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A0%95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221초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ultimum의 접종 농도가 etridiazole과 thiophanate-methyl 합제의 모잘록병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culum Concentration of Rhizoctonia solani and Pythium ultimum Causing Damping-off of Pepper and Cucumber on the Efficacy of the Mixture of Etridiazole and Thiophanate-methyl)

  • 김형조;장호선;이수민;김주형;신진호;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1
    • /
    • 2010
  • 모잘록병균인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ultimum에 대한 etridiazole과 thiophanate-methyl의 균사 생장 억제 효과와, 각 병원균의 토양 접종 농도가 etridiazole과 thiophanate-methyl 합제의 고추와 오이 모잘록병에 대한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 solani와 P. ultimum의 균사 생장 억제에 대한 etridiazole의 $EC_{50}$값은 각각 $15.87\;{\mu}g\;mL^{-1}$$0.20\;{\mu}g\;mL^{-1}$이었지만, thiophanate-methyl의 $EC_{50}$값은 R. solani에 대해서$9.34\;{\mu}g\;mL^{-1}$이었고, P. ultimum에 대해서는 $500\;{\mu}g\;mL^{-1}$ 이상이었다. 온실에서 실시한 유묘 검정 결과, R. solani와 P. ultimum의 접종원 농도가 높아지면 고추와 오이에서의 병 발생도 상승하였다. R. solani의 토양 접종 농도가 0.1%(w/v)이었을 때 파종 14일 후의 고추 발병주율은 41%이었으며, 0.5%와 1.0%로 접종하였을 때는 73%와 95%까지 상승하였다. 오이에서는 접종원 농도가 1.0과 2.0%일 때, 각각 55%와 62%의 발병주율을 보였다. P. ultimum에 의한 유묘에서의 발병주율은 고추보다 오이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2%의 농도로 병원균을 접종하였을 때, 고추와 오이의 발병주율은 66.7%와 96.8%이었다. R. solani의 경우 혼합제의 효과는 병원균의 접종 농도에 따라서 변화하였는데, 접종 농도가 0.05%일 경우 고추와 오이에서의 방제 효과는 94.4%와 90.7%이었지만, 고추와 오이에서 병원균의 접종 농도가 0.1%와 0.5%일 경우에는 70.7%와 72.9%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P. ultimum의 경우에는 접종 농도와 관계없이 고추와 오이에서 모잘록병의 발생을 100% 억제하였다.

중공 좌제의 약물방출 (I) - Witepsol H-15 기제로부터의 인도메타신의 방출속도 - (Drug Release from Hollow Suppository(I) - Release Rate of Indomethacin from Witepsol H-15 Suppository -)

  • 이화정;구영순
    • 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7-202
    • /
    • 1991
  • In order to study drug release from the suppository, three types of hollow suppositories and one conventional suppository were prepared using indomethacin(IDM) as a model drug and Witepsol H-15 as a base. The 4 types of suppository prepared are as follows: type I, conventional suppository containing 50 mg of IDM powder, type II, hollow supository containing 50 mg of IDM powder in the cavity, type III, hollow suppository containing 25 mg of IDM powder in the base and IDM microcapsules (25 mg as IDM powder) in the cavity, and type IV, hollow suppository containing IDM microcapsules (25 mg as IDM powder) in the base and 0.5 ml of 5%(w/v) IDM-PEG 300 solution in the cavity. The drug amount released(%) from type II and I within 24 hrs was 46.7% and 66.9%, respectively. Comparing with the drug amount released from four types of suppository within initial 2 hrs and 24 hrs, that of type IV was high as 32.7% and 76.6%, respectively. IDM-ethycellulose microcapsules passed through 270 mesh sieve and the IDM content was 20.95%.

