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B9%A1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6초

농약 사용 저감화를 위한 환경 친화적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방제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Noctuidae: Lepidoptera) to Reduce Insecticide Use)

  • 김대용;백승경;김진수;최수연;박찬;김태환;진나영;정선영;윤영남;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53-261
    • /
    • 2009
  • 파밭에서 발생하는 파밤나방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농약저감화 방법중의 하나인 교호방제법을 검토하였다. 파밤나방에 등록되어 있는 살충제 가운데서 시판중인 25개 품목을 구입하여 실내실험에서 약효가 우수한 9종을 선발하여 비닐하우스내의 소포장 시험을 통해 화학 살충제 4종을 선발하였으며, 본 실험실에서 선발한 3종의 BT제의 교호처리를 포장시험에 적용하였다. 처리방법은 같은 약제를 1주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한 단일처리와 BT제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약제를 1회씩 3종류를 1주일 간격으로 교호처리 하였다. 그 결과 화학농약과 미생물 농약을 처리한 Indoxacarb WP - Chlorfluazuron EC - B.t. var. kurstaki CAB141과 Indoxacarb WP - Methoxyfenozide + spinosad SC - Chlorfluazuron EC - B.t. var. aizawai CAB109, B.t. var. kurstaki CAB141의 3합이 평균 살충율 78%이상을 나타냈다. 따라서 단일처리의 방제가보다 10% 이상 높았으며 평균피해감소율 43% 이상에 달하여 단일처리한 조합보다 10% 높은 효과를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일한 약제 살포에 의한 저항성발달을 최소화하고, 천연물이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농약을 교호처리함으로서 화학농약의 살포 횟수를 감소시켜 친환경적으로 파밤나방을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cumulation and Inhibitory Effects of Microcystin on the Growth of Rice and Broccoli

  • Maejima, Kazuhiko;Muraoka, Terukazu;Park, Ho-Dong
    • 생태와환경
    • /
    • 제47권spc호
    • /
    • pp.19-30
    • /
    • 2014
  • Microcystins (MCs) produced by cyanobacteria are severe hepatotoxins for mammalian and protein phosphatase inhibitors. Irrigation water for grain and vegetables is often contaminated with cyanobacteria and microcystin during warm seasons. We assessed the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0, 0.01 to $10{\mu}gmL^{-1}$) of microcystin-LR (MC-LR) and microcystin-RR (MC-RR) exposure on Oryza sativa (rice) and Brassica oleraces var. italica (broccoli). The $EC_{50}$ of leaves and roots of rice was 0.9 and $1.1{\mu}gMC-LRmL^{-1}$, respectively. The no observed effect level (NOEL) of rice was less than $0.1{\mu}gmL^{-1}$ ($100{\mu}gL^{-1}$). The $EC_{50}$ of the stems and roots of broccoli was 8.7 and $7.2{\mu}gMC-RRmL^{-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rmination rate of broccoli among microcystin-RR concentrations. After exposure to 0, 0.01 to $10{\mu}gmL^{-1}$ MC-RR for seven days, 14, 89 and 154 ng mg-1 (dry weight) MC-RR accumulated in B. oleracea. These $EC_{50}$ values showed that microcystin-LR and -RR affected the growth of rice and broccoli.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C is carried into terrestrial ecosystems via irrigation, and that the biota of higher ecological niches can be influenced by MC through bioaccumulation. Therefore, a guideline for MC concentrations in irrigation water should be set using the NOEL.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H.264의 FMO 성능분석과 비교에 관한 연구 (H.264의 FMO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over Packet-Lossy Networks)

