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H-{\beta}$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4초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Mulberry (Morus spp.) Cake

  • Shin, Young-Woong;Lee, Seong-Kwon;Kwon, Yun-Ju;Rhee, Soon-Jae;Choi,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4호
    • /
    • pp.326-332
    • /
    • 2005
  • A methanol extract of mulberry cake prepared from mulberry fruits (Morus spp.) was shown to have strong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Eleven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mulberry cake by a combination of Diaion HP-20, silica gel (or polyamide),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preparative HPLC and TLC.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as procatechuic acid (PCA), caffeic acid (CA), cyanidin 3-O-$\beta$-D-glucopyranoside (CyG) and cyanidin $3-O-\beta­D-rutinoside$ (CyR), rutin (RT), isoquercitrin (IQT), astragalin (AG), quercetin (QT), morin (MR), di-hydroquercetin (DHQ), and 4-prenylmoracin (PM) by spectral analysis and the published data. Most of the phenolic constituents were effective scavengers of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and especially caffeic acid and 4-prenylmoracin showed potent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which their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well-known antioxidant, BHT (p< 0.05). Dehydroquercetin and quercetin also exhibited strong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berry cake containing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may be useful as natural antioxidants in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모과나무 줄기의 화학성분 (Phytochemical Constituents Isolated from the Stems of Chaenomeles sinensis Koehne)

  • 신지은;김청룡;김홍광;우은란
    • 생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3-228
    • /
    • 2011
  • Chaenomeles sinensis Koehne (Rosaceae) is a deciduous tree and is distributed in China, Korea and Japan. In previous studies on the fruits of C. sinensis, some triterpenoid compouds such as oleanolic acid, tormentic acid were reported. In an ongoing investigation into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the methanol extract of the stems of C. sinensis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the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using silica gel, Sephadex LH-20, LiChroprep RP-18, betulin (1), tormentic acid (2), 1-${\beta}$-D-glucopyranosyl-3,4,5-trimethoxybenzene (3), lyoniresinol-2a-O-${\alpha}$-L-rhamnopyranoside (4) were isolated. The 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1-4 were determined by the ba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pectroscopic methods such as 1D and 2D NMR. For the isolated compounds (1-4), the inhibitory activity of IL-6 production in TNF-${\alpha}$ stimulated MG-63 cell was examined. Among the isolates, betulin (1), 1-${\beta}$-D-glucopyranosyl-3,4,5-trimethoxybenzene (3), lyoniresinol-2a-O-${\alpha}$-L-rhamnopyranoside (4)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IL-6 production in TNF-${\alpha}$ stimulated MG-63 cell.

큰도둑놈의갈고리 지상부의 DPPH Free Radical 소거효과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 Aerial Parts of Desmodium oldhami)

  • 양석원;박새롬;안달래;양재헌;조종현;황용훈;박종한;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0-184
    • /
    • 2010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esmodium oldhami (Leguminosa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The methanolic extract of D. oldhami showed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Five compounds, kaempferol-3-O-rhamnopyranoside (afzeline) (1),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rutin) (2), kaempferol-3-O-glucopyranoside (astragalin) (3), genistein-7-O-$\beta$-D-glucopyranoside (genistin) (4), kaempferol-3-O-rutinoside (5) were isolated from the activ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D. oldhami through repeated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mong them, compound 2 showed the most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 o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test. Compounds 1-5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미성숙 암컷 흰쥐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상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Vinclozolin 투여 효과 (Effect of Vinclozolin Administration on the Gene Expressions in Hypothalamus-Pituitary Axis of Immature Female Rats)

