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_{50}$

검색결과 6,935건 처리시간 0.04초

침전 포말부선법에 의한 Cobalt Ion의 제거 (Removal of Cobalt Ions by Precipitate Foam Flotation)

  • 정인하;이정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3호
    • /
    • pp.11-16
    • /
    • 1998
  • 모의폐액으로 제조한 50ppm의 코발트이온을 sodium lauryl sulfate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침전 포말부선법으로 제거하였다. 부선법으로 코발트이온을 제거하기 전에 35% $H_2O_2$를 모의폐액에 첨가하여 폐액의 전처리 과정을 도입하였다. 그 겨로가 최적 pH 및 처리후 잔존용액의 pH가 낮아졌고, 넓은 범위의 pH에서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초기 코발트 이온농도, pH, 계면활성제 농도, 부선시간, 공급기체 유속, 외부이온 농도 등을 변수라하여 실험한 결과, 초기 코발트 이온농도 50ppm, pH 9.5, 공급기체 유속 $70m\ell$/min, 부선시간 30분 등의 조건에서 99.8%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침전물과 계면활성제의 흡착은 zeta potential 뿐만 아니라 침전물의 용해도 및 pH에 따라 변화하는 화학종과의 친화력과도 관계가 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외부이온으로서 ${NO}_{3}^{-}$, ${SO}_{4}^{2-}$, ${Na}^{+}$, ${Ca}^{2+}$를 첨가하여 그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SO_4^{2-}$가 0.1M 함유된 cobalt 용액을 침전 포말부선법으로 처리한 결과 zeta potential의 감소 및 침전방해 등의 이유로 제거효율은 90%를 나타내었다.

  • PDF

하수슬러지의 혐기적 소화효율 향상을 위한 전처리 효과 (The Effect of Pre-treatment on the Anaerobic Diges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 강창민;김봉근;김인수;김병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1호
    • /
    • pp.90-98
    • /
    • 2001
  • 혐기성소화공정에서 슬러지의 용해가 전체 반응속도를 제한하고 있다. 용해율 향상을 위해 산(pH1.5, 3, 4, 5) 및 알칼리처리(pH9, 10, 13), 열처리(50, 100, 150, $200^{\circ}C$) 및 초음파처리(400W, 20kHz, 15, 20, 25, 30. 35, 40, 50, 60min)가 각 조건에서 실시되어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용해효과는 SCOD기준으로 무처리에 비해 산처리는 효과가 매우 낮았고, 알칼리처리는 pH13에서 986%, 열처리는 $200^{\circ}C$에서 959%, 초음파처리는 처리시간 35분에서 온도고정의 경우 802%, 온도 무고정의 경우 1123%의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초음파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VS/SS비율은 전처리에 따른 용해율과 정의 상관성을 가져, 용해율 효과의 지표로써 이용 가능했다. 총가스발생량은 열처리 $200^{\circ}C$가 무처리에 비해 1.8배, 열처리 $150^{\circ}C$가 1.4배, pH9의 알칼리처리가 1.2배, 온도 무고정 초음파 90분처리가 1.3배의 가스증산 효과를 나타내어, 열처리의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초음파처리의 경우, 온도고정보다 무고정의 경우가 저온 열처리의 동시효과가 있어 보다 효과적이었다.

  • PDF

산죽잎으로 부터 추출한 항산화물질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Extracted from Leaves of Sanjook(Sasa boreails var. chiisanensis))

  • 유미영;박성희;강용모;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96-801
    • /
    • 2005
  • 국내산 산죽잎을 methanol로 추출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안정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산죽잎 메탄올 추출물은 0.1 mg/l에서 0.8m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IC_{50}$ 값은 $583{\mu}g/ml$, SOD 유사활성능에 대한 $IC_{50}$값은 $800{\mu}g/ml$, hydrogen peroxide 소거능에 대한 $IC_{50}$값은 $38{\mug}/ml$이 었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BHT의 각각 의 $IC_{50}$값은 $271{\mu}g/ml,{\;}680{\mu}g/ml,{\;}30{\mu}g/ml$이었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자동산화 억제능은 상기 농도 범위에서 $55\∼6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pH 안정성은 pH 6에서 안정하였으나 산성이나 알카리성으로 갈수록 pH 안정성은 떨어졌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열안정성은 $0^{\circ}C$에서 $120^{\circ}C$의 온도범위에서 $80\%$ 이상의 항산화능을 유지하였다.