  • 김원정;임혜숙;임창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C호
    • /
    • pp.490-496
    • /
    • 2006
  • H.264는 현재 IP를 기반으로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표준으로서 기존에 제정된 비디오 표준들보다 향상된 에러 복구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비디오 표준에서 사용되어 오던 raster scan 방식과 H.264의 에러 복구 기술들 중 하나인 FMO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방식에 에러 은닉 기술을 적용하여 에러 은닉의 성능이 정확히 온 인접한 매크로블락 수에 따라 좌우됨을 분석하고, 다양한 패킷 손실율에서의 성능을 보인다. 시뮬레이션 결과, FMO 방식이 raster scan 방식에 비해 손실없이 오는 인접한 매크로블락 수가 많아 에러 은닉에 의한 PSNR 성능이 $1{\sim}9dB$ 정도 향상되고, 특히 인트라 프레임 간격이 길고 패킷 손실율이 높은 경우에 FMO 방식에 의한 PSNR 성능 향상이 더 크다.

Multiplex PCR을 이용한 생물방제균 Bacillus subtilis AH18의 토양내 Genetic Monitoring (Genetic Monitoring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PGPR), Bacillus subtilis AH18 using Multiplex PCR in Field Soil)

  • 우상민;임종희;정희영;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
    • /
    • 2009
  • 식물성장촉진물질인 auxin을 비롯한 식물병원성진균을 방제하는 siderophore 그리고 식물병원성 진균의 세포벽을 분해하는 cellulase를 동시에 생산하는 생물방제균주 B. subtilis AH18의 토양내 monitoring을 위하여 각 생산물질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기초로 primer(sid, aec, cel)를 제작하였다. Single PCR 및 multiplex PCR을 수행하여 800-bp(sid), 1000-bp(air), 1600-bp(cel)의 DNA fragment를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fragment는 siderophore의 생합성 key enzyme인 2,3-dihydro-2,3-dihydroxy benzoate dehydrogenase[EC : 1. 3. 1, 28]gene (sid-794bp)이며, auxin efflux carrier gene (aec - 1052 bp), 그리고 cellulase gene(cel - 1582 bp)임을 확인하고, NCBI Genbank에 등록하였다(Genbank accession sid: No. EF408238, aec: No. EF408239, cel: No. EF070194). 또한 B. subtilis AH18을 처리한 일반 경작지 토양에서 multiplex PCR을 통하여 3종의 유전자에서 증폭된 triple band를 확인하였으며, 고추를 실제 토양을 이용해 Pot에 이식 후 고추의 rhizosphere와 non-rhizosphere에서 B. subtilis AH18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본 균주를 고추가 이식된 Pot의 토양에 처리 후 monitoring시 민감도는 $1.8\times10^5$ cfu/g이었고, monitoring 가능한 기간은 3주이상 확인 할 수 있었다.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한 시설재배지 지하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for Agricultural Irrigation in Plastic Film House Using Multivariate Analysis)

  • 김진호;최철만;이종식;윤순강;이정택;조광래;임수정;최승출;이경자;권의석;경기천;엄미정;김희권;이유석;김찬용;이성태;류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유역 시설재배지에 대한 농업용 지하수의 수질 경향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로서 이용하고자 하였고, 또한 이들 결과들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을 이용하는 등 다각적인 방법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수질분석 결과, 일부 지점에 대하여 한시적으로 농도가 높은 경우는 있었지만, 평균 농도로 볼 때, 농업용수 수질기준에 적합하였고, 농작물에 대한 피해가 없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질항목간의 상관관계는 영농활동 전인 4월과 영농활동기인 7월에는 EC와 $Mg^{2+}$가 각각 0.810(p<0.01), 0.776(p<0.01)으로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EC와 양이온간에는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고, 영농활동후인 10월은 $NO_3-N$과 T-N이 0.794(p<0.01)로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4월과의 상관성 차이가 뚜렷하여 같은 건조기라 할지라도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시설재배지의 지하수 수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건조기인 4월과 10월에는 4개의 인자가 각각 64.9%, 60.2%의 누적기여율로 추출되었고, 7월의 경우는 5개의 인자가 70.7%로 추출되었는데, 주인자인 제1인자에 속하는 수질항목들이 시기별로 모두 EC, $Ca^{2+},\;Mg^{2+},\;Cl^-,\;{SO_4}^{2-}$와 같은 양이온 및 음이온들이었으므로 시설재배지에서의 지하수 수질은 이들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인자점수를 이용한 군집분석 결과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는데, 이들 중 $COD_{Mn}$의 농도가 높고, 평균적인 시설재배지 지하수 수질의 경향을 보이는 149개 지점의 A그룹은 우리나라에서의 일반적인 시설재배지 지하수 수질특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pH와 $PO_4-P$가 높은 41개 지점의 B그룹, 양이온, 음이온, EC가 높은 경향으로 특히 $NH_3-N,\;NO_3-N$, T-N이 높은 16개 지점의 C그룹, 그리고 $COD_{Cr}$이 높은5개 지점의 D그룹으로 분류되어 시설재배지 지하수 수질 특성은 각각 그룹별로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메칠 및 4′-페닐 측쇄를 가진 새로운 카보사이클릭 뉴크레오사이드의 합성 및 항바이러스 약효검색 (Synthesis and Antiviral Activity of Novel 2′-Methyl and 4′-Phenyl Branched Carbocyclic Nucleosides)

