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H_2PO_4$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초

당근, 상추, 양파 및 파 종자 발아촉진을 위한 Priming 약제 종류와 농도에 따른 효과 (Germination of Carrot, Lettuce, Onion, and Welsh Onion Seeds as Affected by Priming Chemicals at Various Concentrations)

  • 정연옥;강성모;조정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2호
    • /
    • pp.93-97
    • /
    • 2000
  • 당근, 상추, 양파 및 파종자 발아촉진을 위한 priming 처리 시 약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고자 $KNO_3$, $KH_2PO_4$, $K_3PO_4$, NaOH 및 $Ca(NO_3)_2$는 3수준, PEG 8000은 4수준으로 농도를 달리하였으며, 처리 후 발아율, T50 및 평균발아소요일수(MDG)를 무처리 및 수침처리와 비교하였다. 당근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에 비하여 PEG, $Ca(NO_3)_2$, $KH_2PO_4$ 처리는 유의차가 없었고 T50 및 MDG는 처리약제 모두 단축효과가 있었지만 -0.50 MPa PEG 처리 시 가장 효과적이었다. 상추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에 비하여 유의차가 없었으며, T50은 모든 처리약제에서 단축효과가 있었지만 수침처리와는 차이가 없었고 MDG는 50mM $K_3PO_4$ 및 200mM $KH_2PO_4$에서 단축효과가 있었다. 양파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보다 감소되었으며, T50과 MDG는 200mM $KH_2PO_4$가 무처리에 비하여 단축효과가 있었다. 파 종자의 발아율은 무처리에 비하여 낮았으며, T50 및 MDG는 $KH_2PO_4$$Ca(NO_3)_2$에서 단축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사상균의 단백질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제1보) Rhizopus japonicus S-62에 의한 산성 생산 및 내열성시험 (Studies on the Proteolytic Enzyme of Mold (Part I) Production and Heat Resistance of Acid Protease by Rhizopus japonicus S-62)

  • 정만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53-158
    • /
    • 1977
  • Rhizopus japonicus S-62에 의한 acid protease의 생산조건 및 효소의 내열성을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산성 protease의 생산에 있어 wheat bran medium에 관한 sucrose, yeast, ammonium chloride, sodium phosphate monobasic의 최적 첨가 농도는 각각 0.5%, 2.0%, 0.4%이었다. 2) 내열제로서KH$_2$PO$_4$와 NaH$_2$PO$_4$는 가장 효과적이었다. 3) 효소액에 KH$_2$PO$_4$와 NaH$_2$PO$_4$를 각각 2%씩 첨가하고 5$0^{\circ}C$에서 10분간 가열처리하였을 때 잔존청성은 다 같이 100%를 나타내었다. 4. 55$^{\circ}C$이상에서는 KH$_2$PO$_4$와 NaH$_2$PO$_4$의 과열변과는 거의 없었다.

  • PDF

당근 종자 발아 촉진에 관한 연구 (3) 당근 종자의 발아에 있어서 몇가지 무기염류의 영향 (Studies on the Acceleration of Germination in Carrot Seed (3) Effect of some Inorganic Compounds on the Germination of Carrot Seed)

  • 권오용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2호
    • /
    • pp.1-6
    • /
    • 1971
  • When germination beds of carrot seeds were treated with either 0.01M or 0.05M concentrations of Ca(NO3)2, CaSO4, MgSO4, K2SO4 and KH2PO4, an acceleration in the germination rate was observ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0.01M KH2PO4 and 0.05M MgSO4 and 0.05M Ca(NO2)3. In earlier work by the author with acetone a similar result was observed and reported. The pH range in these experiments was maintained between 5.0 and 6.0. It was found that the groups treated with 0.05M K2SO4, 0.05M Ca(NO3)2, 0.05M Ca(NO3)2, 0.05M MgSO4, 0.01M KH2PO4, 0.01M Ca(NO3)2 germinated earli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acceleration of the germintion rate varied with the inorganic compounds used in the following descending order; 0.01M KH2PO4, 0.05M Ca(NO3)2, 0.05M K2SO4, 0.05M CaSO4 and 0.05M KH2PO4. As a result of these expriments, it occurs to the author that in the germination of carrot seeds some inorganic compounds appear to activate the osmotic function of carrot seeds causing acceleration in the germination rate.

