때 방문자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사이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제공해 주고 허가된 비인가자의 접근 체크 기능을 부여하였다.

  • PDF

상환인식 기반 방문관리 시스템 (A Context-Aware Visi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이수호;하상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583-586
    • /
    • 2004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의 상환인식 서비스 구축은 일반 응용서비스와는 달리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차별화된 처리를 요구한다. Context Toolkit은 상황인식 서비스 구축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이며, 입출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인식과 방문자목록 가입을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방문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문관리를 위해 Context Toolkit을 기반으로 한 방문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적용한다.

  • PDF

다수 방문자를 위한 혼합형 그룹 방문 경로 생성 시스템 (Hybrid Group Path Planning System for Multiple Visitors)

  • 신춘성;우운택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5-31
    • /
    • 2010
  • 본 논문은 전시장의 다수 방문자를 위한 혼합형 그룹 경로 생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혼합형 그룹 경로 생성 시스템은 다수 방문자들이 조화롭게 자신들의 방문 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있도록 그룹 내 각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합병하고, 자동 선택과 사용자 참여를 혼합하여 적절한 방문지를 선택하고 경로를 생성 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합병에서는 전시장에 대한 개별 사용자 프로파일을 곱하기 효용 함수를 적용하여 그룹 프로파일로 합병한다. 그리고 합병된 사용자 프로파일과 개별 사용자의 선호도를 차이가 적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선호도와 융합된 프로파일과 차이가 큰 경우에는 방문 가능한 곳을 추천하여 사용자들이 경로를 설정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혼합형 그룹 방문 경로 생성 시스템의 유용함을 보이기 위해 11명의 사용자를 모집하여 여러 가지 전시관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경로 생성 기법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시스템의 자동 선택과 사용자의 선택적인 참여가 융합된 제안하는 방법이 그룹 사용자의 경로 설정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학 웹페이지 방문자 패턴분석 (Analysis on the Visitors' Pattern of the University Webpages)

  • 전미현;권혜정;황자희;김규태;조형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7권4호
    • /
    • pp.153-158
    • /
    • 2018
  • 대학 내 기관별 웹페이지의 방문자 패턴을 분류하고, 하이퍼링크에 따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방문자수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웹페이지 언어에 따라 영문 홈페이지는 국문홈페이지 방문자수와 선형적인 연관관계를 가졌으나 낮은 비율의 방문패턴을 보였으며, 단과대학이 개별학과에 비해 높은 방문자수를 보였다. 웹페이지 하이퍼링크의 중심성(Centrality) 분석에서는 사이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을 정도(degree)로 정규화한 값이 방문자수의 상한 값에 대응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홍보효과를 위해 홈페이지 내용, 구조 설계뿐만 아니라 웹상에 적절한 노출 전략도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의 관광목적지 선택차이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First Time and Repeat Visitors' Tourism Destination -Focusing on Seoul City)

  • 김민선;엄혜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648-654
    • /
    • 2016
  • 본 연구는 순수 관광을 목적으로 서울 지역을 방문하는 외래관광객을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로 분류하여 이들이 선택한 관광목적지에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한 '2015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외래관광객이 방문한 관광지 20개소를 중심으로 연결망 자료를 구성하고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밀도와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의 관광지들은 주로 강북 지역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매우 유기적인 연결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방문자들의 이동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전체 이동네트워크가 활발함을 의미한다. 둘째, 관광지들의 연결정도, 근접, 매개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의 상위 관광목적지는 전반적으로 동일했지만 재방문자가 선택한 관광목적지 중 신촌/홍대주변, 강남역, 가로수길 등은 중심성 지수가 높아지면서 결절지로서의 역할이 강화되는 변화를 보였다. 즉, 재방문자는 최근 국내에서도 젊은 연령층에게 각광받고 있는 신흥관광지에 더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방문자 특성에 따른 관광상품 개발 및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휴양지 방문편익 추정모형의 비교 연구 - 영산강 하구를 대상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Estimation Models for the Value of Access to a Natural Recreation Site: Focusing on the Estuary Area of Yeongsan River)

  • 신영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1권4호
    • /
    • pp.981-998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영산강 하구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휴양지의 수요함수를 추정하여 방문 편익을 도출하기 위해 카운트 자료 모형(count data model)을 적용하였다. 여행지 방문객 자료의 속성을 고려할 때, 포와송 모형의 경우 평균과 분산이 동일하다는 제약적 가정에 의한 과도분산(overdispersion) 속성의 왜곡과 더불어 자료의 1에서 절단 속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왜곡이 문제가 된다. 실증 분석 결과에 따르면 방문객 자료의 속성은 반영하는 절단 음이항(truncated negative binomial) 모형이 고려한 모형 중에서 최적이고, 그 모형에 의해 도출된 영산강 하구 1회 방문 편익(즉, 소비자 잉여)는 전라권 거주자들의 경우 89,350원이며, 비전라권 거주자의 경우는 432,526원으로 전라권 거주자의 4.8배 수준이었다. 또한 과도분산의 속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포와송 모형으로부터 추정된 영산강 하구의 방문 편익(소비자 잉여)은 과소평가되며, 절단의 속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의 모형으로부터 추정된 영산강 하구의 방문 편익은 과대평가되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단일 휴양지 방문객에 대한 자료로부터 여행수요 함수 및 방문 편익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절단 음이항 회귀모형이 적용되어야 한다.

  • PDF

OSGi 기반 홈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 모듈 설계 (Design of User Certification Module of Home Gateway System based on OSGi)

  • 명선규;김광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7-35
    • /
    • 2010
  •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OSGi 기반 원격 번들제어 서비스 및 방문자 확인을 위한 웹 카메라 제어를 통한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응용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임베디드 시스템에 리눅스와 자바를 포팅하여 오픈 Oscar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웹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 시스템에서 시리얼은 RFID 리더기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원격지에서 웹을 통해 방문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댁내에서는 무선으로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각 장치의 관리 및 모니터링을 구현할 때 OSGi 기반의 통합된 서비스 제공을 통해 효율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및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SGi 기반 홈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 Gateway System based on OSGi)

  • 김광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74-80
    • /
    • 2010
  •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OSGi 기반 원격 번들제어 서비스 및 방문자 확인을 위한 웹 카메라 제어를 통한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응용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임베디드 시스템에 리눅스와 자바를 포팅하여 오픈 Oscar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웹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 시스템에서 시리얼은 RFID 리더기의 데이터를 수신받아 원격지에서 웹을 통해 방문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댁내에서는 무선으로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각 장치의 관리 및 모니터링을 구현할 때 OSGi 기반의 통합된 서비스 제공을 통해 효율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및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콘과 QR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Door Lock System using Beacon and QR Code)

  • 최진우;김범석;전지예;신동호;김진옥;박종호;이석훈;정동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11-1314
    • /
    • 2017
  • 이 논문은 비콘과 QR코드를 이용해 방문자 식별 및 원격제어를 구현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한다. 1인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도어락에 원격제어와 보안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기존 논문에서는 동영상 전송방식, 블루투스 통신 방식 등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한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한다. 하지만 동영상 전송방식은 센서가 방문자를 오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IoT기반의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도어락은 해제 후에 사용자가 집의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없다. 이 논문은 비콘과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방문자 식별 및 원격제어를 구현한다. 또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작한 프로토타입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