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LaFeO_3%24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2초

치환된 $LaFeO_3$의 환원반응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reducibility of substituted $LaFeO_3$)

  • 전현표;이상범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35-46
    • /
    • 2005
  • $LaFeO_3$ 복합산화물과 부분 치환한 $LaFeO_3$ 복합산화물을 citrate와 Cyanide 공침법으로 합성하여 공기중에서 $850^{\circ}C$로 24시간동안 열처리해 제조방법에 의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XRD와 IR의 결과에 의하여면, 합성된 산화물은 Orthorhombic의 Perovskite구조를 나타냈으나 B자리에 0.5mol의 Cu가 치환된 복합산화물은 단일상을 얻지 못하였다. 또한, 이들 산화물의 환원반응은 치환하지 않은 $LaFeO_3.17$ 복합산홤루은 2단계 반응인 반면에 치환한 복합산화물은 3단계 반응으로 Dopant에 의한 새로운 환원단계가 존재함을 알았다.

  • PDF

용융염 합성법에 의한 Z형 육방정 페라이트 (Ba, La)Co2Fe24O41계의 결정구조와 미세구조 (Crystal 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Z-type hexaferrite (Ba, La)Co2Fe24O41 by molten salt synthesis)

  • 이도혁;권채연;문경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97-202
    • /
    • 2021
  • Z형 육방정 페라이트인 Ba3Co2Fe24O41(Ba3Z)와 Ba1.5La1.5Co2Fe24O41(Ba1.5La1.5Z) 분말을 1차 하소 후 용융염 합성법을 통해 합성하였다. Ba3Z의 경우, 1000℃에서 하소한 결과 M형 육방정 페라이트와 Y형 육방정 페라이트가 합성되었으며, 이후 1150℃와 1200℃에서 소결했을 때 Z형 육방정 페라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Ba1.5La1.5Z의 경우 1000℃에서 하소하였을 때 M형 육방정 페라이트와 CoFe2O4(Spinel 상) 그리고 LaFeO3으로 합성되었으며, Z형 육방정 페라이트는 용융염 합성 과정에서 합성되지 않았다. 또한 입자 형상의 종횡비는 용융염 합성 시 소결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높은 종횡비를 갖는 단상의 Ba1.5La1.5Z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용융염 합성 전 1차 하소 온도가 Spinel 상이 형성되는 온도보다 낮아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Citrate Sol-Gel법에 의한 Perovskite형 복합 산화물 LaBO3(B = Mn, Fe, Co)의 생성 및 환원 반응성 (Reactivity and Preparation of Perovskite-Type Mixed Oxides LaBO3(B = Mn, Fe, Co) by Citrate Sol-Gel Method)

  • 황호순;박일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6-282
    • /
    • 1994
  • Citrate sol-gel법을 이용하여 perovskite형 복합산화물 LaBO$_3$(B = Mn, Fe, Co)을 공기 중 $850^{\circ}C$에서 24시간 동안 소성하여 제조하였다. X-선 회절분석(XRD)과 TPR결과에 의하면 이들 산화물의 결정구조와 산소화학양론은 LaMnO$_{3.16}$(a = 5.507, c = 13.329 $\AA$, hexagonal), LaFeO$_{3.17}$(a = 5.554, b = 5.555, c = 7.863 $\AA$, orthorhomibic), LaCoO$_{3.0}$(a = 5.436, c = 13.095 $\AA$, hexagonal)으로 수소 분위기(300torr)에서의 TPR결과에 의하면 이들 산화물은 2단계 환원반응으로 반응이 진행되며, 열적안정성은 LaMnO$_3$ > LaFeO$_3$ > LaCoO$_3$순으로 나타났고, 반응속도론적 결과 역시 LaCoO$_3$의 활성화에너지 값이 가장 낮음을 보였다.

  • PDF

혼합원자가 $La_{1-x}Ca_xFeO_{3-y}$의 비화학양론에 관한 연구 (Nonstoichiometric Studies of the Mixed Valency $La_{1-x}Ca_xFeO_{3-y}$)

