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D_L$

검색결과 980건 처리시간 0.023초

식품첨가물중 불용성광물성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nsoluble Mineral Substances in Food Additives)

  • 김희연;이영자;홍기형;권용관;김소희;김현종;이철원;김길생;이상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88-1195
    • /
    • 1999
  • 식품첨가물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불용성광물성물질인 규조토 3품목, 백도토 1품목, 벤토나이트 10품목, 산성백토 13품목, 탈크 3품목 및 퍼라이트 2품목 등 총 32품목의 시료를 대상으로 그 기본적인 구성 광물 성상 및 화학성분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각 시료들의 입도 분포와 백색도 등을 측정하였다. 분석대상 시료인 불용성광물성물질들의 화학성분 분석 및 XRD(X-Ray Diffractometer) 분석결과는 백도토를 제외한 모든 불용성광물성물질들은 그 화학적 조성비가 보고된 문헌에서와 같이 일치하였으며, 다만 백색도는 탈크, 규조토 및 백도토의 경우에만 90%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분석대상 불용성광물성물질에 대한 중금속의 분석결과는 납(Pb)은 $nd{\sim}23.10$ ppm, 카드뮴(Cd)은 $nd{\sim}0.67$ ppm, 수은(Hg)은 $nd{\sim}0.58$ ppm, 비소(As)는 $nd{\sim}l.42$ ppm 및 구리(Cu)는 $nd{\sim}39.35$ ppm이 검출되었다. 이들 분석대상 불용성광물성물질들의 중금속 분석결과는 기준에 비해 낮은 수치이다.

  • PDF

임신기 모체 혈청과 신생아 제대혈청의 철분함량 (Serum Iron Concentration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during Pregnancy)

  • 장혜미;안홍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60-868
    • /
    • 2005
  • Anemia diagnosed early in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s of low birth weight and preform delive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maternal iron status during pregnancy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ron indices of maternal-umbilical cord serum iron and ferritin levels and pregnancy outcomes. Dietary intakes of the pregnant women were estimated by 24 hour-recall (3 times). Serum iron and ferritin levels in maternal blood and umbilical cord were measured at 1st-, 2nd-, 3rd- trimester and delivery, respectively. The mean of maternal se겨m iron levels of the trimester and delivery were $124.27\;{\mu}g/dl,\;97.03\;{\mu}g/dl,\;94.32\;{\mu}g/dl,\;and\;145.53\;{\mu}g/dl$. Those materna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umbilical cord blood ($222.59\;{\mu}g/dl$). Serum ferritin levels of maternal trimester and delivery were 22.68 $22.68\;{\mu}g/l,\;11.09\;{\mu}g/l,\;14.18\;{\mu}g/l,\;and\;\;24.54\;{\mu}g/l$,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umbilical cord blood ($184.35\;{\mu}g/l$) (p < 0.0001). This prevalence of anemia of total subjects was $30.3\%$ by WHO criteria (Hb < 11.0 g/dl, Hct < $33\%$). Iron levels of 2nd-trimes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anemia group. And ferritin levels of 3rd-trimester and deliver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anemia group. Therefore, we suggest for successful pregnancy outcome and delivery differential iron supplementation programs will be carried out with individual Pregnant women on the basis of pre-Pregnancy 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 $860\∼868$, 2005)

서울시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한강 내 PFOA와 PFOS의 과불화화합물 모니터링 연구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PFOA and PFOS in the Effluent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in Han River)

