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_2SiO_4$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3초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Geothermal Water in Relation to Its Geological and Geochemical Feature

  • Lee, Chung-Mo;Hamm, Se-Yeong;Lee, Cholwoo;Choi, Sung-Ja;Chung, Sang Yo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2호
    • /
    • pp.25-37
    • /
    • 2014
  • The volcanic type of geothermal water is linked intimately to active or potentially active volcanoes and takes place near the plate boundaries. In contrast to the volcanic type, the geothermal water in Korea has a non-volcanic origin. Korea's geothermal water is classified into the residual magma (RM) type and deep groundwater (DG) type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35^{\circ}C$. This study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nd chemical features of the 281 geothermal water sources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 specific capacity, water temperature,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wo different basements (igneous rock and metamorphic rock) as well as the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geothermal holes and geological faults, the length of the major fault is considered a key parameter determining the movement to a deeper place and the temperature of geothermal water. A neglig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capacity (Q/s) and temperature was found for both the RM type and DG type with the greater specific capacities of the RM- and DG-igneous types than the RM- and DG-metamorphic types. No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Q/s and the chemical constituents ($K^+$, $Na^+$, $Ca^{2+}$, $Mg^{2+}$, $Zn^{2+}$, $Cl^-$, $SO_4{^{2-}}$, $HCO_3{^-}$, and $SiO_2$) in the DG-igneous and DG-metamorphic types. Furthermore, weak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chemical constituents was found for both the RM type and DG type.

대구지역에 분포하는 약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neral Water in Taegu Area.)

  • 김종근;이재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6-65
    • /
    • 1997
  • Chemical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geochemical study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geology on the chemical characferistics of the mineral water in Taegu area. A simple comparision betwee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e mineral water and their bedrocks indicates that the bedrock types in the catchmerit area control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water. However more objective evidences for the mineral water-bedrock relationship come from the statistical analyses(clust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suggest that the bedrock type factor explains the data variation seven times as much as pollution does, which evidently indicates that the bedrock in the study area mainly control the mineral water chemistries. The results of comparision of the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with the mineral weathering reactions and mineral stability diagram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lagioclase weathering to kaolinite provides SiO$_2$ , Ca$^{2+}$ and Na$^+$, and muscovite weathering to kaolinite provides K$^+$, and amphibole and mica minerals weathering to kaolinite provides F to the mineral water. Most of Ca$^{2+}$ and Mg$^{2+}$ in the mineral water are the products of carbonate mineral dissolution. SO$_4^{2-}$ may be the byproduct of sulfide oxidation. 2. The weatering of silicate mineral produces Ca-rich smectite and kaolinite, but Ca-rich smectite is unstable and will be transformed to more stable kaolinite because of the continuous dilution of the mineral water by precipitation. By Hashimoto's Mineral Balance Index, S-10 and S-12 mineral spring water were evaluated tasty and healthy water, S-9 and S-11 mineral spring water were evaluated tasty water and S-7, S-8 and S-13 mineral spring water were evaluated healthy water.

  • PDF

구운동 폐광산 하류 논토양의 토심별 중금속함량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Heavy Metal in Paddy Soils of Below Part at Guundong Mine in Milyang, Korea)