  • PDF

Bi$_{4}$Ti$_{3}$O$_{12}$ 박막의 제작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a Bi$_{4}$Ti$_{3}$O$_{12}$ Thin Film and Its Electrical Properties)

  • 강성준;장동훈;민경진;김성진;정양희;윤영섭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4호
    • /
    • pp.7-14
    • /
    • 2000
  • Bi/sub 4/Ti/sub 3/O/sub 12/ (BIT) 박막을 acetate 계 precursor 를 이용한 sol-gel 법으로 제작한 후, 구조적 및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여 NVFRAM (Won-Volatile Ferroelectric RAM)으로의 응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DT-TG (Differential Thermal-Thermal Gravimetric) 분석으로 drying 온도와 annealing 온도가 각각 400℃ 와 650℃ 인 BIT 박막의 열처리조건을 확립하였다. Pt/Ta/Sio/sub 2//Si 기판 위에 제작된 BIT 박막은 완전한 orthorhombic perovskite상을 가지며, 입자크기가 약 100nm 이고 표면 거칠기는 약 70.2Å 으로 비교적 치밀한 형상을 나타내었다. 10㎑ 의 주파수에서 비유전률과 유전손실은 각각 176 과 0.038 이었으며, 100 ㎸/cm 의 전기장에서 누설전류밀도는 4.71㎂/㎠ 이었다. ±250㎸/㎝ 에서 이력곡선을 측정한 결과, 잔류분극 (Pr)과 항전계 (Ec)는 각각 5.92μC/㎠ 과 86.3㎸/㎝ 이었다. BIT 박막에 ±5V 의 사각펄스를 인가하여 피로특성을 측정한 결과, 잔류분극은 초기값 5.92μC/㎠ 에서 10/sup 9/회에서는 3.95μC/㎠ 로 약 33% 감소하였다.

  • PDF

새덕이 잎 정유의 성분분석 및 항산화활성 평가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Neolitsea aciculata (Blume) Koidz Leaves)

  • 정민지;양지윤;최원실;김재우;김석주;박미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96-106
    • /
    • 2017
  • 본 연구는 hydrodistillation 방법으로 추출한 새덕이 잎 정유의 화학적 조성과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새덕이 잎 정유의 화학적 조성은 GC/MS로 분석하였다. 새덕이 잎 정유의 주요 구성성분은 cis-ocimene (11.00%), trans-ocimene (9.65%), elemol (9.15%), ${\beta}$-elemene (8.75%), germacrene-D (7.55%), trans-caryophyllene (5.90%), ${\gamma}$-elemene (5.40%), ${\tau}$-muurolol (4.95%)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덕이 잎 정유의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함량 분석, DP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정유의 총 페놀 함량은 $136.7{\pm}0.13\;mg\;GAE/g$으로 분석되었으며, 50% DPPH radical을 소거하는데 필요한 정유의 효과 농도($EC_{50}$ value)는 $639.33\;{\mu}g/m{\ell}$로 나타났다. 또한,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FRAP value는 $31.21{\pm}0.12{\mu}M$ $FeSO_4{\cdot}7H_2O/g$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새덕이 잎 정유가 건강에 대해 중요한 이점과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수수 재배시 적용 제초제 선발을 위한 약효 및 약해 평가 (Weeding Efficacy and Phytotoxicity Evaluation of Soil-Applied Herbicides for Potential Use in Sorghum)

  • 황재복;박태선;박홍규;김학신;최인배;구본일;배희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82-87
    • /
    • 2016
  • 수수 재배시 생산비 절감을 위해 몇몇 약제에 대해 약효 및 약해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수에 적용이 가능한 제초제로는 약해로 보면, 메타벤즈티아주론(수)은 약해정도가 기준량에서 1, 배량에서 3 정도로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그러나 시마진(수)는 기준량에서 2, 배량에서 4로 다소 약해 정도가 높았다. 옥사디아길(유)과 디메테나미드-피 +펜디메탈린(유)는 수수에는 약해가 기준량에서는 1, 배량에서는 3 정도이었으나 잡초방제 효과는 낮았다. 예천과 밀양 2개 지역에서 수량은 메타벤즈티아주론과 시마진 약제에서 각각 $314kg\;10a^{-1}$$284kg\;10a^{-1}$로 손제초구 $321kg\;10a^{-1}$, $336kg\;10a^{-1}$로 손제초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편, 잡초방제효과는 메타벤즈티아주론(수)는 예천, 밀양 2개 지역에서 각각 95%, 81%로 수수에 적용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시마진(수)은 2개지역 모두 84%, 79% 이었으며, 옥사디아길(유)과 디메테나미드-피 +펜디메탈린(유)의 방제가는 각각 32%, 68%로 낮았다.