  • 신미연;임종권;고영림;최경식;조경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4-342
    • /
    • 2009
  •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have a wide range of domestic and industrial applications, but they are persistent in the environment.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sulfonate (PFOS) are among the metabolites of PFCs and occur at high concentration in the environment. Korea is the largest importer of PFC compounds in the world, therefore, the accumulation of these compounds is possible.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PFOS and PFOA were determined in water samples taken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and the Han River in Seoul, Korea. After extraction with a HLB cartridge, PFCs in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HPLC with an ion trap mass spectrometry in electrospray negative mode. Limits of detection was between 1 and 1.6 ng/l.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PFOS and PFOA in effluent and influent of the four STPs in Seoul were 60~570 ng/l, and not detected (nd)~254 ng/l, respectively. The levels of PFOS and PFOA were higher in the effluents which passed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than in influent water samples which was against expectation. The concentration of PFOA and PFOS in the Han River was 60~570 ng/l and nd~254 ng/l, respectively. PFOA was detected in every sample, but PFOS was only detected in the downstreams of the Han Riv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comprehensive contamination of PFCs in the aquatic environment in Korea.

QFP 패키지의 새로운 고주파 등가 회로 모델 (New High-Frequency Equivalent Circuit Model for QFP Package)

  • 김성종;송상헌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4권7호
    • /
    • pp.339-342
    • /
    • 2005
  • We present a new high-frequency equivalent circuit model for 52pin QFP used in typical IC's and extract R, L, and C values of this circuit model using a 3-D E & M field simulator. Futhermore, L and C value variations as a function of Pin number due to the shape differences of the leads have been fitted to 2nd order polynomials in order to extend the applicability of this model.

Projective Change between Two Finsler Spaces with (α, β)- metric

  • Kampalappa, Narasimhamurthy Senajji;Mylarappa, Vasantha Dogehalli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2권1호
    • /
    • pp.81-89
    • /
    • 2012
  • In the present paper, we nd the conditions to characterize projective change between two (${\alpha}$, ${\beta}$)-metrics, such as Matsumoto metric $L=\frac{{\alpha}^2}{{\alpha}-{\beta}}$ and Randers metric $\bar{L}=\bar{\alpha}+\bar{\beta}$ on a manifold with dim $n$ > 2, where ${\alpha}$ and $\bar{\alpha}$ are two Riemannian metrics, ${\beta}$ and $\bar{\beta}$ are two non-zero 1-formas.

강자성 배관의 racetrack 형 결함깊이와 응력이 누설자속에 미치는 영향

  • 유권상;박영태;손대락
    • 한국자기학회:학술대회 개요집
    • /
    • 한국자기학회 2002년도 동계연구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18-119
    • /
    • 2002
  • 실시간으로 매설된 송유관이나 가스관의 내부에 누설자속 (Magnetic Flux Leakage: MFL) 탐지용 피그를 통과시킴으로서 부식을 모니터한다[1]. NdFeB 자석과 같은 강한 영구자석으로 배관을 자화시키면 부식에 의한 결함 근처에서 자속이 누설되고, 그 MFL은 Hall 프로브나 유도코일에 의해 탐지된다. 자기이방성을 이용하여 응력에 의만 누설자속신호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MFL 신호를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측정프로브의 측정속도와 내부압력응력과 같은 운용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2]. (중략)

  • PDF

돼지 5품종에 있어서 mtDNA ND2 유전자의 선택적 개시코돈의 특성과 빈도 (Characteristics and Frequencies of Alternative Initiation Codon(AIC) of mtDNA ND2 in Five Pig Breeds)

  • 한상현;조인철;최유림;이종언;고문석;김재환;서보영;이정규;전진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03-908
    • /
    • 2004
  • 다양한 포유동물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들에서 선택적 개시코돈(AIC)들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돼지 5 품종에서 mtDNA ND2 유전자의 AIC 양상을 분석하였다. 두 종류의 AIC 서열들이 발견되었고, 품종 집단간에서 각기 다른 출현빈도를 보였다. ND2의 methionine codon으로 Large White와 Landrace는 각각 전 개체에서 ATA와 ATT 서열로 확인되었다. 다른 3 품종(Berkshire, Duroc, Hampshire)의 경우는 두 서열이 모두 발생하였으며, 91.9, 21.3, 60.0%의 빈도로 ATA를 보였다. 기존의 연구들에 의하면 중국재래돼지들이 모두 개시코돈 ATA를 갖는다고 보고되어 있다. 미토콘드리아 ND2 단백질의 합성과정에서 AIC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설명할 수 없으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AIC 다형성과 품종특이적인 분포양상은 돼지의 육종에 있어 모계추적을 위한 분자적 표지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염분, 저온 및 가뭄 스트레스 조건에서 벼 ND0001 oscpk11 돌연변이체의 OsCPK11 발현 분석 (Expression Analysis of OsCPK11 by ND0001 oscpk11 Mutants of Oryza sativa L. under Salt, Cold and Drought Stress Conditions)

