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degradation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6초

Nutrient composition and in vitro fermentability of corn grain and stover harvested at different periods in Goesan, a mountainous area

  • Nogoy, Kim Margarette;Zhang, Yan;Lee, Ye Hyun;Li, Xiang Zi;Seong, Hyun A;Choi, Seong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1호
    • /
    • pp.18-27
    • /
    • 2019
  • With South Korea's limited capability of feed production because of its relatively small cultivable area, the country is pushed to depend on foreign feed imports despite the immensely fluctuating price of corn. Hence, intensive efforts to increase the total cultivable area in Korea like extending of farming to mountainous area is being practiced. Corn was planted in Goesan County, a mountainous area in the country. Grain and stover were harvested separately in three harvest periods: early-harvest (Aug 8), mid-harvest (Aug 18), and late-harvest (Aug 28). The nutrient composition such as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crude fat (EE), organic matter (O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on-fibrous carbohydrates (NFC) was determined after harvest. Effective degradability (ED) of the major nutrients (DM, NDF, ADF, and CP) were measured through in vitro fermentation of rumen fluid from Hanwoo (Korean cattle). pH, ammonia-N concentration,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 and gas production were periodically measured at 0, 3, 6, 12, 24, 48, and 72 h. Corn grain showed higher nutrient content and ED than stover. It also had higher gas production but its pH, ammonia-N, and total VFA concentration were lower than corn stover. The best nutrient composition of corn grain was observed in early-harvest (high CP, EE, NDF, OM, NFC, and low ADF). Early-harvest of corn grain also had high effective degradability of dry matter (EDDM), effective degradability of neutral detergent fiber (EDNDF), effective degradability of acid detergent fiber (EDADF), and total VFA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best nutrient composition of stover was observed in mid-harvest (high DM, CP, NDF, and low ADF). EDDM, EDNDF, and EDADF were pronounced in early-harvest and mid-harvest of stover but the latter showed high total VFA concentration. Hence, early and mid-harvested corn stover and grain in a mountainous area preserved their nutrients, which led to the effective degradation of major nutrients and high VFA production.

돼지 미성숙 난자 모계 유전자 발현이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 gene expression on porcine oocytes in vitro maturation)

  • 이재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32-3536
    • /
    • 2012
  • 난자 세포의 정상적인 성숙과정을 이해하려면 모계유래 유전자 발현 증가의 분자 생물학적 기전을 밝혀내야 한다. 이것은 모계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 연구결과에 의하면 돼지 난자 체외 성숙과정에서의 모계 유전자 mRNA 발현은 통상적으로 poly(A) 꼬리 길이와 아데닐산 중합반응에 의하여 검증된다. 하지만 포유동물 체외성숙 과정에서는 아직까지 밝혀진 것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성숙단계 난모세포에서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해명하고자, 4개의 중요한 모계유전자발현을 real-time PCR기법으로 확인하여 poly(A) 꼬리 길이와 아데닐산중합반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접합체 유전자 활성화 단계에서 모계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이것에 상응하는 단백질 수준의 억제는 일부 혹은 대부분 유전자 손실에 의하여 초래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적인 모계 유전자 발현은 난자 세포의 성숙 및 더 나가서 초기 배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확인 하였다.

Vitamin C 투여에 의한 항스트레스 효과 (Anti-stress Effect by the Treatment of Vitamin C)