  • 이우철;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97-105
    • /
    • 2008
  • Vinclozolin (VCZ)은 침투성 살균제로써 과일, 채소, 와인산업에 널리 사용된다. VCZ와 그것의 대사산물들인 butenoic acid (M1)과 enanilide (M2)는 안드로겐 수용체를 놓고 항 안드로겐 물질로 작용한다. VCZ가 수컷의 생식생리와 병리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EDC)로 작용함에 대한 증거는 많이 있지만, 암컷 생식생리에 미치는 VCZ의 효과에 대한 증거는 전무하다. 본 연구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VCZ가 미성숙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를 유의하게 지연시킴을 보고한 바 있는데, 이는 VCZ에 의해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hypothalamus-pituitary-ovary, H-P-O) 생식 호르몬 축의 활성이 지연되거나 약화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암컷 흰쥐들의 VCZ 투여가 암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생식 호르몬 관련 유전자들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VCZ (10 mg/kg/day)를 생후 21일부터 첫 번째 질구개방이 관찰되는 날까지 매일 복강주사하였다.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적인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고 반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RT-PCR)을 실시하였다. VCZ 투여군에서 시상하부의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의 분비를 조절함이 알려진 nitric oxide synthase-2 (NOS-2)의 전사활성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유사하게, VCZ 투여군의 시상하부에서의 KiSS-1, G protein-coupled receptor54 (GPR54) 그리고 GnRH mRNA 수준도 감소하였다(p<0.01). 예상대로, VCZ 투여군의 뇌하수체 luteinizing hormone-${\beta}$ (LH-${\beta}$)과 follicle stimulating hormone-${\beta}$ (FSH-${\beta}$) 전사활성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이번 연구를 통해 미성숙 암컷 흰쥐의 VCZ 노출시 사춘기 개시의 지연효과는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축의 GnRH와 KiSS-1같은 성선자극호르몬들과 그들의 상위조절인자들의 전사 활성의 감소에 의해 야기되고, 아마도 nitric oxide (NO) 신호전달경로에 의해 조절됨을 시사한다.

  • PDF

말의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의 분비와 기능 (On the Secretion and Functions of Equine Chorionic Gonadotropin)

  • Min, K.S.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5-142
    • /
    • 2000
  • 임신초기 말의 태반으로부터 분비되는 융모성성선자극 호르몬 (eCG)은 황체형성 (LH), 난포자극 (FSH) 및 갑상선자극 (TSH) 호르몬과 같이 알파 및 베타 단체의 비공유결합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당단백질 호르몬이다. 알파단체의 아미노산 배열은 동물종내에서 동일하지만, 베타단체는 호르몬에 따라 작용의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말의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은 모체의 자궁내막에 침입한 태아 유래의 융모조직 (자궁내막배)에서 합성ㆍ분비되어진다. eCG 는 당단백칠 호르몬중 탄수화물 함량이 40% 이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알파단체는 두 개의 N-linked 당쇄첨가 부위 (아미노산 56 및 82번), 베타단체는 13번에 1개의 N -linked 당쇄첨가 부위와 카르복실기 말단부위에 적어도 11개의 O-linked 당쇄첨가 부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eCG 는 다른 동물에 있어서 강력한 난포자극 및 황체형성 호르몬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특이한 호르몬이다. 말의 태반과 뇌하수체 조직으로부터 eCG $\alpha$$\beta$ 단체와 eFSH $\beta$ 단체의 cDNA를 cloning 하였으며, 각 단체의 mRNA 발현은 태반과 뇌하수체에서 독립적으로 조절되어진다. 따라서, eCG 의 기능 및 수용체에 대한 호르몬의 특이한 작용을 분자생물학, 생화학적인 측면에서 연구하는데 아주 흥미로운 호르몬이다. 왜 eCG 가 이러한 이중활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지만, 지금까지의 eCG 연구를 종합하면, eCG 의 알파 및 베타 단체 의 cDNA 의 유전자 구조 (알파단체는 96개 아미노산 ; 베타단체는 149개아미노산) 가 밝혀짐으로서 각각의 당쇄첨가 부위에 대한 기능연구에 박차를 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Site-directed mutagenesis 를 활용 어느 특정부위의 당쇄 수식이 없는 유전자 재조합 eCG 에 대한 연구로 이들 당단백질 호르몬에 대한 생물학적 특성에 대해서 확실하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하고, 이러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eCG 에 있어서 지금까지 의문으로 남아있는 난포자극 및 황체형성의 이중활성에 대한 당쇄의 기능이 완전히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 eCG 의 황체형성에 대한 당쇄의 기능은 본 연구팀에 의해 알파단체의 56 번 N-linked 당쇄첨가 부위가 필수불가결하다는 결과를 얻었지만, 앞으로 난포자극 활성에 미치는 당쇄의 중요성에 관해서는 현재 연구 중에 있다.