  • 여철현;편웅범;이은석;이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14
    • /
    • 1988
  • $La_{1-x}Ca_xFeO_{3-y}$ 계의 perovskite 형의 화합물은 La_2O_3,\;CaCO_3$, 및 Fe(NO-3)_3{\cdot}9H_2O$의 정량적 혼합물은 1100$^{\circ}C$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이 고용체의 결정구조는 모든 조성에서 사방정계였다. X-선 회절분석과 Mohr 염 분석을 통하여 y값이 증가하면 공위배열에 의한 상전이가 일어나며 격자체적은 x값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화학양론적 조성 y는 0.0에서 0.5사이의 값을 나타내었다. Mossbauer 분광분석을 298K에서 수행하여 x = 0.75 조성이 높은 닐온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전기전도도는 $-100{\sim}100^{\circ}C$ 온도범위에서 측정하였다. 활성화 에너지로부터 공위 배열에 기인한 열린 통로를 갖고 있는 시료들은 이온성 전기전도에 의한 기여가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Garnet $Y_{2.5}La_{0.5}Fe_5O_{12}$의 Mossbauer 분광학 연구 (Mossbauer Spectroscopy Studies of Garnet $Y_{2.5}La_{0.5}Fe_5O_{12}$)

  • 염영랑;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9-34
    • /
    • 1999
  • 자성 garnet Y2.5La0.5Fe5O12의 분말을 ethylene glycol을 용매로 이용한 sol-gel방식으로 합성하였다. 시료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을 x선 회절기(XRD), 진동시료 자화기(VSM), 그리고 Mossbauer 분광기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분말의 경우 100$0^{\circ}C$에서 단일상의 garnet결정을 얻었으며 결정구조는 cubic구조이며 격자상수는 12.415$\AA$이었다. Mossbauer spectrum은 13K부터 700K까지 측정하였으며 Fe는 모두 +3가 상태로 16(a)와 24(d)site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spin wave 상수는 B3/2=0.32$\pm$0.05, C5/2=0.18$\pm$0.05였으며, Debye 온도는 24(d)site인 경우 382K 그리고 16(a) site인 경우 246K였다. VSM 실험으로부터 상온에서 포화 자화값(Ms)은 25emu/g이었다.

  • PDF

모사된 석탄가스화 합성가스를 이용한 La0.9Sr0.1Cr0.7B0.3O3±δ (B=Mn, Ni, Fe, Ru)의 수성가스전이반응 활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atalytic Performance and Characterization of La0.9Sr0.1Cr0.7B0.3O3±δ (B=Mn, Ni, Fe, Ru) for High Temperature Water-gas Shift Reaction with Simuated Coal-derived Syngas)

  • 이슬기;곽재훈;손정민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543-549
    • /
    • 2013
  • In this study, $La_{0.9}Sr_{0.1}Cr_{0.7}M_{0.3}O_{3{\pm}{\delta}}$ (M=Mn, Ru, Fe, Ni) were prepared by sol-gel method and water gas shift reaction with simulated coal-derived syngas between $400{\sim}650^{\circ}C$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atalytic activity of prepared catalys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by XRD, BET, SEM-EDS and TPR. The formation of perovskite crystallite, $LaCrO_3$ was confirmed and the highest surface area was measured with $La_{0.9}Sr_{0.1}Cr_{0.7}Mn_{0.3}O_{3{\pm}{\delta}}$. Equilibrium conversion of CO above $550^{\circ}C$ was achieved except $La_{0.9}Sr_{0.1}Cr_{0.7}Fe_{0.3}O_{3{\pm}{\delta}}$. and methan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as side reaction of water gas shift reaction with $La_{0.9}Sr_{0.1}Cr_{0.7}Ni_{0.3}O_{3{\pm}{\delta}}$ and $La_{0.9}Sr_{0.1}Cr_{0.7}Ru_{0.3}O_{3{\pm}{\delta}}$. Conclusively, $La_{0.9}Sr_{0.1}Cr_{0.7}M_n{0.3}O_{3{\pm}{\delta}}$ was the most suitable catalyst of water gas shift reaction above $500^{\circ}C$ for CO conversion and hydrogen production.

Softener 및 Hardener 동시 첨가가 PZT 압전세라믹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ftener and Hardener Co-doping on Properties of PZT Piezoelectric Ceramics)

  • 이언종;김윤해;이병우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1-85
    • /
    • 2010
  • The effects of co-doping with complex dopants of softeners, $La^{+3}$ and/or $Nb^{+5}$, and a hardener, $Fe^{+3}$, on the microstructural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PZT ceramics with a composition of a rhombohedral-tetragonal morphotropic phase boundary, $PbZr_{0.53}Ti_{0.47}O_3$, were investigated. Unlike single-element doping, the complex doping of both the softener and hardener ions led to various compensation effects for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of the PZT ceramics. For 0.5 wt.% $La_2O_3$ softener and/or 0.5 wt.% $Nb_2O_5$ doped compositions, there were apparent hardener doping (compensation) effects for an addition of over 1.0 wt.% $Fe_2O_3$. For the $La_2O_3$ and/or $Nb_2O_5$ doped composition, the co-dopant $Fe_2O_3$ addition led to lower kp and $\varepsilon$r, and increased $Q_m$ values. The prepared PZT ceramics modified with complex soft dopants, $La^{+3}$ and $Nb^+$, as well as a hard dopant, $Fe^{+3}$, showed that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were stable with the compositional variations, which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piezoelectric performances with higher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The most improve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enhanced $Q_m$ with $\varepsilon_r$ remaining higher $k_p$, were obtained in the PZT composition complexly doped with $La^{+3}$ and $Fe^{+3}$.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compositionally modified PZT ceramics can also be tailored over a wider range by changing the dopant compositions to meet the specific requirements for underwater or other applications.