  • PDF

KH2PO4-aided soil washing for removing arsenic from water-stable soil aggregates collected in southern China

  • Zhao, Ranran;Li, Xiaojun;Zhang, Zhiguo;Zhao, Guanghui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304-310
    • /
    • 2016
  • Removal of arsenic (As) from soil aggregates with particle sizes of > 2.0, 2.0-0.25, 0.25-0.053, < 0.053 mm by soil washing of $KH_2PO_4$ and the kinetics of As releasing from soil aggregates were investigated. Effects of $KH_2PO_4$ concentration, ratio of liquid/soil and washing duration on the removal were fully explo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As removal was obtained in > 2 mm aggregates (48.56%) and < 0.053 mm aggregates (42.88%) under the optimum condition ($KH_2PO_4$ concentration of 0.1 mol/L, and liquid/soil ratio (10 mL/g) for 360 min). 62.82% of As was extracted from aggregates with size less than 0.25 mm. Only 11.88% was contributed by the large aggregates (> 2.0mm). Using $KH_2PO_4$ washing, it was also found that extracted As is mainly in form of either specifically sorbed As or As associated with oxides of Fe and Al. Elovich model can describe the removal process of As more precisely than Two-constant kinetic models. The optimum washing conditions and removal process is also applied to bulk soil. This technique in this study is reliable, cost-effective and offers a great potential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soil remediation.

표면처리반응에 의한 용해속도조절용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의 제조 (Preparation o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with Controlled Solubility Rate by Surface Treatment Reaction)

  • 이무진;신영조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81-585
    • /
    • 1999
  • 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류의 일종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스(HPMC)에 40 wt % glyoxal 용액과 $KH_2PO_4$를 혼합, 용해시키고, HPMC의 표면에 분사, 반응시켜 알카리용액에서도 녹는 시간(용해속도)을 조절할 수 있는 표면처리된 HPMC를 제조하였고, 두 물질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용해특성을 규명하였다. 순수한 HPMC류의 표면을 가교제인 glyoxal로 처리하면 중성의 용액에서는 분산을 일으키고, 용액을 알카리화 함으로써 즉시 용해되어 점성을 나타내나, 소량의 안산염을 동시에 첨가 반응시킨 미세분말상태의 HPMC는 용액의 액성에 관계없이 분산이 되고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급속히 용해되어 점성을 나타내게 되는 성질을 알 수 있었다. Glyoxal과 $KH_2PO_4$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용해지연시간이 길게 되었고, 반응은 $75{\sim}85^{\circ}C$에서 60분의 반응조건이 적당하였다. 특시 glyoxal과 $KH_2PO_4$처리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수용액 상태로 반응시킴으로써 반응후 유기용매의 제거공정이 필요 없게 되었고, 또한 HPMC의 반응 치환도를 변화함으로써 수용액뿐 아니라 유기용제에서도 용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HPMC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Molecular Dynamics in Paraelectric Phase of KH2PO4 Crystals Studied by Single Crystal NMR and MAS NMR

  • Paik, Younkee;Chang, Celesta L.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9-23
    • /
    • 2013
  • The temperature dependences of the NMR spectrum and the spin-lattice relaxation times in $KH_2PO_4$ were investigated via single-crystal NMR and MAS NMR. The stretched-exponential relaxation that occurred because of the distribution of correlation times was indicative of the degree of the distribution of the double-well potential on the hydrogen bond. The behaviors responsible for the strong temperature dependences of the $^1H$ and $^{31}P$ spin-lattice relaxation times in the rotating frame $T_{1{\rho}}$ in $KH_2PO_4$ are likely related to the reorientational motion of the hydrogen-bond geometry and the $PO_4$ tetrahedral distortion.