Aureobasidium pullulans 에 의한 Exopolysaccharide 생산 - 멜라닌 색소의 출현에 관한 연구 -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Appearance of Melanin Pigment -)

  • 김재형;이기영;강성홍
    • KSBB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34-142
    • /
    • 1989
  • Aureobasidium pullulans에 의한 세포외 다속류 생성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sucrose 농도가 50 g/l 이상일 때는 기질에 의한 저해 작용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았으며 실소원의 증가에 따라서 균체량은 증가하지만 세포외 다속류 생성은 최적농도 (1 g/l )까지 증가하고 그 이상에서는 감소했으며 멜라닌 색소 출현시간은 길어졌다. (2) 최대 균체 성장은 초기 pH 3.0에서 보인 반면에 세포외 다속류 생성은 초기 pH 7.5에서 최대 값은 나타내었고 최대 PH가 증가함에 따라서 효모형 비율이 증가했으며 멜라닌 색소 출현시간은 pH 4.5~8까지는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지만 pH 3 이하에서는 전혀 멜라닌 색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탄소원과 실소원을 증가시켰을 때 pH 5 이하에서는 멜라닌 색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H 6에서 pH 8.5 로 pH가 높아짐에 따라 멜라닌 색소는 빨리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4) 용존산소 농도가 높을수록 균체량과 세포외 다속류 생성이 증가했고 멜라닌 색소 출현시간이 빨라졌으며 potassium phosphate가 전혀 들어있지 않는 배지에서는 멜라닌 색소 출현은 관찰할수가 없었다.

  • PDF

알칼리성 Xylanase를 생산하는 Bacillus alcalojnhilus AX2000의 분리와 효소 생산 (Isolation of Bacillus alcalophilus AX2000 Producing Alkaling Xylanase and Its Enzyme Production)

  • 박영서;김태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7-164
    • /
    • 2003
  • 알칼리성 xylan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후 동정을 실시한 결과 Bacillus alcaiophilus으로 판명되었다. B. alcalophilus AX2000으로 명명한 본 균주는 pH 10.5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효소활성도 가장 높았고 배지 중에 탄소원과 질소원으로서 0.5%(w/v) birchwood xylan과 0.5%(w/v) polypeptone/yeast extract를 각각 사용하였을 경우에 최대의 xylanase생산성을 나타내었다. Xylanase의 생합성근 glucose에 의한 catabolite repression을 받았으며 고농도의 xylose에 의해 효소의 생합성이 저해되었다. 조효소의 최적활성은 pH 10과 $50^{\circ}C$에서 나타났으며, pH 5에서 11까지의 넓은 pH범위에서 활성이 안정하게 유지되었고 효소의 열 안정성은 20~$60^{\circ}C$에서 30분간 처리시 90%이상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었다.

Effect of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and pH on the Mass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 LEE, JI-HYUN;JEONG-HWA KIM;MI-RYUNG KIM;SUNG-MI LIM;SOO-WAN NAM;JIN-WOO LEE;SUNG-KOO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02
  • The effects of DO and pH on the mass production of pullulan with high molecular weight and the morphology of A. pullulans ATCC 42023 were evaluated. A. pullulans showed a maximum production of pullulan (11.98 g/l) when the initial pH of the culture broth was 6.5 in a shake-flask culture. In a batch culture, the mixture of a yeast-like and mycelial cell forms was found at a pH of 4.5, and the maximum production of pullulan (13.31 g/l) was obtained. However, a high propor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M.W.>2,000,000) was produced at a pH of 6.5, with a yeast-like morphology. The maximum pullulan production yield ($51\%$) was obtained at a pH noncontrol (initial pH 6.5) and DO control (above $50\%$) condition. Pullulan degrading enzyme was activated when the pH of the broth was lower than 5.0 and the portion of low molecular weight pullulan was increased. The formation of a black pigment was observed at an initial stationary phase, at 40 h of fermentation. Therefore, the ferment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a pH noncontrol (initial pH of 6.5) and DO control (above $50\%$) condition, and should be harvested before reaching the stationary phase (around 40 h) for the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ullulan.