  • 윤을수;박성학;고지연;정기열;박기도;황재복;박창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90-595
    • /
    • 2010
  • 토양오염 방지사업에 의해 복원이 완료된 지역인 밀양시 구운동광산의 오염원인 잔존 광미 퇴적지의 광미와 주변 농경지에 대한 오염형태를 조사하여 환경 복원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 대상지는 경남 밀양시 무안면 마흘리 구운동 광산 주변 수계 및 토양으로 조사지의 지질은 신라통 안산암질이며 광산의 광상은 함유 황광으로 주 채굴금속은 금, 은, 동, 납, 아연이었으며, 잔존 광미 퇴적지의 광미와 주변 농경지의 중금속을 분석하였다. 광구 직하류 휴경논 표토 (0-16 cm)의 화학성은 pH는 4.3-4.4내외, 치환성석회 및 고토함량은 각각 0.2 및 0.04 $cmol_c\;kg^{-1}$ 인 반면 토심이 깊어질수록 높아졌다. 광구수 및 광미 적치장 유출수의 직접 영향은 받는 최상류 퇴적토양(SI)의 0.1N HCl 가용성 Cu, Cd, Pb, Cr 및 Ni의 함량은 각각 97, 0.6, 197, 0.28 및 0.12 mg $kg^{-1}$이었고, 최하류 논 (SIII)의 경우 Cu 25, Cd 2.8, Pb 16.7, Cr 0.17 및 Ni 0.44 mg $kg^{-1}$이었다. 휴경지 논 토양 토심별 중금속 함량은 Cr, Pb, Cu는 토심 16 cm 상부에서, Cd, Ni는 토심 16-60 cm 부위에서 높은 분포특성을 보였다.

자소(紫蘇)의 산지별(産地別) 화학조성(化學組成) -제일보(弟一報) 지질(脂質)의 특성(特性) 및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Chemical Composition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of Korea -Part 1. Characteristics of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 박호식;김정기;조무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4호
    • /
    • pp.224-229
    • /
    • 1981
  • 한약재(韓藥材)로서 널리 이용(利用)되고 있는 자소(紫蘇)(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를 지역별(地域別)(광주(廣州), 대구(大郎), 제주(濟州))로 배양(培養) 하여 얻은 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性分), 무기성분(無機成分) 및 지방(脂肪)의 여러가지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자소종실(紫蘇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15%정도로서 산지별(産地別)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조지방(粗脂肪)은 28(제주(濟州))${\sim}$34%(대구(大邱)), 탄소화물(炭水化物)은 40(대구(犬邱))${\sim}$44%(제주(濟州))로서 산지별(産地別)로 상당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2. 무기성분(無機成分)의 함량(含量)은 $K(426{\sim}446mg%)$, $SiO_2(197{\sim}229m%)$, $Ca(124{\sim}136mg%)$가 비교적 많고 P, Mg, Zn, Mn, Fe 등(等)은 $30{\sim}56mg%$로서 서로 비슷한 함량(含量)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無機成分)중 Fe 및 Mn의 함량(含量) 산지별(産地別)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무기성분(無機成分)은 산지별(産地別)로 별차이가 없었다. 3. 자소유지(紫蘇油脂)의 염화가는 $194{\sim}199$, 요오드가(價)는 $196{\sim}200$, 산가(酸價)는 $4{\sim}5$로서 산지별(産地別)로는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다른 식물유(植物油)에 비하여 요오드가(價)가 현저하게 높았다. 4. 자소유지(紫蘇油脂의) 조성(組成)으로서 triglyreride가 전체(全體)의 $92{\sim}95%$, 불염화물이 $1.7{\sim}1.9%$, phospholi-pid가 $1.2{\sim}1.3%$, free fatty acid가 $0.7{\sim}0.9%$, free sterol이 $1.1{\sim}1.4$이며 sterol이 주구성분(主構成分)으로 되여 있는 불염화물의 함량(含量) 및 phospholipid의 함량비(含量比)가 다른 식물유지(植物油脂)에 비하여 상당치 높았다. 5. 전체지방조성(全體脂肪組成)으로서 불포화지방산함량(不飽和脂肪酸含量)이 현저히 많으며 그중에서도 linolenic acid가 전체(全體)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각지방(各脂肪) fraction별(別)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phospholipid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이 triglyceride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에 비(比)하여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인 palmitate의 함량(含星)이 현저히 높았고 sterylglycoside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이 sterylester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에 비(比)하여 불포화지방산함유비율(不飽和脂肪酸含有比率)이 매우 높았다. 산지별(産地別)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차이(差異)를 보면 total fatty acid 조성(組成)에는 큰차이가 없었으나 phospholipid 구성지방산조성(構成脂肪酸組成)에는 큰 차이가 있어 광주산(廣州産)의 경우 palmitate의 함량비(含量比)가 24%인데 비하여 대구산(大邱産)은 11.8%로서 2배(倍)이상의 차이(差異)를 보여 주었다.