Magnetic Properties of R-YIG (R = La, Nd, and Gd) Derived by a Sol-gel Method

  • Uhm, Young Rang;Lim, Jae Cheong;Choi, Sang Mu;Kim, Chul Su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1권3호
    • /
    • pp.303-307
    • /
    • 2016
  • $Y_{3-x}R_xFe_5O_{12}$ (R = La, Nd, and Gd) powder were fabricated using a sol-gel pyrolysis method. Their magnetic properties and crystalline structures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a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VSM), and $M{\ddot{o}}ssbauer$ Spectrometer. The $M{\ddot{o}}ssbauer$ spectra for the powders were taken at various temperatures ranging from 12 K to Curie temperature (Tc). The isomer shifts indicated that the valence states of Fe ions for the 16(a) and 24(d) sites have a ferric character.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Ms) increases from 32 to 34 (emu/g) for the YIG, and Nd-YIG, respectively. However, Ms decreases to 27 (emu/g) at Gd-YIG.

인삼(Panax ginseng) 열매로부터 분리한 ginsenoside의 동정 및 암세포독성 효과 (Ginsenosides from the fruits of Panax ginseng and their cytotoxic effects on human cancer cell lines)

  • 곽정은;이영근;황보전;김형근;오선민;이대영;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4호
    • /
    • pp.371-377
    • /
    • 2018
  • 인삼(Panax. ginseng) 열매를 80% MeOH 수용액으로 3회 반복 추출한 뒤, 감압 농축한 추출물을 EtOAc, n-BuOH과 $H_2O$ 층으로 계통 분획을 실시하였다. EtOAc분획에 대하여 $SiO_2$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실시하여 5종의 ginsenoside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NMR, IR, FAB/MS 데이터를 해석하여, 각각 ginsenoside F1 (1), ginsenoside F2 (2), ginsenpside F3 (3), ginsenoside Ia (4) 및 notoginsenoside Fe (5)로 구조 동정 하였다. 화합물 2-5는 인삼열매에서는 이번에 처음 분리 보고되었다. 분리한 5종의 화합물을 인체 암세포주(HCT-116, SK-OV-3, HeLa, HepG2, SK-MEL-5)에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이 중 화합물 2, 4, 및 5가 인체 암세포주에 대해 세포독성을 저해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합물 2는 SK-MEL-5, HepG2, HeLa세포에서 $IC_{50}$값이 82.8, 86.8, $78.3{\mu}M$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4는 HCT-116, SK-MEL-5, SK-OV-3, HepG2, HeLa 세포에서 $IC_{50}$ 값이 24.5, 25.4, 26.3, 22.0, $24.9{\mu}M$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5는 SK-MEL-5 세포에서 $IC_{50}$ 값이 $81.7{\mu}M$로 확인되었다. 인삼 열매에서 분리한 화합물2, 4, 및 5가 암세포주에 대해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화합물들은 공통적으로 3번 수산기에 glucopyranose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금강하구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eum River Estuary Adjacent to Coastal Area)

  • 서만석;박영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Keum river estuary adjacent to coastal area. For this study we collected the 21 surface sediments samples. Mean size of surface samples was $3.24{\sim}6.65{\phi}$ on inner estuary and was $2.15{\sim}3.42{\phi}$ on outside estuary. Surface samples were composed of silt on inner estuary and were composed of sand which was more larger than $4{\phi}$ on outside estuary. Most major elements except CaO, $Na_2O$ showed good relationships between variation of contents and grain size. Contents of $Al_2O_3$, $Fe_2O_3$, MgO, $K_2O$, $TiO_2$, $P_2O_5$ and $M_nO$ were increased predominately owing to the variation of mean size of surface samples. Contents of Co, Cr, Cu, Li, Sr, Zn, La, Ce, Pb, Rb, Nd have a good relationships with grain size but Ba, Th, Sm have not. All of major and minor elements contents except $K_2O$ and Ba were less than world mean contents of shallow surface sediments but apprehend a high pollution possibility on silt sediments in the estu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