샐비아(Salvia splendens F.) 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한 Priming 조건에 관한 연구 (Priming Conditions to Improve Germination of Salvia (Salvia splendens F.) Seeds)

  • 정연옥;강성모;조정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2호
    • /
    • pp.98-102
    • /
    • 2000
  • 샐비아 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하여 priming 약제의 종류와 농도, priming시 처리온도와 처리기간, 그리고 priming후 발아온도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였다. 샐비아 종자는 50mM 혹은 100mM $KH_2PO_4$와 -0.50MPa 혹은 -0.75MPa PEG 8000에서 priming 하였을 때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T50과 평균발아소요일수(MDG)는 50mM $KH_2PO_4$와 -0.50MPa PEG 처리 시 단축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 초기발아율에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K_3PO_4$ 및 NaOH 처리에서는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처리온도에 따라서는 $15^{\circ}C$$25^{\circ}C$ 처리에 비하여 $20^{\circ}C$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20^{\circ}C$에서 4일 및 6일 처리 시 무처리에 비하여 MDG가 2.3일 단축되었다. -0.50MPa PEG에서 priming후 발아온도에 따라서는 $20^{\circ}C$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T50 및 MDG가 단축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10^{\circ}C$$35^{\circ}C$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0.50 MPa PEG에 50mM $KH_2PO_4$ 혼용처리 시는 $10^{\circ}C$를 제외하고는 모든 발아온도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발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었지만 T50 및 MDG의 단축효과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 PDF

발아온도에 따른 당근, 상추, 양파 및 파 종자의 Priming 효과 (Effect of Seed Priming of Carrot, Lettuce, Onion, and Welsh Onion Seeds as Affected by Germination Temperature)

  • 정연옥;김종철;조정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21-326
    • /
    • 2000
  • 발아온도를 $10^{\circ}C$에서 $5^{\circ}C$ 간격으로 $35^{\circ}C$까지 달리한 후 priming 종자의 발아율, T50 및 평균발아소요일수(MDG)를 조사하였다. 당근은 -0.50MPa PEG 8000에서 priming한 종자가 무처리에 비하여 $10^{\circ}C$$35^{\circ}C$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T50 및 MDG는 모든 발아온도에서 단축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PEG에 100mM $K_3PO_4$ 혼용 priming시 PEG 단용 priming에 비하여 발아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상추의 무처리는 $30^{\circ}C$$10^{\circ}C$에서 단지 2%만 발아 되었으나 50mM $K_3PO_4$에 priming한 종자는 $30^{\circ}C$$35^{\circ}C$에서 각각 40%와 21%로 발아율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K_3PO_4$ 단용 priming에 비하여 $K_3PO_4$에 200mM $KH_2PO_4$ 혼용 priming시 발아율은 낮았지만 T50 및 MDG는 더 단축되었다. 양파는 200mM $KH_2PO_4$, 파는 100mM $Ca(NO_3)_2$에서 priming시 $10^{\circ}C$$35^{\circ}C$에서 발아율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양파는 $KH_2PO_4$ 단용 priming보다 100mM $Ca(NO_3)_2$ 혼용priming, 파는 $Ca(NO_3)_2$ 단용 priming보다 100mM $KH_2PO_4$ 혼용 priming시 발아율은 향상시키지 못하였으나 T50 및 MDG 단축에는 더 효과적이었다.

  • PDF

Charge Flow in KH2PO4 Lattice Structure by Using the Proton-Beam Irradiation

  • Han, Doug-Young;Han, Jun-Hee;Lee, Cheal-Eui;Kim, Se-Hun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8
    • /
    • 2008
  • The mechanism of charge flow has been probed by measuring the $^{1}H$ chemical shift on a proton-irradiated ${KH_2}{PO_4}$ (KDP) single crystal. The proton irradiation caused the increase in $^{1}H$ chemical shift.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electronic charge transfer from the proton to oxygen atom, accompanied with the proton displacement along the hydrogen bond. For the high resolution $^{1}H$ chemical shift measurement, CRAMPS (Combined Rotation And Multiple Pulses) technique is uti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