  • PDF

들깨 잎 추출물에서 분리한 Isoegomaketone(IK)의 항 비만 효능 (Anti-Obesity Effect of Isoegomaketone Isolated from Perilla frutescens (L.) Britt. cv. Leaves)

  • 소양강;조윤호;남보미;이승영;김진백;강시용;정혜광;진창현
    • 생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83-288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besity effect of isoegomaketone (IK) isolated from leaves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 cv. We verified differentiation and lipid accumulation by Oil Red O staining in 3T3-L1 cells after IK treatment with differentiation media. IK inhibited mRNA expression of adipocyte specific genes that were related with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We confirmed the effects of IK on body weight and visceral fat mass in obese mic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diet group (ND), high-fat diet group (HFD) and high-fat diet with IK group (HFD-IK). The obesity mice were induced by feeding the 45% high-fat diet to the C57BL/6J mice during 4 weeks. After HFD-IK was orally administered 10 mg/kg of IK. As a result, the body weight of HFD and HFD-IK was increased 2.4 times and 1.7 times of ND, respectively. Also visceral fat mass of HFD was increased 24 times but in the case of HFD-IK was increased to 13 times in comparison with ND.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IK reduced differentiation and adiogenesis in 3T3-L1 cells, decreased the body weight and visceral fat mass in obesity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K may have a potential benefit as anti-obesity material.

장군 연-아연 광상의 모암변질대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의 산상 및 화학조성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hite Mica from Wallrock Alteration Zone of Janggun Pb-Zn Deposit)

  • 유봉철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4호
    • /
    • pp.469-484
    • /
    • 2022
  • 장군 연-아연 광상은 남한의 4대(연화 광상, 신예미 광상, 울진 광상) 연-아연 광상중의 하나이었다. 이 광상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원남층, 율리층군, 캠브리안기내지 오도비스기의 장산규암층, 두음리층, 장군 석회암층, 석탄기내지 이엽기의 동수곡층, 재산층, 쥐라기의 동화지층 및 이들을 관입한 중생대의 춘양화강암류로 구성된다. 이 연-아연 광상은 고생대 캠브리안기내지 오도비스기의 장군석회암층에 배태되는 열수교대형 광상에 해당된다. 이 광상의 연-아연 광화작용과 관련된 모암변질작용은 주로 능망간석화작용과 돌로마이트화 작용이 관찰되나 황철석화작용, 견운모화작용 및 녹니석화작용 등도 관찰된다. 모암변질작용은 연-아연 광체 에서 모암으로 감에 따라 연-아연 광체 -> 능망간석대 -> 돌로마이트대 -> 돌로마이트질 석회암대 -> 석회암 및 돌로마이트 대리암 변화된다. 백색운모는 모암변질대(능망간석화작용과 돌로마이트화작용)에서 Ca-돌로마이트, Ferroan ankerite, sideroplesite, 금홍석, 인회석, 유비철석, 황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석영, 녹니석 및 방해석 등과 함께 중립내지 세립질 입단으로 산출된다. 이 백색운모의 화학조성은(K0.77-0.62Na0.03-0.00Ca0.03-0.00Ba0.00Sr0.01)0.82-0.64(Al1.72-1.48Mg0.48-0.20Fe0.04-0.01Mn0.03-0.00Ti0.01-0.00Cr0.00As0.01-0.00Co0.03-0.00Zn0.03-0.00Pb0.05-0.00Ni0.01-0.00)2.07-1.92 (Si3.43-3.33Al0.67-0.57)4.00O10(OH1.94-1.80F0.20-0.06)2.00로써 이론적인 이중팔면체형 운모류 값보다 Si가 높고 K, Na, Ca는 낮다. 또한 장군 연-아연 광상, 연화1 연-아연 광상 및 백전 금-은 광상의 모암변질대와 구문소일대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는 백운모와 팬자이트에 해당되나 둔전 금-은 광상의 모암변질대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는 백운모에 해당된다. 더불어 이들 광상의 모암변질대 및 구문소일대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의 화학조성 변화는 주로 팬자이틱 또는 Tschermark 치환 메카니즘(장군 연-아연 광상), 주로 팬자이틱 또는 Tschermark 치환과 일부 illitic 치환 메카니즘(연화1 연-아연 광상, 둔전 금-은 광상, 백전 금-은 광상) 및 주로 팬자이틱 또는 Tschermark 치환과 일부 illitic 치환 및 Na+ <-> K+ 치환 메카니즘(구문소일대)에 의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묘대(苗垈)에서 용성인비(熔成燐肥)와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효과 (Fused Phosphate and Slag as a Fertilizer in Nursery of Rice)