  • 양선화;홍준희
    • 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8-92
    • /
    • 2004
  • In this study; a series of 2',4'-doubly branched carbocyclic nucleosides (8,9,10) were synthesized from simple acyclic ketone derivative as starting material. The installation of the 4'-quaternary carbon needed was carried out using a 〔3,3〕-sigmatropic rearrangement.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a methyl group in the 2'-position was accomplished by Grig-nard reaction. Bis-vinyl was successfully cyclized using a Grubbs' catalyst II. The natural bases (adenine, cytosine, uracil) were efficiently coupled with the use of a Pd(0) catalyst. Although all the synthesized compounds were assayed against several viruses, only cytosine analogue 9 showed weak antiviral viral activity (EC$_{50}$=45.4 $\mu$M) against CoxB3 virus.s.

신규 Cephalosporin-C Deacetylase(CAH) 생산 균주인 Bacillus sphaericus 366M-9의 선발 및 그 효소학적 특성 (The Isolation of Bacillus sphaericus 366M-9 Producing New Cephalosporin-C Deacetylase (CAH) and its Enzymatic Characterization)

  • 이승훈;권태종;이동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4-229
    • /
    • 2004
  • 토양으로부터 강력한 CAH activity를 갖는 균주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배양학적, 전자현미경 동정을 한 결과, Bacillus sphaericus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B. sphaericus 366M-9로 명명하였다. 또한 이 균으로부터 최초로 cephalosporin-C deacetylase(CAH)를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수율은 약 7.5% 였으며, B. sphaericus 366M-9에서 분리한 CAH-9의 최적활성 온도는 $50^{\circ}C$였으며, 효소안정 온도구간은 30~$50^{\circ}C$이다. 또한 최적 활성 pH는 7.0이었으며, 효소안정 pH구간은 pH 6.0~8.0으로 90% 이상의 잔존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효소반응속도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에서는 $K_{m}$ 값은 0.87 mM 이며,$ V_{max}$는1.22 unit/ml이었다.다.

안전한 메시지교환을 위한 XML 기반의 변환시스템 (A XML Based Conversion System for Secure Message Exchange)

  • 오대균;홍창범;송정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1-9
    • /
    • 2002
  • XML 스키마가 2001년 5월 W3C의 공식 표준안으로 확정되고, XSL과 Xpath, Namespace등의 XML 관련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XML은 새로운 문서교환의 표준이 되어가고 있다. XML은 다양한 문서의 구조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ebXML, RosettaNet, BizTalk들이 e-Business 부분에서 XML을 핵심기술로 사용하고 있다. B2B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업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표준의 XML 문서가 필요하다. 각 기업들의 내부 문서를 외부기업의 자동화 시스템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문서의 정보손실 없이 외부기업의 문서 형태로 변환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 서블릿을 기반으로 XML 문서의 변환하여, 안전한 문서교환을 제공하는 XML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 PDF

