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acute{e}}g{\acute{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기업 온톨로지를 활용한 작업흐름 변화 영향 분석 (Workflow Changes Impact Analysis with Enterprise Ontology)

  • 박지현;양재군;배재학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1-70
    • /
    • 2008
  • This paper describes case studies on workflow impact analyze with an enterprise ontology (EO). We build the EO with an ontology editor $Prot{\acute{e}}g{\acute{e}}$ and integrate concepts of enterprise architecture and a process model into it to expand the EO. We use the expanded EO and Prolog query rules to analysis workflow dependency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routing, data and role. Through this, we analyze impact of changes in workflow process. Moreover, we have found the effectiveness of the EO and $Prot{\acute{e}}g{\acute{e}}$ in modeling business management and, in particular, workflow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Prot{\acute{e}}g{\acute{e}}$를 이용한 기업 온톨로지 기반 구축 및 활용 -조선 건조공정 표현과 분석 - (A Building and Application of Enterprise Ontology with $Prot{\acute{e}}g{\acute{e}}$ - Representation and Analysis of Shipbuilding Process -)

  • 박지현;양재군;배재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7-3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기업 온톨로지(EO: Enterprise Ontology)를 기반으로 한 조선소 건조 공정의 표현 및 분석 사례를 기술한다. 조선소 건조 공정은 가공, 조립, 탑재, 진수, 시운전, 명명, 인도의 과정을 거친다. 본 논문에서는 그 중 가공공정과 조립공정의 배관설계 업무를 표현하고 분석하였다. 우선, 조선 가공공정과 조립공정의 배관설계 업무를 대상으로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기존의 기업 온톨로지와 병합(Merge)하여 조선소 건조 공정에서의 기업 온톨로지를 생성하였다. 병합된 온톨로지와 프로테제의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각 프로세스를 표현할 수 있었고 건조공정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고 프로세스상의 여러 요소들 간의 의존성도 분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과 같은 복잡한 프로세스를 가지는 산업에서도 기업 경영과 프로세스 관리에 기업 온톨로지가 유용함을 검증하였다.

Developing Protégé Plug-in: OWL Ontology Visualization using Social Network

  • Kim, Min-Soo;Kim, Min-Ko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4권2호
    • /
    • pp.61-66
    • /
    • 2008
  • In recent years, numerous studies have been attempted to exploit ontology in the area of ubiquitous computing. Especially, some kinds of ontologies written in OWL are proposed for major issues in ubiquitous computing such like context-awareness. OWL is recommended by W3C as a descriptive language for representing ontology with rich vocabularies. However, developers struggle to design ontology using OWL, because of the complex syntax of OWL. The research for OWL visualization aims to overcome this problem, but most of the existing approaches unfortunately do not provide efficient interface to visualize OWL ontology. Moreover, as the size of ontology grows bigger, each class and relation are difficult to represent on the editing window due to the small size limitation of screen. In this paper, we present OWL visualization scheme that supports class information in detail. This scheme is based on concept of social network, and we implement OWL visualization plug-in on $Prot{\acute{e}}g{\acute{e}}$ that is the most famous ontology editor.

정형적 개념 분석과 온톨로지를 활용한 제품계열 정보 설계 (Product Family Design using Formal Concept Analysis and Ontology)

  • 이희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10-117
    • /
    • 2012
  • A product family design has received much attention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since a product family-based development shortens lead-times and reduces cost, as well as increase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duct realization process. It is challenging work, however, to define the product family design in the heterogeneous product development environments, due to myriads of products related information described in different ways across products in any companies. In this paper, we provided a way of defining product family design framework using formal concept analysis and ontology language. Based on this, the specific product family can be derived by ontological reasoning, and the new product concept can be also expanded in the framework. The proposed framework is formalized using OWL (Web Ontology Language) and implemented in $Prot{\acute{e}}g{\acute{e}}$. Actual product family design algorithm is carried out using FaCT++ engine, a plug-in to $Prot{\acute{e}}g{\acute{e}}$, and the benefits of the proposed method are also demonstrated through a case study.