  • PDF

Bacillus sp. YJ-63이 생산하는 항곰팡이성 항생물질의 단리

  • 신영준;정명주;정영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09-511
    • /
    • 2000
  • An antifungal antibiotic was produced from Bacillus sp. YJ-63, and antibiotic was purified to a homogeneity by butanol extraction,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gel filtration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 purified antibiotic showed one spot on Thin Layer Chromatography, which was negative to ninhydrin and positive to iodine. This finding indicated that the antibiotic was a cyclopeptide structure. UV absorption spectrum of the antibiotic in methanol was maximal at 277 nm, which corresponded to the spectrum for all of the Iturin antibiotic. The antibiotic was stable up to $121^{cdot}C$ and in the range of pH $3.O{\sim}l2.0$ with a stable of ${\alpha}-amino$ acid and ${beta}-amino$ acid, and showed high activity for fungi and yeasts,

  • PDF

축합(縮合)탄닌의 래디칼 설폰화(化) (Radical Sulfonation of Condensed Tannins)

  • 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69-76
    • /
    • 1990
  • $^1H$$^{13}C$ 핵자기(核磁氣) 공오(共嗚) 분광기(分光器), 적외선(赤外線) 흡광(吸光) 분광기(分光器)와 질량분석기(質量分析器)를 이용(利用)하여 설폰화(化) 반응(反應)의 한 반응물(反應物)이 단리(單離)되어 구조적(構造的)으로 규명(糾明)되었다. 그 화합물(化合物)은 에탄올 및 에탄올 수용액(水溶液)을 용매(容媒)로 사용(使用)하여 Sephadex LH-20상(上)에서의 반복적(反復的)인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 및 정제(精製)되었다. 규명된 화합물은 이전에 보고(報告)된 바 없는 새로운 구조의 disodium epicatechin-(4${\beta}$, 5')-disulfonate였다. 이 화합물은 온화(溫和)한 설폰화(化) 조건하(條件下)에서 최초(最初)의 친전자(親電子) 치환(置換)의 예(例)로서 catechol B 환구조(環構造)가 quinone methide 중간물(中間物)을 생성(生成)하는 한 반응기구(反應機構)가 제시(提示)되었다.

  • PDF

애기땅빈대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whole plants of Euphorbia supina Rafin)

  • 안인파;권지웅;권태오;정완태;이혜숙;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38권3호통권150호
    • /
    • pp.291-295
    • /
    • 2007
  • Eight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s of Euphorbia supina (Euphorbiaceae) through repeated silica gel, YMC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7-hydroxy-6-methoxycoumarin (scopoletin) (1), p-hydroxybenzaldehyde (2), methyl gallate (3), gallic acid (4), quercetin (5), quercetin $3-O-{\alpha}-L-arabinofuranoside$ (avicularin) (6), kaempferol $3-O-{\alpha}-L-arabinofuranoside$ (juglanin) (7) and kaempferol $3-O-{\beta}-D-glucopyranoside$ (astragaline) (8) by spectroscopic (NMR and MS) analysis.

주목 잎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 (Flavonoid Glycosides from Needles of Taxus cuspidata(Taxaceae))

  • 함연호;박완근;한상섭;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45-51
    • /
    • 1997
  • 주목 잎을 채취하여 건조하고 아세톤-물 (7 : 3, v/v) 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 부분으로 분리하고 Sephadex-LH 20으로 충진한 칼럼을 이용하여 2개의 flavan 단량체와 2개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를 단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용성 추출물은 대부분 (+)-catechin 과 (-)-epicatechin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수용성 부분에서는 quercetin-3-0-arabi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side와 quercetin-3-O-rutinoside 인 두 개의 탄수화물로 구성된 배당체를 분리하였으며 주목에서는 이들 화합물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들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1H$-NMR과 $^{13}C$-NMR 스펙트럼을 기존의 스펙트럼과 비교, 분석하여 정확한 구조를 규명하였다.

  • PDF

A Gallotannin from Cercidiphyllum japonicum Leaves

  • Lee, Tae-Seong;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5호
    • /
    • pp.558-565
    • /
    • 2015
  • Katsura tree (Cercidiphyllum japonicum Sieb. Et Zucc) leaves were collected, air-dried and extracted with 70% aqueous acetone, then concentrated and sequentially fractionated using n-hexane, methylene chloride ($CH_2Cl_2$), ethylacetate (EtOAc), and $H_2O$. The EtOAc fraction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with various aqueous MeOH eluting solvents and finally treated with acetone-$H_2O$ (7:3, v/v) to isolate a gallotannin. According to the NMR analysis, including HSQC and HMBC, and with the comparison of authentic literature data, the isolate was elucidated as 6-m-digalloyl-1,2,3,4-tetra-O-galloyl ${\beta}$-D-(+)-glucose, one of hydrolyzable tannins and one of gallotannins. The compound was only gallotannin which was firstly isolated from the extracts of Katsura tree leaves, and has not been reported before in domestic tree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