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Bph%5D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8초

Plasm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A and C in Patients undergoing Prostatic Biopsy and TURP for Suspected Prostatic Neoplasia

  • Singh, A.N.;Gautam, Kirti A.;Dalela, D.;Sankhwar, S.N.;Natu, S.M.;Sankhwar, P.L.;Srivastava, 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2053-2058
    • /
    • 2013
  • Background: Formation of new blood vessels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neoplasms more than 1 mm3 in volume, angiogenesis being responsible for formation of new from pre-existing blood vessel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pivotal and the best studied angiogenic factor in all human cancers. Therefore we design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ole of VEGF-A and VEGF-C in prostate cancer in comparison with BPH controls in a north Indian population. Methods: In this case-control study a total of 100 subjects were included on the basis of confirmed histopathological reports, out of which 50 were prostate cancer patients and the other 50 were BPH patients with PSA levels >2 ng/ml and abnormal digital rectal examination (DRE) findings during September 2009 to August 2011 from the Department of Urology, KGMU, Lucknow, India. Plasma levels of VEGF were determined using quantitative immunoassay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15.0 version. Results: The mean age of prostate cancer ($67.6{\pm}5.72$)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5) than BPH ($63.6{\pm}7.92$) patients. Expression of VEGF-A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in disease stage C1 than D1 or D2 and A or B (p=0.13) while the level of VEGF-A was significantly higher (p=0.04) in prostate cancer as compared to BPH subjects (PCa=13.0 pg/ml, BPH=6.8 pg/ml). Levels of VEGF-C were similar in both groups (PCa=832.6 pg/ml, BPH=823.7 pg/ml). In ROC curve, the area under curve (AUC) was 0.70 (95%CI: 0.60-0.80) and the cut-off value for which a higher proportion of patients was correctly classified (20%) was 26.0 pg/mL. Conclusion: Although VEGF-A is increased in cancer prostate patien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uld not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VEGF-C was not found to be a useful biomarker.

A New Functional Model Complex of Extradiol-cleaving Catechol Dioxygenases: Properties and Reactivity of [$Fe^{II}$(BLPA)DBCH]BPh₄

  • Lim, Ji H.;Park, Tae H.;이호진;이강봉;Jang, Ho 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0권12호
    • /
    • pp.1428-1432
    • /
    • 1999
  • [Fe$^{II}$(BLPA)DBCH]BPh₄ (1), a new functional model for the extradiol-cleaving catechol dioxygenases, has been synthesized, where BLPA is bis(6-methyl-2-pyridylmethyl)(2-pyridylmethyl)amine and DBCH is 3,5-di-tert-butylcatecholate monoanion. ¹H NMR and EPR studies confirm that 1 has a high-spin Fe(II) (S = 2) center. The electronic spectrum of 1 exhibits one absorption band at 386 nm, showing the yellow color of the typical [Fe$^{II}$(BLPA)] complex. Upon exposure to O₂, 1 is converted to an intense blue species within a minute. This blue species exhibits two intense bands at 586 and 960 nm and EPR signals at g = 5.5 and 8.0 corresponding to the high-spin Fe(III) complex (S = 5/2, E/D = 0.11). This blue complex further reacts with O₂ to be converted to (μ-oxo)Fe$^{III}_2$ complex within a few hours. Interestingly, 1 affords intradiol cleavage (65%) and extradiol cleavage (20%) products after the oxygena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1 undergoes two different oxygenation pathways. The one takes the substrate activation mechanism proposed for the intradiol cleavage products after the oxidation of the $Fe^II\;to\;Fe^{III}$. The other involves the direct attack of O₂ to $Fe^{II}$ center, forming the $Fe^{III}$-superoxo intermediate which can give rise to the extradiol cleavage products. 1 is the first functional Fe(II) complex for extradiol-cleaving dioxygenases giving extradiol cleavage products.

Genetic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Biphenyl Dioxygenase from Pseudomonas sp. Strain B4

  • Rodarie, David;Jouanneau, Yve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5호
    • /
    • pp.763-771
    • /
    • 2001
  • Biphenyl dioxygenase (BPDO), which catalyzes the first step in the bacterial degradation of biphenyl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was characterized in Pseudomonas sp. B4. The bphA locus containing the four structural genes encoding BPDO were cloned and sequenced. A regulatory gene as well as a putative regulatory sequence were identified upstream of this locus. A transposase-like gene was found within a 1-kb region further upstream, thereby suggesting that the bphA locus may be carried on a transposable element. The three components of the BPDO enzyme have been separately overexpressed and purified from E. coli. The ferredoxin and terminal dioxygenase components showed biochemical properties comparable to those of two previously characterized BPDOs, whereas the ferredoxin reductase exhibited an unusually high lability. The substrate selectivity of BPDO was examined in vivo using resting cell assays performed with mixtures of selected polychlorinated bipheny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a-substituted congeners were the preferred substrates. In vitro studies were carried out on a BPDO complex where the reductase from strain B4 we replaced by the more stable isoform from Comamonas testosteroni B-356. The BPDO enzyme had a specific activity of $0.26{\pm}0.02 {\mu}mol {min^-1}{mg^-1}\;of\;ISP_{BPH}$ with biphenyl as the substrate. The 2,3-, 4,4'-, and 2,4,4'-chlorobiphenyls were converted to single dihydrodiols, while 2,4'-dichlorobiphenyl gave rise to two dihydrodiols. The current data also indicated that 2,4,4'-trichlorobiphenyl was a better substrate than the 4,4'-dichlorinated congener.