HNS 유출사고가 해양생물에 미치는 생물독성 영향평가 : HNO3 유출사고 대상 (Marine Ecotoxicological Evaluation on HNS Spill Accident : Nitric Acid Spill Case Study)

  • 김태원;김영윤;조소은;손민호;이문진;오상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55-6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HNS 중 하나인 질산($HNO_3$)의 유출사고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1) 식물플랑크톤(Skeletonema costatum)을 이용한 성장저해시험, (2) 무척추 동물(Brachionus plicatilis, Monocorphium acherusicum), (3) 어류(Cyprinodon variegatus) 및 (4) 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를 이용한 급 만성 독성시험을 질산의 유출로 인한 (1) pH 변화와 사고 후 질산에서 해리된 (2) 질산염($NO_3{^-}$) 농도의 변화에 대해 각각 수행하였다. $HNO_3$를 이용한 pH 변화에 대한 독성시험 결과, M. acherusicum이 무영향농도(NOEC), 최저관찰영향농도(LOEC) 및 반수영향농도($72h-EC_{50}$) 값이 각각 pH 7(0.3 mM), pH 5(1.1 mM) 및 pH 5.2(1.4 mM)로 가장 민감한 영향이 나타났다. $NO_3{^-}$에 대한 독성시험의 결과, B. plicatilis의 만성독성시험(개체군 성장률시험)결과, NOEC, LOEC 및 $96h-EC_{50}$ 값이 각각 5.9 mM, 11.8 mM 및 32.6 mM로 가장 민감한 영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질산 유출사고로 인한 해양생물의 독성영향은 pH의 경우, 선박의 최단 인접지역을 제외하면 그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며 질산염의 경우, 해양생물의 생존 및 번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농도는 일반적인 사고해역에 현실적으로 존재 할 수 없는 농도로 판단된다.

CMP 폐액의 고액 분리를 위한 최적 응집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ed coagulation for separation of liquid and solid from CMP waste)

  • 홍성호;오석환
    • 청정기술
    • /
    • 제7권1호
    • /
    • pp.27-34
    • /
    • 2001
  • CMP공정에서 발생되는 slurry는 다량의 입자성 물질과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다. 이 폐 slurry는 응집성과 침강성에 문제가 있어 처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CI과 Alum을 이용한 Jar-tester를 통하여 용수 재활용을 위한 최적 응집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고형물 함량이 0.1wt%의 경우 PACI을 응집제로 사용할 때 최적 응집 조건은 pH 4 부터 6에서 투여량은 20~50 mg/L 였으며, 0.5 wt%의 경우 pH 4와 5에서 응집제 투여량은 50~100 mg/L였다.

  • PDF

해바라기씨 단백질에서 plastein의 합성 (Plastein formation from sunflower seed protein)

  • 노재문;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1-7
    • /
    • 1991
  • 해바라기씨 단백질에서 plastein을 합성 이용하기 위해 먼저 해바라기씨를 pepsin을 이용해 가수분해하는 최적 조건과, plastein을 합성하는 최적 조건을 구하였다. 최적 가수분해 조건은 pH 1.5, $45^{\circ}C$, 2% 기질농도와 2% pepsin 농도에서 24시간 반응시키는 것이었고 plastein 합성의 최적조건은 기질농도 50%, pH 4.5, $50^{\circ}C$, 0.25% pepsin 농도에서 18시간 반응시키는 것이었다. Plastein의 생성을 확인하기 위해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실시한 결과 해바라기씨 농축가수분해물의 TLC pattern과 plastein의 TLC pattern이 하나의 spot를 제외하고는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plastein과 기질이 다른 것임을 표시하는 것이었다.

  • PDF

신규 Cephalosporin-C Deacetylase(CAH) 생산 균주인 Bacillus sphaericus 366M-9의 선발 및 그 효소학적 특성 (The Isolation of Bacillus sphaericus 366M-9 Producing New Cephalosporin-C Deacetylase (CAH) and its Enzymatic Characterization)

  • 이승훈;권태종;이동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4-229
    • /
    • 2004
  • 토양으로부터 강력한 CAH activity를 갖는 균주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배양학적, 전자현미경 동정을 한 결과, Bacillus sphaericus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B. sphaericus 366M-9로 명명하였다. 또한 이 균으로부터 최초로 cephalosporin-C deacetylase(CAH)를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수율은 약 7.5% 였으며, B. sphaericus 366M-9에서 분리한 CAH-9의 최적활성 온도는 $50^{\circ}C$였으며, 효소안정 온도구간은 30~$50^{\circ}C$이다. 또한 최적 활성 pH는 7.0이었으며, 효소안정 pH구간은 pH 6.0~8.0으로 90% 이상의 잔존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효소반응속도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에서는 $K_{m}$ 값은 0.87 mM 이며,$ V_{max}$는1.22 unit/ml이었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