유해물질 사용제한에 따라 무연솔더링 공정으로 생산된 전자제품의 신뢰성확보 방안 (A study on the Reliability Assuranc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made with Lead-Free Solder - in the restriction of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

  • 송병석;조재립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04년도 품질경영모델을 통한 가치 창출
    • /
    • pp.298-301
    • /
    • 2004
  •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shall ensure that, from 1 July 2006, new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put on the market does not contain mercury, cadmium, lead, hexavalent chromium, polybrominated biphenyls(PBB) or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PBDE) (by Directive 2002/95/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f 27 january, 2003 on the 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 So, It is important to develop lead free solder and to assure the reliability of appliance. But lead free solder(i.e. Sn-3Ag-0.5Cu) have some problems such as lift off, whisker, migration and crack, etc.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liability assurance method in lead free solder and appliance.

  • PDF

저장조건별 농약제품의 물리.화학적 안정성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pesticide formulations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이희동;김광호;이자현;신욱철;박현주;이수형;박승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3-106
    • /
    • 2004
  • 농약의 약효보증기간 설정을 위한 저장안정성 시험으로 실온조건과 $54^{\circ}C$의 고온조건하에서의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유기인계인 dichlorvos 50% EC와 acephate 50% WP, 이족사졸계인 hymexazole 4% DP, 디치오카바메이트계인 thiram 80% WP, 유기유황계인 isoprothiolane 12% GR 등 5종의 농약에 대하여 저장조건별로 유효성분 및 물리성 등에 대하여 경시적 변화율을 조사하였다. Dichlorvos EC는 $54^{\circ}C$의 고온조건에서 2주후의 유효성분 분해율이 3.34%로 상온에서의 1년 후의 분해율인 0.34%보다 약 10배 정토 높았으며, 고온조건 4주와 실온 2년에서의 분해율은 각각 4.85%와 5.95%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고온조건 6주와 실온 3년차에서는 각각 5.36%와 7.35%로 나타났다. Acephate WP와 hymexazole DP는 고온조건에서 2, 4, 6주 후의 유효성분 분해율이 acephate WP는 7.74%, 15.95%, 33.55%였고, hymexazole DP는 2.46%, 5.15%, 6.04%인 반면에 실온조건 1, 2, 3년 후의 분해율은 acephate WP는 3.21%, 3.78%, 6.74%였고, hymexazole DP는 1.79%, 3.58%, 3.58%로 고온조건과 실온조건 사이에 차이가 큰 편이었다. Thiram WP와 isoprothiolane GR은 고온조건 10주 후의 분해율이 1.73%, 실온조건 5년 후의 분해율이 2.74% 로서 유효성분이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성은 실온조건이나 고온조건에서 경시적으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서 저장조건에 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초기배아 발생과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의 발현에 대한 bisphenol A의 영향 (Effect of Bisphenol A on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Express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in the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황운기;김대한;류향미;이주욱;박승윤;강한승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234-242
    • /
    • 2014
  • 본 연구는 시험생물로서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를 이용하여 내분비계장애물질인 bisphenol A(BPA)의 독성 및 시험생물로서의 적합성 등을 조사하였다. 말똥성게(H. pulcherrimus)의 수정 및 정상 배아발생에 미치는 BPA의 독성을 보기 위하여 농도(0, 300, 500, 800, 1000, 1500 ppb)에서 조사하였다. BPA 노출 시 수정률은 시험구간 내의 BPA 처리농도와 관계없이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정상 배아발생률은 BPA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 800 ppb 농도부터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정상배아발생에 대한 독성값은 반수영향농도 ($EC_{50}$) 1056.1 ppb, 95% Cl 981.8~1163.9 ppb로 나타났다. 또한 무영향농도 (NOEC)와 최소영향농도(LOEC)는 500 ppb 및 800 ppb로 나타났다. BPA에 노출된 배아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이 정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BPA에 노출된 pluteus 유생을 이용한 glutathione-S-transferase (GST)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해본 결과 GST 유전자의 발현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말똥성게 (H. pulcherrimus)의 초기 배아 발생 과정 중 800 ppb 이상에서 독성을 나타냈으며 GST 유전자는 BPA 노출에 따른 위해성 평가에 생체지표유전자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Methicillin, Cefamandole, Oxytetracycline에 의한 사람 호중구 Elastase의 변화 (Antibiotics; Methicillin, Cefamandole and Oxytetracycline, Can Modulate the Activity of Human Neutrophil Elastases)