  • 오찬호;최동성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24-430
    • /
    • 1993
  • 생체에 스트레스가 부하되였을 때의 각종 상해작 용을 경감사키는 목적으로 Vitamin C를 투여하여 in vitro 및 in vivo 설험을 수행하여 살펴 본 결과, 시험관 내에셔 ascorbic acid는 $Cu^{2+}$ 이온의 존재 하에셔 histamine을 농도 의존적으로 분해하였고 반 응시간이 걸어질수록 histamine의 분해가 촉진되었 으며, histamine 첨가에 의해서도 ascorbic acid가 분해되는 이른바 in vitro 상호분해작용을 나타냈다. 또한 유전적으로 Vitamin C 합성볼능으로 알려져 있는 $ODS^{od}/_{od}$ rat를 이용하여 Vitamin C 결핍사료 를 급여한 후에 ascorbic acid의 첨가(50mgjlOOg B B. W.)는 histamine의 뇨중 배설을 유의성 있게 감 소시켰다. 부신을 적출한 rat에 immobilization s stress를 부하하기 전에 ascorbic acid, 인공의 glucocorticoid 인 dexamethasone 빛 histamine HI -길항제 인 promethazine을 투여하면 stress에 의한 치사작용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OH radical sca­v venger언 dimethylsul[ oxide는 억제작용을 보이지 않았으며, $ODS^{od}/_{od}$ rat의 비장세포 배양계를 이용한 Con A 의존성 T엄파구의 증식능에 있어서는 10^{-8}- 1O^{-5}M$의 ascorbic acid 첨가에 의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되였다. 이러한 결과는 Vitamin C가 스트레스에 의한 각 종 상해작용을 경감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 타내고 었으며, 이것은 스트레스 반응응답기전의 매개물질의 하나로 알려 져 있는 histamine을 Vitamin C가 분해시킴으로써 항스트레스 효과가 발현되는 것 으로 추정된다. 또한 Vitamin C 자신은 체내의 면 역능력을 증강시키는 작용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시 사된다.

  • PDF

복합재 약물전달 시스템의 제작 및 체외 환경 특성 평가 (Manufacturing and in vitro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Drug Delivery System (DDS))

  • 추원식;정석용;박정빈;안성훈;이재훈;지상철
    • Composites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8-23
    • /
    • 2008
  • 쾌속 조형(Rapid Prototyping; RP)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P 기술을 이용한 나노복합재 적층장치(Nano Composite Deposition System, NCDS)를 사용하여 이식 가능한 약물전달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약물전달시스템 복합재는 약물 입자로 5-fluorouracil (5-FU)를 사용하였으며, 생분해 고분자 매트릭스로 PLGA85/15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약물전달시스템은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지지체(scaffold) 형상으로 제작되었으며, in vitro 환경에서의 약물방출실험이 수행되었다. 약물방출제어를 위하여 생체적합재료인 수산화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를 약물-고분자 복합재에 첨가하였다. 약 50일간의 방출실험을 통하여 약물방출의 가능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NSP Degrading Enzyme on In vitro Digestion of Barley

  • Li, W.F.;Sun, J.Y.;Xu, Z.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22-126
    • /
    • 2004
  • A digestion trial in vitro was conducted to study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NSP (non-starch polysaccharides) degrading enzyme (feed grade) on cell wall degradation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barley. The slices of barley were soaked in distilled water with or without 0.15% non-starch polysaccharides degrading enzyme.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slices showed that the endosperm cell wall of barley was completely degraded by the non-starch polysaccharides degrading enzyme. The residues and supernatant of digesta in vitro were separated by filtration with 0.1 mm nylon fabric. The residues were used for measurement of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fiber, and moisture. The supernatant was used for determination of viscosity, as well as amino-nitrogen and glucose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amino-nitrogen and glucose content of the supernatant increased by 17.58% (p<0.05) and 10.26% (p<0.05), respectively, while viscosity did not change. Enzyme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protein, nitrogen-free extract, crude fat and crude fiber of barley by 18.1% (p<0.05), 20.3% (p<0.05), 16.4% (p<0.05), 26.9% (p<0.05) and 30.0% (p<0.05),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ell wall hydrolysis may contribute to improved nutrient digestion in vivo when non-starch polysaccharides degrading enzymes are fed to swine.