  • 황영수;류인수;오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5-200
    • /
    • 1982
  • 건묘육성(健苗育成)을 위(爲)하여 밀양(密陽)23호와 아끼바레 두 품종(品種)으로 묘대(苗垈)에서 용성인비(熔成燐肥)와 규산질(珪酸質) 비료시용(肥料施用)이 묘(苗)의 건물중(乾物重),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 묘생육등(苗生育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비교검토(比較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최대(最大) 건물중(乾物重)은 품종간(品種間) 비료반응(肥料反應)이 약간씩 달라 용성인비(熔成燐肥) 75~150kg/10a,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100~200kg/10a시용구(施用區)에서 얻었다. 2. 건묘(健苗)의 엽근비(葉根比)는 1이 적당하였으며 용성인비(熔成燐肥)에서는 75kg/10a, 규산질(珪酸質) 비료구(肥料區)에서는 200kg/10a수준(水準)이었다. 3. 용인(熔燐)75kg/10a수준(水準)의 식물분중 무기성분(無機成分)인 N $P_2O_5$, $SiO_2$, Ca, Mg의 함량(含量)은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200kg/10a수준(水準)과 비슷하였다. 4. 규산(珪酸)의 흡수이용율은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규산(珪酸)보다 용성인비중(熔成燐肥中) 규산(珪酸)이 더 높았다. 5. 묘대기간중(苗垈期間中) pH 상승(上昇)(7.0이상(以上))은 묘(苗)의 생육지연(生育遲延)을 초래(招來)하였으며 용성인비(熔成燐肥) 225kg/10a 이상(以上)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400kg/10a 이상(以上) 시용시(施用時) 생육장해(生育障害)를 보였다.

  • PDF

우분 성형 고형연료의 열 및 물리화학적 특성 (Therm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lid Fuel Extruded with Cattle Feedlot Manure)

  • 이귀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1호
    • /
    • pp.64-68
    • /
    • 2010
  • Cattle feedlot manure could be used effectively as the solid fuel for heating of agricultural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herm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lid fuel extruded with cattle feedlot manure. Calorific values of the solid fuel extruded with cattle feedlot manure, which was dried to the moisture contents of 0.0% (w.b) and 35.0% (w.b,) were 14,906 kJ/kg and 11,797 kJ/kg, respectively. Calorific value of extruded solid fuel was linear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action point during thermal pyrolysis of solid fuels extruded with cattle feedlot manure was investigated as $108.1^{\circ}C$, $312.2^{\circ}C$, and $459.4^{\circ}C$, respectively. The maximum reaction point was presented at the temperature of $312.2^{\circ}C$. Weight loss of extruded cattle feedlot manure during thermal pyrolysis until $600^{\circ}C$ was reached to about 60%. Volume decrease of initial extruded cattle feedlot manure was 61% during drying for the use as solid fuel. Maximum strength of extruded cattle feedlot manure, which was dried as the moisture content of 10% (w.b.) was 41,9150 N/$m^2$. Ignition gas analysis of extruded cattle feedlot manure presented that it has small amount of $NO_x$ and $SO_x$. It was shown that dried cattle feedlot manure had main components of C and O including small amount of Mg, Si, and Ca.

