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σ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9초

축육 가공품의 열확산도 추정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Thermal Diffusivities of Pork Meat Products)

  • 박철환;박상민;조현덕;한봉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2-225
    • /
    • 1993
  • 축육제품의 실제 열처리 온도범위에서 적용가능한 열확산도 추정식을 제시하고자, 식염 1.5%, 중합인산염 0.2%, lard 및 대두단백질을 임의의 농도로 혼합한 돼지고기를 사용하여 열전달실험을 행하고 열확산도 추정식을 구하였다. 수분함량 49.01~77.55%, 가열온도 80.76~121.03$^{\circ}C$의 범위에서 열확산도는 동일온도에서는 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라, 동일 수분함량에서는 가열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졌으며, 각 온도에서의 실측 열확산도는 다음의 식들로 나타낼 수 있었다. $\alpha$p,(80.76$\pm$0.3$^{\circ}C$) =0.0869.$10^{-6}$ .Xw+0.0720.$10^{-6}$ ,(m$^2$.s$^{-1}$, r=0.9230) $\alpha$p, (98.59$\pm$0.3$^{\circ}C$) =0.0849.$10^{-6}$ .Xw+0.0818.$10^{-6}$ , (m$^2$.s$^{-1}$, r=0.9264) $\alpha$p, (121.03$\pm$0.5$^{\circ}C$) =0.0909.$10^{-6}$ .Xw+0.0893.$10^{-6}$ , (m$^2$.s$^{-1}$, r=0.9507)이 식들을 종합한, 임의의 온도에서의 열확산도 추정식은 다음과 같았으며 이로부터 구한 열확산도와 실측치의 차이는 실측치를 기준으로 $\pm$1.7% 이내였다. $\alpha$p=(2.1394+0.5.Xw).$\alpha$w+0.0035.$10^{-6}$ .Xw-0.2785.$10^{-6}$ , (m$^2$.s$^{-1}$).

  • PDF

고분자 피복요소비료의 질소용출 및 토양중 분해특성 (Nitrogen Release and Polymer Degradation Properties of Polymer-Coated Urea Fertilizer in Soil)

  • 강병화;하병연;박기도;박문수;손보균;정연규;허종수;조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264-271
    • /
    • 2002
  • 질소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요소비료에 고분자 아크릴을 물리적으로 피복하여 제조된 완효성 요소비료의 피복율에 따른 포장용출율, 수중 및 토양중 용출율을 측정하여 이들간의 상관관계에 토양에서 피복물질의 분해특성을 조사하였다. 공시 피복요소비료의 수중 질소용출율과 토양중 질소용출율은 피복율이 낮을수록 용출율은 높았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용출속도는 증가하였다. 질소의 용출패턴은 polymer의 피복율의 낮을수록 초기에 급격하게 용출되었고, 피복율이 높을수록 질소용출은 지연되었다. 그리고 토양중 용출속도는 수중조건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빠르게 용출되었으며, 실제 포장에서의 용출특성은 항온 토양매립 조건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내 토양 매립 조건과 실제 포장에서의 상관관계는 피복율 8.5%인 N001에서 $Y=-0.0011X^2+2.2931X-50.264(R^2=0.9884)$, 피복율 6.3%인 N003은 $Y=-0.0016X^2+1.1587X+5.5064(R^2=0.9850)$ 그리고 피복율 4.8%인 N005는 $Y=-0.03X^2+6.4999X-243.22(R^2=0.9422)$ (Y:포장용출율, X:시험기간)의 관계식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내 수중조건과 실제 포장에서의 상관관계는 피복율 8.5%인 N001에서 $Y=-0.0011X^2+2.2601X-25.329(R^2=0.9884)$, 피복율 6.3%인 N003은 $Y=-0.0306X^2+4.4994X-76.307(R^2=0.955)$ 그리고 피복율 4.8%인 N005는 $Y=-0.0164X^2+3.7764X-108.22(R^2=0.9422)$의 관계식을 나타내었다. 피복물질인 고분자 아크릴 피복제의 논토양에 매립 기간에 따른 피막의 중량변화는 토양매립 150일 경과 후 피복율 8.5% 비료에서 약 23%, 피복율 6.3% 비료에서 약 22% 그리고 피복율 4.8% 비료에서 약 15%정도 감소되었다.

