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괄루경엽의 BV2 미세아교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in BV2 Microglial Cells)

  • 리소군;김관우;고원민;김동철;윤치수;유향전;김종수;장규관;강대길;이호섭;오현철;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11
    • /
    • 2016
  • The aerial part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Cucurbitaceae), has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heatstroke. We isolated and identified three flavones,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1), luteolin-4'-O-${\beta}$-D-glucopyranoside(2), luteolin(3) from its methanolic extract.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luteolin attenuates the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inflammation in BV2 microglial cells. Luteolin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NO) and prostaglandin $E_2(PGE_2)$ in BV2 microglia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out cytotoxic effect. Luteolin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and cyclooxygenase-2(COX-2). In addition, luteolin also showed significant induction of heme oxygenase(HO)-1.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aerial part of T. kirilowii and luteolin may be good candidates to regulat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오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Cayratia japonica Extract)

  • 양희정;김은희;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7-12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오렴매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 저해 효과를 알아보았다. 추출물의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ethanol 추출물(114.3 ${\mu}g/mL$)$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오렴매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aglycone 분획($OSC_{50},\;3.30{\mu}g/mL$)<50% ethanol 추출물(1.21)$1{\sim}25{\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은 25 ${\mu}g/mL$ 농도에서 ${\tau}_{50}$이 175.05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오렴매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2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360 nm)에서 2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2가지 성분은 luteolin, apigenin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47.50%, 52.50%로 나타났다. 오렴매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3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HPLC 크로마토그램은 4개의 피이크를 보여주었다. TLC와 HPLC의 띠와 피이크를 확인한 결과, HPLC의 4개의 피이크는 용리순서로 peak 1(조성비 11.14%)은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 peak 2(15.38%)는 apigenin-7-O-${\beta}$-D-glucuronopyranoside, peak 3(23.55%)는 luteolin, peak 4(49.92%)는 apigenin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은 elastase 저해활성($IC_{50}$)이 70.5 ${\mu}g/mL$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오렴매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성분 분석과 이와 같은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괴불나무잎(Lonicera maackii)의 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Lonicera maackii Leaves)

  • 김선미;원용훈;정가이;김명조;전완주;양희정;권용수
    • 생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7-121
    • /
    • 2016
  • Two flavonoid glycosides and three secoiridoide glycosides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Lonicera maackii. On the basis of spectral and physico-chemical data, the structures of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hesperetin-7-O-glucoside (1),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 (2), secologanin dimethylacetal (3), epi-vogeloside (4), and vogeloside (5), respectively. Hesperetin-7-O-glucoside (1) was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별날개골풀의 페놀성 성분 (Phenolic Constituents from Juncus diastrophanthus)

  • 도초;형명명;안달래;이은별;이소연;김반지;이재혁;박정숙;배종진;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68-371
    • /
    • 2013
  • Five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s of Juncus diastrophanthus (Juncaceae)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methyl 3,5-di-O-caffeoylquinate (1),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 (2), methyl 4,5-di-O-caffeoylquinate (3), quercetin-3-O-${\beta}$-D-arabinopyranoside (4), and methyl 3,4-di-O-caffeoylquinate (5) by spectroscopic techniques.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In Vitro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6-Hydroxykynurenic Acid and Other Flavonoids from Gingko biloba Yellow Leaves

  • Hyun, Sook-Kyung;Jung, Hyun-Ah;Chung, Hae-Young;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2호
    • /
    • pp.1074-1079
    • /
    • 2006
  • As part of our research on phytochemicals that exert protective effects against diseases related to reactive nitrogen species, we have evaluated the scavenging activity of the yellow leaves of Ginkgo biloba on $ONOO^{-}$. The m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from yellow leaves of G. biloba evidenced a marked scavenging activity on authentic $ONOO^{-}$.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activ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n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RP-18, resulted in the purification of 15 known compounds, including sciadopitysin (1), ginkgolide B (2), bilobalide (3), isoginkgetin (4), kaempferol (5), luteolin (6), protocatechuic acid (7), bilobetin (8), amentoflavone (9), ${\beta}-sitosterol$ glucopyranoside (10), kaempferol 3-O-rhamnopyranoside (11), kaempferol 3-O-glucopyranoside (12), kaempferol $3-O-[{6^{'}-O-p-coumaroyl-{\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alpha}-L-rhamnopyranoside]$ (13), kaempferol 3-O-rutinoside (14), and 6-hydroxykynurenic acid (15). Among the compounds isolated, flavonoids (5, 6 and 11-14), protocatechuic acid (7), and 6-hydroxykynurenic acid (15) all exhibited marked scavenging activities on authentic $ONOO^{-}$. The $IC_{50}$ values of 5-7, 11-14 and 15 were as follows: $2.86{\pm}0.70,\;2.30{\pm}0.04,\;2.85{\pm}0.10,\;5.60{\pm}0.47,\;4.16{\pm}1.65,\;2.47{\pm}0.15,\;3.02{\pm}0.48,\;and\;6.24{\pm}0.27\;{\mu}M$, respectively. DL-Penicillamine ($IC_{50}=4.98{\pm}0.27\;{\mu}M$) was utilized as a positive control. However, the other compounds (1-4, 8-10) exerted no effects against $ONOO^{-}$.