온톨로지를 활용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 방법론 (A Methodology of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using Ontology)

  • 왕종수;김대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9-128
    • /
    • 2013
  • The spotlight is thrown on the ubiquitous technology these days, and diverse management technologies are proposed to efficiently manage the networks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Because each network has its unique management technology,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complex networks is a very difficult challenge. In this paper, an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methodology is proposed to ensure the efficient management of different networks using ontology. Although the proposed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methodology is quite simple, the definition of this methodology is essential for the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Using the $Prot\acute{e}g\acute{e}$ to Ontology development, the terms for the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were defined, along with the OWL and relevant rules, and several methods wer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process in this paper is considered essential for the network expansion and multiple network management.

온톨로지를 이용한 식품첨가물 정보 지식의 구축 (Construction of a Knowledge Schema for Food Additive Information Using Ontology)

  • 김은경;김용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42-49
    • /
    • 2017
  • 다양한 분야에서 온톨로지 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정보 검색과 정보자원을 재사용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식품첨가물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식품첨가물은 $Prot{\acute{e}}g{\acute{e}}$를 이용하여 OWL(Web Ontology Language)기반의 지식으로 표현하였다. 식품첨가물명, 기원, 목적, 기본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클래스, 속성, 관계를 정의하였다. 구축한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식품첨가물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679개의 인스턴스를 구축하고 DL Query 질의를 통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보이는 식품첨가물 온톨로지를 이용하면 향후 관련 분야의 정보 검색 시스템 통합 및 개선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온톨로지 구조로 표현된 FRSAD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ntology Architecture for FRSAD Model)

  • 이혜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6
    • /
    • 2012
  • FRSAD과 온톨로지 모형간의 연계는 어떠한 정보구현시스템이나 특정 상황에서도 독립적인 상위 계층의 지식구조를 제안하고, 의미 연결, 지식구조, 주제접근, 상호운용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다. FRSAD 모형을 현실적인 정보환경에 적용하고, 도서관 안팎 어디서나 자유롭게 정보를 확인하고 공유하기 위해서는 지식표현 인코딩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웹 온톨로지 언어인 OWL를 사용하여 FRSAD 모형을 온톨로지 구조로 표현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Prot$\acute{e}$g$\acute{e}$를 사용하여 FRSAD 온톨로지 모형을 시범적으로 구축하였다.

형식개념분석기법 기반의 온톨로지 분석도구(OWL Analyzer)의 개발 (On developing OWL Analyzer based on Formal Concept Analysis)

  • 김동순;황석형;김홍기;양경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0
    • /
    • 2006
  • 온톨로지는 시멘틱 웹의 상호운용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지식의 공유 및 재사용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온톨로지들은 도메인 전문가나 온톨로지 개발자들이 $Prot\acute{e}g\acute{e}$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구축되어 지고 있다. 비록 전문가들이 $Prot\acute{e}g\acute{e}$와 같은 도구를 사용할지라도, OWL등과 같은 언어로 구축된 온톨로지가 실용적이고 도메인의 정보를 정확하게 반영하였음을 검증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식개념분석기법(Formal Concept Analysis)을 사용하여, OWL로 구축된 온톨로지의 소스로부터 온톨로지의 주요 요소들을 추출, 분석하여 구조적 문제점을 파악 할 수 있는 OWL온톨로지 분석도구(OWL Analyzer)의 개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OWL Analyzer를 사용함으로써, 구축된 온톨로지내에 포함된 오류를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고, 온톨로지 개발자에게 보다 좋은 개념계층구조를 갖는 온톨로지를 제안할 수 있다.

  • PDF

6단계 상향식 방법에 의한 국방 온톨로지 추출 (Extraction of Military Ontology Using Six-Step Bottom-up Approach)

  • 나민영;양경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7-26
    • /
    • 2009
  • 국방 분야에서 기존에 구축된 정보시스템은 대부분 대용량의 정보처리 등 단순한 정보처리 중심이었기 때문에 정보의 지적인 수행 능력이나 지식의 표현기술에 대한 능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국방정보시스템이 효율적 정보검색 및 관리를 가능케 하는 지능형 국방정보시스템으로 변화되기 위해서는 지식 구축의 핵심이 되는 국방 온톨로지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6단계 상향식 방법을 이용한 온톨로지 추출 방안을 기술하고, 이를 국방교육훈련 분야에 적용하여 국방 온톨로지 프로토타입을 추출한 후 대표적인 온톨로지 개발 툴인 $Prot\acute{e}g\acute{e}$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