색깔이 다른 대서와 보라밸리 감자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Atlantic and Bora Valley Potato Cultivar with Different Colors)

  • 이재순;최미경;문은영;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42-547
    • /
    • 2010
  • 색깔이 다른 대서와 보라밸리 감자로부터 전분을 추출하여 수율, amylose, amylopectin 함량비, 팽윤력, 수분결합능 및 X-ray 전분 구조와 같은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두 감자간의 amylose와 amylopectin의 함량 비에는 유의적인 차이(p<0.05)가 나타났고 두 감자 모두에서 amylose 함량이 높아 찰성이라기보다는 매성으로 나타났다. X-ray와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입자를 관찰한 결과 대서와 보라밸리의 모양의 차이와 전분 구조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대서와 보라밸리 전분의 입도분석 결과, $50\;{\mu}m$ 안에 포함되는 전분입자 크기가 대서는 $45.44\pm2.79%$이며, 보라밸리는 $42.37\pm1.03%$의 분포였다. 대서와 보라밸리 전분의 수분결합능력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 팽윤력은 $65^{\circ}C$에서 시작하여 $80^{\circ}C$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90^{\circ}C$에서 보라밸리 전분의 팽윤력보다 대서의 팽윤력이 약 0.3% 정도 높았다. 대서와 보라밸리 전분의 호화도를 측정한 결과 호화 개시온도, 호화절정온도, 호화종결온도에서 대서보다 보라밸리가 높은 온도를 보였다.

NiO 첨가가 BaTiO3 세라믹스의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O Addition on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O3 Ceramics)

  • 김윤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5-112
    • /
    • 1994
  • BaTiO3 의 B-site에 0-0.03 몰 범위의 NiO를 첨가한 Ba1-xSrxTi1-y-wNiyZrwO3-y 유전 체에서 NiO 첨가가 유전특성 및 절연저항의 내환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B-site Ni 치환에 의해 a 축의 격자상수는 증가하고 c 축의 격자상수는 감소하여 정방성 c/a가 감 소하였으며 단위격자의 부피는 증가하였다. NiO 첨가에 따라 큐리온도는 저온으로 이동하 였으며 큐리온도의 변화율은 소결분위기에 영향을 받았다. NiO가 첨가되지 않은 조성에서 는 산소분압 109 MPa의 환원분위기 소성에 의해 비정항이 107$\Omega$.cm로 저하되었으나 0.01 몰이상의 NiO를 첨가한 조성에서는 공기중 소결시 얻을수 있었던 1011$\Omega$.cm로 저하되었으 나 0.01 몰 이상의 NiO를 첨가한 조성에서는 공기중 소결시 얻을 수 있었던 1011$\Omega$.cm 이 상의 비저항을 유지하였다.

MnO$_2$가 첨가된 PMW-PNN-PT-PZ계 세라믹스의 유전 및 압전 특성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of PMW-PNN-PT-PZ Ceramics with addiction of MnO$_2$)

  • 박석환;윤광희;박정흠;김현재;박창엽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67
    • /
    • 1996
  • In this paper, effect of MnO$_2$ addition(0, 0.1, 0.2, 0.3, 0.5wt%) on the microstructure,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xPMW - (0.15-x) PNN] - [yPT-(0.85-y)PZ] (x=0, 0.01, 0.02, 0.03, 0.05, y = 0.35, 0.40, ().425, 0.45, 0.5) were investigated. When Ti/Zr ratio was 1.0,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were highest value. With PMW 2mol%, dielectric constant, dielectric constant (d$\_$33/, d$\_$31/) and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kp, k$\_$31/) were highest values of 1995, 479, 186(x10$\^$-12/C/N), 0.61, 0.36, respectively. With the addition of MnO$_2$, dielectric constant,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kp, k$\_$31/) were decreased, but with 0.3wt% MnO$_2$, ele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was highest value of 0.63. With the addition of MnO$_2$, mechanical quality(Q$\_$m/ was increased.