  • PDF

Effect of Phellius linteus water extract o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Kim, Yu-Na;Kim, Min-Sun;Chun, Sung-Sik;Choi, Jeong-Hw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3호
    • /
    • pp.172-177
    • /
    • 2013
  •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among elderly men. As the old-age population is increasing recently, it is to our interest to observe the growing BPH within them. In BPH, the dihydrotestosterone (DHT) acts as promotes prostate growth. It inhibits enzyme $5{\alpha}$-reductase that is involved in the conversion of testosterone to the DHT activity which reduces the excessive prostate growth. Through experiments, the effects of Phellius linteus water extract performed on the BPH rats were induced by testosterone treatments. For 12 weeks, Sprague-Dawley rats were treated with testosterone for the induction of BPH. Rats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the not treated group (N), the testosterone injection and D.W treatment group (TN), the testosterone injection and Phellinus linteus treatment group (TP) and testosterone injection and finasteride treatment group (TF). Prostate weight, volume and weight ratio in the TP group and the TF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N group. Testosterone and DHT levels in the T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 group. And the TP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the TN group. While prostates of control rats revealed severe acinar gland atrophy and stromal proliferation; the TP and TF groups showed trophic symptoms and were lined by flattened epithelial cells, thus, the stromal proliferation is relatively low as compared to the TN group. These suggest that Phellinus linteus water extracts may be an useful remedy for treating the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벼멸구의 비래와 기상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me Weather Conditions and Immigration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 엄기백;박중수;이영인;최궤문;이문호;이정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00-210
    • /
    • 1988
  • 1981년부터 '87년 7년간 전국 151개 예찰소에 유아등으로 채집한 별멸구 유살성적을 비래파별로 구분하고 일일기상도와 850mb천기도를 근거로 비래시기의 기상형채를 검토한 결과 1)벼멸구의 주비래시기는 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주로 7월 중.하순이었다. 2) 비래량은 7월 하순에 가까울수록 많았으며 비래지역도 넓어졌다. 3)벼멸구 비래가 있었던 시기의 기상은 전선을 동반한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A type)가 12회로 가장 많았고, 전선과 저기압이 남해안과 제주도를 통과할 때(B type)가 5회, 전선만이 걸쳐 있을 때 (C type)기 7회, 전선과 저기압이 통과가없을 때 (D type)가 2회 기록되었다. 4) 어니 브래형테에서나 우리나라 서남지방부터 비래가 있었으며, 이 지역이 비래량도 많았다. 5)비래시기에 기상의 공통점은 850mb천기도상에서 비래원으로 추정되는 중국 남부지방으로부터 남서풍이 불어오고 있었으며(26회중 26회), 강우전선은 26회중 24회, 저기압은 26회중 17회였다. 6)이상의 결과로 벼멸구는 중국으로부터 남서기류를 따라 이동해 오면 이동하는 과정에서 낙하를 유발하는 조건(전선등)이 있을 때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agrus incarnatus Haliay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Anagrus incarnatus Haliday (Hymenoptera : Mymaridae))

  • 여윤수;장영덕;최귀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17-221
    • /
    • 1990
  • Anagrus incarnatus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를 조사한 결파 다음파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난에서 부터 성충이 우화되어 나올 때까지의 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20^{\circ}C$, $25^{\circ}C$, $30^{\circ}C$에서 각각 21.5일, 13.6일, 10.6일이 소요되었으며 온도와 발육속도간에는 높은 상관관계 (r = 0.99**)가 있었다. 발육임계온도는 $10.0^{\circ}C$였고 유효적산용도는 210.3일도였다 .. 25 $\pm$ $1^{\circ}C$(16L:8D) 조건하에서 기주의 종류를 달리 하였을 때 발육기간은 벼멸구난에서 12.4 일, 흰등멸구 12.5일, 애멸구 12.1일로 나타나 기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벼멸구 난의 발육 단계에 따른 발육기간은 1, 3, 5, 7일된 난에서 각각 12.5, 12.1, 12.5, 12.9일로서 7일된 난 에서 조금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25 $\pm$ $1^{\circ}C$ (16L: 8D) 조건하에서 꿀을 제공 하였을 때 기생봉성충 수명은 평균 5.3일 이었다. 난소 속의 장란수는 34.8 $\pm$ 2.8개, 실제 산란수 28.3 $\pm$ 0.6개였고 일별 산란수는 우화 후 1, 2, 3, 4일에 각각 17.8, 7.0, 3.3, 0.2개 였다. A. incarnatus는 우화 후 1일 이내 총산란의 63.3%를 산란하였다.