  • 김사열;정혜영;배성준;강구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9-113
    • /
    • 1989
  • 사람 혈액속의 elastase와 관련된 질병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저해제의 개발을 동반해 왔으며, 최근 항생제도 그 관심대상이 되고 있다. 두 단계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쳐 얻은 고순도의 elastase에 12종의 항생제를 처리하였다. 세포벽합성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penicillin계와 cephalosporin계 항생제를 각각 3종씩 처리한 결과, methicillin과 cefamandole은 10mM 농도에서 elastase 활성을 50% 이상 저해하였지만, 나머지는 거의 10% 미만이었다. 단백질합성 저해제 중 oxytetracycline의 elastase에 대한 저해효과는 10mM 농도에서 95% 이상으로 매우 탁월하였으며 $(IC_{50}=0.3mM)$, gentamicin도 50% 이상 저해하였으나, 다른 aminoglycoside나 chloramphenicol은 역시 10%미만이었다. 실험해 본 항생제 가운데, oxytetracycline, cefamandole, methicillin, gentamicin 등은 elastase에 대한 강력한 저해제였으며, 그 작용기전은 항생제의 알려진 약리학적 기전과는 다른 차원의 모델임이 분명하였다.

  • PDF

블루베리 농축식초 제조 및 이들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Production of Concentrated Blueberry Vinegar Using Blueberry Juice and It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 오현화;장소원;전현일;정도연;김영수;송근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95-7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졌다고 알려진 블루베리의 식품산업 이용률을 높이고자 블루베리 농축식초를 제조하였으며, 종초가 블루베리 농축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선정된 주모용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SRCM 100610), 종초용 초산균(Acetobacter pasteurianus SRCM 101342) 및 블루베리 농축액을 활용하여 제조한 블루베리 농축식초의 당도, pH, 총산도, 총 페놀성 화합물, 갈변도(280 nm과 420 nm)는 각각 $11.05{\sim}12.70^{\circ}Brix$, 2.63~2.98, 1.65~5.72%, 3.03~4.24 mg/mL, 0.95~1.50 및 0.11~0.20이었으며,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와 총산도는 증가하였으나 pH, 총 페놀성 화합물 및 갈변도는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검정, ABTS 라디칼 검정 및 환원력에서는 control이 가장 낮은 $EC_{50}$ 값(23.80, 19.48 및 79.21배의 희석배율)을 보였으나 SOD 유사 활성에서는 종초 40% 첨가구가 가장 낮은 $EC_{50}$ 값(46.19배의 희석배율)을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종초 40% 첨가구의 clear zone diameter 값이 Escherichia coli KACC 10115에서는 4.31, Staphylococcus aureus KACC 1927에서는 4.59, Listeria monocytogenes KACC 10764에서는 5.81 및 Bacillus cereus KACC 10097에서는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갈변도(at 280 nm), pH 및 총산도의 결정계수($R^2$) 값이 0.82~0.99를, 항균 활성에서는 pH와 총산도의 $R^2$ 값이 0.92~0.99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선정된 주모용 효모, 종초용 초산균 및 블루베리 농축액을 활용하여 제조한 블루베리 농축식초는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