  • PDF

미강의 $\gamma$-oryzanol 및 생리활성물질의 에탄올 추출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of $\gamma$-oryzanol and Other Functional Components from Rice Bran)

  • 조인희;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81-2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미강의 지용성 생리활성 물질인 $\gamma$-oryzanol과 그 모핵인 ferulic acid를 ethanol을 용매로 효율적으로 추출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 추출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추출조건의 독립변수를 시료에 대한 용매비($X_1$), 추출 온도($X_2$), 추출 시간($X_3$)으로 하고 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로 추출 수율($Y_1$), 총페놀 함량($Y_2$), 전자공여능($Y_3$), 미강의 지용성 생리활성물질인 ferulic acid 함량($Y_4$)과 $\gamma$-oryzanol 함량($Y_5$)을 설정하였다. 추출 수율은 추출조건이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56 mL/g ($X_1$), 추출 온도 $78.19^{\circ}C$ ($X_2$), 추출 시간 522.15 min ($X_3$)일 때 최대값 42.03%를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의 최대값은 90.78 mg GAE/100 g이었으며, 이때의 추출 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1.26 mL/g, 추출온도 $94.65^{\circ}C$, 추출시간 567.97 min이었고, 전자공여능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0.20 mL/g, 추출온도 $81.89^{\circ}C$, 추출 시간 701.87 min일 때 최대값 54.72%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ferulic acid 함량의 최대값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5.22 mL/g, 추출 온도 $79.66^{\circ}C$, 추출 시간 575.24 min일 때 210.47 mg/100g이었고 $\gamma$-oryzanol 함량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5.10 mL/g, 추출온도 $81.83^{\circ}C$, 추출시간 587.39 min에서 최대값 660.39 mg/100g를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모든 종속변수들은 시간보다는 시료에 대한 용매비와 추출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미강의 지용성 생리활성물질인 ferulic acid와 $\gamma$-oryzanol은 온도가 약 $80^{\circ}C$보다 높아지면 추출함량이 감소하는데 이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추출용매의 증발과 같은 손실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들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0.45 mL/g, 추출온도 $80^{\circ}C$, 추출시간 535 min으로 예측되었다. Ethanol 역시 isopropanol 과 같이 hexane의 대체용매로서 미강의 추출 용매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아마란스 전분과 곡류 찰전분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maranth Starch with Other Waxy Cereal Starches)

  • 이재학;김성란;송지영;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12-618
    • /
    • 1999
  • 아마란스의 가공적성을 살피고 이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아마란스 종실의 주성분인 전분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찹쌀전분과 찰옥수수전분과 비교하였으며 호화 및 노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마란스 전분의 입자 크기는 $1.1{\sim}1.9\;{\mu}m$로 찹쌀전분입자보다 더 작았으며 겉보기 아밀로오스 함량은 찹쌀, 찰옥수수 및 아마란스 전분이 각각 0.01, 0.03, 0.07%로 모두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었다. 아마란스 전분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찹쌀전분보다 낮았고 찰옥수수 전분보다는 높았으며 $70^{\circ}C$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아마란스 전분의 X-선 회절도에 의한 결정형은 다른 곡류와 같이 A형이었으며 결정성도 큰 차이가 없었다. 비스코그래프로 조사한 아마란스 전분의 호화개시온도는 $75.1^{\circ}C$로 다른 전분에 비해 높았으며 피크점도는 찹쌀과 찰옥수수 전분보다 낮았다. 냉각점도는 찹쌀과 유사하였으나 breakdown이 특히 낮았다. 시차주사 열량계에 의한 찹쌀, 찰옥수수, 아마란스 전분의 호화 개시온도$(T_0)$는 각각 $58.7{\sim}64.0$, 67.2, $71.5^{\circ}C$이였으며, 호화 엔탈피는 찹쌀전분이 낮았고 아마란스와 찰옥수수 전분이 비슷하였다. $4^{\circ}C$에서 3일 저장하면 $43.0{\sim}49.9^{\circ}C$에서 용융이 시작되고 이때 용융 엔탈피는 아마란스 전분이 가장 높았다. 아마란스 전분은 호화가 매우 높은 온도에서 시작되었고 호화시 점도 상승이 급격하지 않았으며 기계적 전단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찰전분보다 커서 안정한 점도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었다.