  • PDF

전립선비대증의 어성초추출물에 의한 경구투여 효과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 o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송원영;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05-711
    • /
    • 2019
  • 본 연구는 전립선비대증이 노화 및 남성호르몬 과다분비로 인해 유발된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순화기간을 마친 12주령이 된 수컷 쥐에 testosterone을 30일간 피하주사하여 노화 및 testosterone 분비 증가로 인한 전립선비대증 유발 모델 rat을 제작하였다. 실험군은 총 4군으로 각 군당 10마리씩 정상군(N 군), 음성대조군(DO 군), 어성초 추출물 투여군(HO 군) 및 양성물질 finasteride 투여군(FO 군)으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고환절제술을 한 후 testosterone을 투여한 결과 N군에 비해 나머지 세 군, DO, HO 및 FO군 모두에서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전립선의 부피는 N군에 비해서 DO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HO군과 FO군에서는 D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립선의 무게 또한 HO군 및 FO군에서 D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체중 당 전립선의 비율은 N군에 비해 DO군, HO군 및 FO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DO군에 비해 HO 및 FO군은 각각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중 testosterone 및 DHT의 농도는 N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DO군에서 증가된 혈중 testosterone 및 DHT의 농도는 어성초 추출물 및 finasteride의 공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어성초 추출물의 공급으로 인한 조직병리학적 변화양상을 관찰한 결과 어성초추출물 공급군에서는 DO군에 비해 상피세포, acinar gland, 관상피 세포, 세포핵, 분비선들의 변형 및 위축이 감소하여 정상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finasteride 처리군의 형상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어성초 추출물에 대한 이러한 효과는 향후 분자생물학적으로 기전연구들이 더욱 필요하지만 본 결과로 미루어 어성초 추출물 내 함유된 다양한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들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던 발모 및 여드름 개선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기전을 가지고 있는 전립선비대증 개선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벼멸구 저항성 품종벼에서 벼멸구의 생명표 분석 (Life Table Analysis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ål (Hemiptera: Delphacidae) on Rice of Resistant Cultivars)

  • 최낙중;정인홍;권덕호;최만영;백채훈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526-532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로 유입되어 벼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인 벼멸구의 감수성 및 항충성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품종별 발육기간, 성충 수명, 산자수, 생명표 등을 조사하였다. 벼 품종별 발육실험에서 난기간은 품종에 상관없이 9일 정도로 조사되었고, 전체 약충기간은 품종별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발육단계별 우화율의 경우 Bph1 유전자를 가진 장성벼가 36%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Bph2 유전자를 가진 친농벼의 경우 우화율이 70%로 가장 높았으며 감수성 품종인 동진 1호는 50%의 우화율을 나타냈다.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품종을 섭식한 벼멸구의 경우 발육기간과의 연관성은 낮지만, 탈피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된다. 벼멸구의 생식과 관련하여 품종에 따라 산란전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산란기간은 $23.1{\pm}2.88$일로 동진 1호가 가장 길었고 Bph2 유전자를 가진 친농벼와 중모 1045는 각각 $19.3{\pm}2.26$일, $18.9{\pm}2.03$일로 통계적으로 유사하였다. 그에 비해 Bph1 유전자를 가진 청청벼와 장성벼의 산란기간이 짧았으며, 특히 장성벼는 $4.7{\pm}1.46$일로 가장 짧았다. 암컷 수명과 산자수는 산란기간과 동일한 경향으로 조사되어 청청벼와 장성벼에서의 벼멸구의 생식능력이 다른 품종에 비해 낮음을 확인하였다. 생명표 분석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순증가율은 중모 1045 ($64.51{\pm}25.414$), 친농벼($51.61{\pm}28.558$), 동진 1호($43.25{\pm}13.952$), 청청벼($11.02{\pm}7.497$), 장성벼($2.51{\pm}3.620$) 순으로 낮았고, 내적자연증가율은 중모 1045 ($0.196{\pm}0.0155$), 친농벼($0.181{\pm}0.0246$), 동진 1호($0.172{\pm}0.0179$), 청청벼($0.127{\pm}0.0402$), 장성벼($0.048{\pm}0.0582$) 순이었다. 기간자연증가율은 순증가율과 같은 순서였고, 평균세대기간은 동진 1호, 친농벼, 중모 1045, 장성벼, 청청벼 순이었으며, 배수기간은 장성벼에서 가장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모든 품종에서 유의했다. 종합해 보면 장성벼의 경우 벼멸구가 번식하는 데 있어서 다른 품종에 비해 가장 불리하며, 저항성 유전자가 있지만 친농벼와 중모 1045는 벼멸구의 번식에 있어서 감수성 품종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한 품종 간에서도 벼멸구의 가해능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벼멸구 방제를 위한 저항성 품종 육종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고, 저항성 유전자가 어떠한 기작을 통하여 저항성 반응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adan 입제(4G)의 벼멸구 방제효과 및 살충효과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trol of brown planthoppers with Padan 4G and several factors governing the insect mortality)