  • 김현미;김성하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5-125
    • /
    • 2021
  • 칼슘-의존성 단백질 카이네이즈(CDPK)는 식물의 Ca2+ 매개 신호 전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CDPK는 염분, 저온, 가뭄 등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반응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벼의 CDPK는 31개의 유전자로 구성된 거대 다유전자군으로 되어 있지만, 단지 일부 벼의 CDPK 기능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벼에서 OsCPK11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는 염분, 저온 및 가뭄과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벼의 야생형과 ND0001 oscpk11 돌연변이체의 OsCPK11 발현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염분, 저온, 가뭄 스트레스 처치를 위해 유식물을 각각 200 mM NaCl, 4℃, 20% PEG 6,000에 노출시켰다. 야생형과 ND0001 돌연변이체에서 OsCPK11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RT-PCR과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RT-PCR 결과에 의하면, 야생형과 이형접합성 돌연변이체에서는 OsCPK11 전사체가 검출되었지만, 동형접합성 돌연변이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Quantitative real-time PCR 결과에 의하면 야생형에서 염분, 저온, 가뭄 스트레스에 의해 OsCPK11의 상대적인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각각 24시간, 6시간, 24시간 후 최대 수준에 도달하였다. ND0001 동형접합성 돌연변이체의 OsCPK11의 상대적 발현은 야생형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oscpk11 동형접합성 돌연변이체에서는 OsCPK11발현을 완전히 저해하며, OsCPK11유전자 발현 조절이 염분, 저온 및 가뭄 스트레스 신호 전달 과정에 관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동해 울진 바다목장해역의 크기별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Spatio-temporal Fluctuation of Phytoplankton Size Fractionation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UMRA), East Sea of Korea)

  • 윤양호
    • 환경생물
    • /
    • 제34권3호
    • /
    • pp.151-160
    • /
    • 2016
  • 동해 울진 바다목장해역에서 크기별 식물플랑크톤 구성비 및 물질순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는 2008년 4월에서 11월까지 4회 실시하였다. 바다목장해역 표층의 피코플랑크톤은 $0.03{\sim}0.87{\mu}g\;L^{-1}$의 변동 폭으로 연평균 $0.26{\mu}g\;L^{-1}$로 12.9% 구성비를 나타내었고, 나노플랑크톤은 $0.11{\sim}5.60{\mu}g\;L^{-1}$의 범위로 연평균 $1.32{\mu}g\;L^{-1}$로 65.0%, 네트플랑크톤은 nd~$4.68{\mu}g\;L^{-1}$의 범위로 연평균 $0.45{\mu}g\;L^{-1}$로 22.1%를 차지하였다. 10 m 수심도 다소 측정값의 차이는 있지만, 변동양상은 표층과 유사하였다. 시간적으로는 여름 네트플랑크톤 구성비가 30%까지 상승하였지만, 연간 피코 및 나노플랑크톤 구성비가 70% 이상으로 높은 특징을 보였다. 즉 동해 바다목장해역의 물질순환은 계절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담수유입이 원활한 연안해역의 먹이사슬 구조 (bottom-up)보다는 빈영양 환경특성으로 생태계순환에 의한 물질순환 (top-down)에 더욱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