Anti-inflammatory and PPAR Subtypes Transactivational Activities of Phenolics and Lignans from the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 Quang, Tran Hong;Ngan, Nguyen Thi Thanh;Minh, Chau Van;Kiem, Phan Van;Nhiem, Nguyen Xuan;Tai, Bui Huu;Thao, Nguyen Phuong;Luyen, Bui Thi Thuy;Song, Seok-Bean;Kim, You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1호
    • /
    • pp.4049-4054
    • /
    • 2011
  • A new compound, kalopanaxin F (3), and 11 known compounds (1, 2, 4-12), were isolated from the stem bark of Kalopanax pictu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Five of the compounds (2, 3, 5, 6, and 12) significantly inhibited $TNF{\alpha}$-induced NF-${\kappa}B$ transcriptional activity in HepG2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C_{50}$ values ranging from 6.2 to 9.1 ${\mu}M$. Furthermore, the transcriptional inhibitory function of these compounds was confirmed based on decreases in COX-2 and iNOS gene expression in HepG2 cells. Compounds 3-7, 9, and 12 significantly activat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PPARs dose-dependently, with $EC_{50}$ values ranging from 4.1-$12.7{\mu}M$. Compounds 4 and 5 exhibited $PPAR{\alpha}$, $PPAR{\gamma}$, and $PPAR{\beta}({\delta})$ transactivational activitie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EC_{50}$ values of 16.0 and 17.0, 8.7 and 16.5, 26.2 and 26.3 ${\mu}M$, respectively.

Polymorphisms in Heat Shock Proteins A1B and A1L (HOM) as Risk Factors for Oesophageal Carcinoma in Northeast India

  • Saikia, Snigdha;Barooah, Prajjalendra;Bhattacharyya, Mallika;Deka, Manab;Goswami, Bhabadev;Sarma, Manash P;Medhi, Subhas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227-8233
    • /
    • 2016
  • Background: To investigate polymorphisms in heat shock proteins A1B and A1L (HOM) and associated risk of oesophageal carcinoma in Northeast India.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s oesophageal cancer (ECA) patients attending general outpatient department (OPD) and endoscopic unit of Gauhati Medical College. Patients were diagnosed based on endoscopic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Genomic DNA was typed for HSPA1B1267 and HSPA1L2437 SNPs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Results: A total of 78 cases and 100 age-sex matched healthy controls were included in the study with a male: female ratio of 5:3 and a mean age of $61.4{\pm}8.5years$. Clinico-pathological evaluation showed 84% ha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16% were adenocarcinoma. Dysphagia grades 4 (43.5%) and 5 (37.1%) were observed by endoscopic and hispathological evaluation. The frequency of genomic variation of A1B from wild type A/A to heterozygous A/G and mutant G/G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chi sq=19.9, p=<0.05] and the allelic frequency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chi sq=10.3, with cases vs. controls, OR=0.32, $p{\leq}0.05$]. The genomic variation of A1L from wild T/T to heterozygous T/C and mutant C/C were found positively associated [chi sq=7.02, p<0.05] with development of ECA. While analyzing the allelic frequency,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chi sq=3.19, OR=0.49, p=0.07]. Among all the risk factors, betel quid [OR=9.79, Chi square=35.0, p<0.05], tobacco [OR=2.95, chi square=10.6, p<0.05], smoking [OR=3.23, chi square=10.1, p<0.05]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vs. non consumers regarding EC development. Alcohol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association [OR=1.34, chi square=0.69, p=0.4] independently.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esent study provides marked evidence that polymorphisms of HSP70 A1B and HSP70 A1L genes a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CA in a population in Northeast India, A1B having a stronger influence. Betel quid consumption was found to be a highly significant risk factor, followed by smoking and tobacco chewing. Although alcohol was not a potent risk factor independently, alcohol consumption along with tobacco, smoking and betel nut was foun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E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