  • 장영덕;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21-232
    • /
    • 1984
  • Padan (Cartap)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 방제효과 및 이들에 관여하는 몇가지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내시험, 폿트시험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벼멸구에 대한 Padan의 $LD_{50}$치는 암컷은 $0.2021\;{\mu}g$(24시간)$\~$$0.0032\;{\mu}g$(48시간)/충이었고, 수컷은 $0.215\;{\mu}g$(24시간)$\~$$0.0008\;{\mu}g$ (48시간)충/ 이었다. 2.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LD_{50}$치는 온도수준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즉 $25^{\circ}C$에서는 $0.1076\;{\mu}g$/충, $30^{\circ}C$에서는 $0.0072\;{\mu}g$/충, $35^{\circ}C$에서는 $0.0031\;{\mu}g$/충 이었다. 3. 벼멸구 암컷에 대한 Padan의 $LC_{50}$치(ppm)는 칩엽처리에서는 낮았다. 즉, 침근처리에서 살충효과가 훨씬 높았다. 4.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감로배치량은 $458mm^2$로서 $LD_{30}$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 $935mm^2$에 비하며 낮았으나 $LD_{50}$ 약량수준에서는 무처리와 비등하였다. 5.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성충에 대해서는 낮았고 약충에 대해서는 높았다. 6. 폿트시험에 있어서 벼멸구에 대한 Padan 4G의 살충효과는 Broadcasting와 Top-dressing 처리간에 별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7. 폿트시험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효과는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높았다. 8. Padan의 처리를 받은 벼멸구의 차세대의 밀도는 총 513마리로서 무처리구 550마리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Furadan 처리구의 3.0마리에 비하여는 현저히 높았다. 그리고 Diazinon 처리에서 370.7 마리 비해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9. 수원지방에 있어서 Padan 4 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94.3\~100\%$인데 비하여 Diazinon $47.0\~99.8\%$, Furadan $63.3\~99.8\%$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리고 담수상태에 비하여 배수상태에서 벼멸구 방제효과가 높았는데 그 현상은 Diazinon, Furadan 처리에서 더욱 뚜렷하다. 10. 해남지방에 있어서 Padan 4G의 벼멸구 방제효과는 $62.3\~94.1\%$ 인데 비하여 Diazinon처리구 $3.5\~80.4\%$. Furadan 처리구 $0\~50.6\%$로서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수원의 방제효과에 비하면 좀 낮은 편이었다. 담수조건과 배수조건에 따른 방제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Diazinon과 Furadan 처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1. 포장시험결과 Padan 4G는 4kg/10a 수준에서 벼멸구 방제효과 발현은 충분하였다. 12. 폿트시험과 포장시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서는 금후에 연구검토가 요망된다.

  • PDF

Expression of BrD1, a Plant Defensin from Brassica rapa, Confers Resistance against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in Transgenic Rices

  • Choi, Man-Soo;Kim, Yul-Ho;Park, Hyang-Mi;Seo, Bo-Yoon;Jung, Jin-Kyo;Kim, Sun-Tae;Kim, Min-Chul;Shin, Dong-Bum;Yun, Hong-Tai;Choi, Im-Soo;Kim, Chung-Kon;Lee, Jang-Y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8권2호
    • /
    • pp.131-137
    • /
    • 2009
  • Plant defensins are small (5-10 kDa) basic peptides thought to b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defense pathway against fungal and/or bacterial pathogens. To understand the role of plant defensins in protecting plants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a type of insect herbivore, we isolated the Brassica rapa Defensin 1 (BrD1) gene and introduced it into rice (Oryza sativa L.) to produce stable transgenic plants. The BrD1 protein is homologous to other plant defensins and contains both an N-terminal endoplasmic reticulum signal sequence and a defensin domain, which are highly conserved in all plant defensins. Based on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defensin domain of various plant defensins, we established that BrD1 belongs to a distinct subgroup of plant defensins. Relative to the wild type, transgenic rices expressing BrD1 exhibit strong resistance to brown planthopper nymphs and female ad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D1 exhibits insecticidal activity, and might be useful for developing cereal crop plants resistant to sap-sucking insects, such as the brown planthop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