  • PDF

$MgTiO_{3}$ 계 세라믹스의 고주파 유전특성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MgTiO_{3}$ Ceramics)

  • 김왕섭;김경용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46-250
    • /
    • 1995
  • $MgTiO_{3}$$CaTiO_{3}$, MgO, CaO를 첨가하여 고주파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온도계수가 zeo $ppm/^{\circ}C$에 접근하는 ($Mg_{0.915}Ca_{0.085})TiO_{3}$ 조성에서 유전상수값은 22, Qxf 값은 50000, MgO를 0.1mol 첨가한 조성에서는 유전상수는 17, Qxf값은 131000, CaO를 8mol% 첨가한 조성에서 유전상수는 20, Qxf 값은 52000을 나타내엇다. $MgTiO_{3}$$CaTiO_{3}$를 단독으로 첨가하는 경우보다 MgO와 CaO를 동시에 첨가할 때 보다 높은 Q값을 갖는 $MgTiO_{3}$계 세라믹스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High $T_c$ Pb-free (1-x)$BaTiO_3-x(Bi_{1/2}Na_{1/2})TiO_3$ 세라믹의 미세구조와 PTCR 특성 (Microstructure and PTCR characteristic of high $T_c$ lead-free ((1-x)$BaTiO_3-x(Bi_{1/2}Na_{1/2})TiO_3$ characteristic)

  • 김철민;조용수;정영훈;이영진;이미재;백종후;이우영;김대준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32-32
    • /
    • 2008
  • Microstructure and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ivity (PTCR) characteristics of $0.9BaTiO_3-0.1(Bi_{0.5}Na_{0.5})TiO_3$ [BaBiNT] ceramics doped with $Nb_2O_5$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the Pb-free high Curie temperature ($T_c$)(>$160^{\circ}C$) PTC thermistor. The BaBiNT ceramics showed a tetragonal perovskite structure, irrespective of the added amount of $Nb_2O_5$. They also have a homogeneous microstructure. The resistivity of BaBiNT ceramics was gradually decreased by doping $Nb_2O_5$, which might be due to $Nb^{+5}$ ions substituting for $Ti^{+4}$ sites. The PTCR characteristics of BaBiNT ceramics appeared when the amount of doped $Nb_2O_5$ exceeded 0.0025mol%. Moreover, the abrupt grain growth was observed for the 0.03mol% $Nb_2O_5$added BaBiNT ceramics. It showed an especially high $T_c$ of approximately $172^{\circ}C$ and good PTCR characteristics of a high $\rho_{max}/\rho_{min}$ ratio ($2.96\times10^3$), a high resistivity temperature factor (11.40/$^{\circ}C$) along with a relatively low resistivity ($3.5\times10^4\Omega{\cdot}cm$).

  • PDF

PTC서미스터의 특성에 미치는 $TiO_2$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iO_2$ to the characterization of PTC thermister)

  • 신태현;김영조;이기택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8권1호
    • /
    • pp.83-89
    • /
    • 1995
  • In this paper, the specimens-($Ba_{0.997}$ L $a_{0.003}$)Ti $O_{3}$ + xTi $O_{2}$, x=0.005, 0.01, 0.02, 0.03[mol]- were fabricated by a solid-state reaction method which is easy in microstructure control and good in mass production. Their crystalline structures and microstructures were analysed,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perovskite-crystalline structure is confirmed by XRD, and it is exhibited by SEM that the grain grows with an addition of Ti $O_{2}$. Resistivity decreases with increasing sinteiing temperature, and the specimen of ($Ba_{0.997}$ L $a_{0.003}$)Ti $O_{3}$ + 0.02Ti $O_{2}$ sintered at 1350.deg. C shows the best PTC effects. The complex impedance plots exhibit the serial equivalent circuit of ( $R_{gb}$ / $C_{gb}$ ) and $R_{g}$ it is realized that PTC effect is attributed to the resistivity of grain boundary.ary.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