Effects of Dried Days on Properties of Seawater and Freshwater Flooded CSPE in NPPs

  • Jeon, Hwang-Hyun;Lee, Jeong-U;Jeon, Jun-Soo;Lee, Seung-Hoon;Shin, Yong-Deok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162-1168
    • /
    • 2015
  • Accelerated thermal aging of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CSPE) was performed for 0 days, 80.82 days, and 161.63 days at 100℃, which is equivalent to 0 y, 40 y, and 80 y of aging, respectively, at 50℃. After freshwater flooding, the volume electrical resistivity of CSPE was highest after 180 days of drying, and its insulating property recovered when dried for more than 300 days.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CSPE was not measured after seawater flooding.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accelerated thermally aged CSPE was higher after freshwater flooding than that before seawater flooding. The bright, open pores of CSPE were converted into dark, closed pores after seawater flooding, and the dark, closed pores of the accelerated thermally aged CSPE samples were partly converted into bright, open pores after freshwater flooding. The apparent density of CSPE increased slightly whereas its elongation at break (EAB) decreased until 80 y of accelerated thermal aging before seawater flooding. The peak binding energies of oxygen in the non-accelerated and accelerated thermally aged CSPE for 40 y and 80 y were shifted by more than 1.0 eV after seawater and freshwater flooding. The CH2 content in the non-accelerated and accelerated thermally aged CSPE for 40 y and 80 y after seawater flooding for 5 days was lower than that before seawater flooding whereas atoms such as Cl, O, Pb, Al, Si, Sb, and S that are related to conducting ions such as Na+, Cl-, Mg2+, SO4 2-, and K+ were relatively increased.

유화제로서 실리카를 이용한 유중수형 에멀젼의 안정성에 미치는 수상부 조성의 영향 (Effect of Aqueous Phase Composition on the Stability of a Silica-stabilized Water-in-oil Emulsion)

  • 김진황;김송이;경기열;이은주;윤명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53-359
    • /
    • 2004
  • 실리카 입자의 표면이 실란올(silanol, SiOH)그룹과 트리메틸실록실$(trimethylsiloxyl,{\;}-OSi(CH_3)_3)$그룹으로 이루어진 양친 매성 고체입자를 이용하여 유중수형(water-in-oil, W/O)의 에멀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안정한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서 수상에서의 pH, 전해질 화합물, 고분자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에멀젼의 안정성은 실리카의 응집(flocculation)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수상의 pH 조절 및 전해질 화합물 첨가를 통해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70\%$의 내상을 가지는 W/O 에멀젼을 제조하였을 때, 실리카 입자의 함량이 $1\%$까지 증가함에 따라 에멀젼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으나, 너무 높은 농도의 실리카는 오히려 유상의 점도를 상승시켜 작은 유화입자의 형성을 방해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해 볼 때, 많은 양의 실리카 입자가 외상인 유상에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카 입자를 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내상인 수상부에 전해질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상의 pH가 증가할수록 실리카 입자의 (-)전하가 증가하여 입자간 응집 촉진에 의해 에멀젼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산성 및 중성 pH에서 전해질 $화합물(0.083\;mol\;dm^{-3}\;MgSO_4)$의 첨가는 에멀전의 안정성을 증가시킨 반면, 알칼리성 pH에서 전해질 화합물의 첨가는 에멀젼의 안정성을 저하시켰다.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에멀젼의 물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전해질 화합물 첨가시 내상인 수상의 pH에 관계없이 산성 및 알칼리성에서 모두 에멀젼의 탄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수상의 pH가 알칼리성인 경우 더욱 현저하였음을 볼 때, 알칼리에 의해 더욱 음전하를 띄게 된 실리카 입자와 전해질 화합물의 양이온간의 전기적 결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수용성 고분자인 잔탄검의 첨가에 의해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약 2.8 um인 안정한 에멀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고내상의 안정한 W/O 에멀젼을 제조하여 보다 피부에 안전한 유화물의 제조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