Isolation of Flavonoids and a Cerebroside from the Stem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 Jung, Mee-Jung;Kang, Sam-Sik;Jung, Hyun-Ah;Kim, Goon-Ja;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593-599
    • /
    • 2004
  • From the EtOAc fraction of the MeOH extract of Albizzia julibrissin (Leguminosae), a rare 5-deoxyflavone (geraldone, 1), isookanin (2), luteolin (3), an isoflavone (daidzein, 4), five prenylated flavonoids [soph6f1avescenol (5), kurarinone (6), kurarinol (7), kuraridin (8) and kuraridinol (9)], a cerebroside (soya-cerebroside I, 10), and $(-)-syringaresinol-4-O-{\beta}-D-glucopyranoside$ (11)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Compounds 2, 3, and 11, showed 1, 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단백질 수준에 따른 비태인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능력과 난품질,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 류명선;박재홍;박성복;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1-92
    • /
    • 2003
  • 비태인의 급여(0, 600 ppm)가 사료의 단백질 수준(14, 16 %)에 따라 산란계의 생산성과 난품질, 혈액성상, 간과 가슴육의 일반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83주령 하이라인 산란계 192수를 이용하여 12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초사료는 에너지 수준이 2,800 kcal/kg, methionine과 lysine, cystine의 수준은 단백질 수준에 비례하도록 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산란율과 난중,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계란품질은 4주 간격으로 측정했다. 실험 종료시 복강지방과 혈액중 total protein과 albumin, BU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함량, 간의 methionine, choline 함량, 간과 가슴육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을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단백질 수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5) 비태인 급여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난중은 단백질과 비태인 급여로 증가하였으며(P<0.05) 산란양은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P<0.05). 비태인 급여로 사료 요구율은 현저하게 개선되었지만(P<0.05), 계란의 품질은 차이가 없었다. 혈청 total protein은 비태인 급여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단백질 14 % 급여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P<0.05). 복강지방 함량은 단백질 수준과 비태인 급여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슴육과 간의 조단백질 함량은 사료의 단백질 수준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간의 조지방 함량은 비태인의 급여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의 methionine 함량은 단백질과 비태인 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holine 함량은 비태인의 급여에 의해서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비태인의 급여는 단백질 수준이 높은 조건에서 산란율을 개선시키고 난중을 증가시키며 사료 요구율을 개선한다.록 산가는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홍국주의 전자 공여능에 의한 항산화력은 25.6%, 아질산염 소거능은 27.6%,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은 12.34mg%, ACE저해작용은 38%의 항산화력을 나타냈다.과 $O_2$$CO_2$의 농도에서 평균오차 0.2%로 정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흡속도 측정용 챔버의 혼합기체 공급측과 배기측의 가스 농도를 3회 반복 측정한 결과 재현성에서는 0.1%이하의 편차로 나타났다. 개방계 호흡속도 자동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경기체조성하에서 토마토의 호흡속도를 측정하는 실측 실험을 수행한 결과 2$0^{\circ}C$에서 12.7~42.1mg$CO_2$/kg.hr였으며 12$^{\circ}C$에서 2.5~8.2mg$CO_2$/kg.hr로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토마토 호흡속도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다.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luco-pyranoside, quercetin 7-O- -glucopyranoside, acacetin 7-O-$\beta$-D-glucuronide and apigenin-6-C-$\beta$-D-glucopyranosyl-8-C-$\beta$-D-glucopyranoside were first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safflower leaf. Among these flavonoids, luteol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