조사료 자원의 단백질 분획 및 Buffer 추출이 In Vitro 발효 성상, 분해율 및 Gas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otein Fractionation and Buffer Solubility of Forage Sources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Degradability and Gas Production)

  • 김광림;;;김종규;주종관;서성원;송만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9-74
    • /
    • 2012
  • 본 시험에서 건초(티머시, 알팔파 및 클라인)와 짚류(톨페스큐 및 볏짚)의 buffer 용해도와 단백질 분획이 실시되었으며, 조사료 자원의 buffer 추출이 $In$ $vitro$ 발효 성상, 분해율 및 가스($CO_2$$CH_4$)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른 조사료에 비해 총 단백질 중 buffer 가용성 조단백질과 A fraction은 알팔파 건초에서 각각 61% 및 41.77%로 가장 높았으며 볏짚에서 가장 낮았다(각각 42.8% 및 19.78%). 총단백질 중 B1 fraction은 조사된 조사료간 비교적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2 fraction에서는 다른 조사료(6.34~8.85%)에 비하여 톨페스큐짚(10.05%) 및 클라인 건초(12.34)%에서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총 단백질 중 B3 fraction이 차지하는 비율은 톨페스큐짚에서 38.49%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조사료 자원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C fraction의 경우 볏짚에서 가장 높은 비율(15.05%)을 보였다. 모든 사료에서 배양 개시 후 3시간(P<0.01) 및 6시간(P<0.05)에서 buffer 추출 전에 비해 추출 후 배양액의 pH가 증가되었으며, 배양 6시간(P<0.05) 및 12시간(P<0.001)에서 다른 사료에 비해 티모시 건초 및 알팔파 건초로부터의 pH가 낮았다. 배양액의 암모니아 농도는 모든 배양시간에서 가용성 물질의 추출 전 후에 다른조사료에 비해 알팔파 건초에서 가장 높았으나 모든 사료의 추출효과는 배양 3시간(P<0.01)에서만 나타났다. 배양액의 총 VFA 농도는 배양 24시간까지 알팔파 건초에서 가장 높았던 반면 톨페스큐짚과 볏짚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모든 조사료에서 buffer 추출 전에 비하여 추출후에 총 VFA 농도가 감소되었다(P<0.01~P<0.001). Acetic acid ($C_2$)의 조성 비율에서는 배양 6시간까지 추출 전에 더 높았으나(P<0.001) 사료 간 차이는 없었다. Propionic acid ($C_3$) 조성 비율 역시 배양 개시 후 3, 24 및 48시간(P<0.001)에서 추출 전에 더 높았으며, 6 및 12 시간의 배양액에서 대부분 건초(티모시, 알팔파 및 클라인)와 짚류(톨페스큐짚 및 볏짚)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그러나 butyric acid ($C_4$) 조성비율의 경우 대부분의 배양시간에서 사료 간 차이는 없었다. 건물에서의 분해율 관련 parameter 중 a 값은 조사된 전체 조사료에서 buffer 추출 전이 추출 후에 비해서 높았으며(P<0.001), 다른 조사료에 비해 톨페스큐짚과 볏짚에서 크게 낮았다(P<0.05). 또한 b 값의 경우 역시 추출 전에 비해 추출 후에서 현저히 낮았으나(P<0.001) 사료 간 차이는 없었다. 볏짚을 제외한 조사료에서 추출 후에 비해 추출 전의 건물 유효분해율(EDDM)이 더 높았다(P<0.001). 조단백질에서의 a, b 및 c 값은 추출 전에 비해 추출 후에서 현저히 낮았으나(P<0.05) 사료 간 차이는 없었다. 조단백질 유효분해율(EDCP)에서는 다른 조사료 종류에 비해 톨페스큐짚과 볏짚에서 낮았다(P<0.05). 한편, NDF의 경우 a 값과 b 값(P<0.01) 및 NDF 유효분해율(EDNDF, P<0.001)은 추출 후에 비해 추출 전에 더 높았으나(P<0.01) 사료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반추위미생물에 의해 사료분해과정 중 생성되는 $CO_2$ 량도 24시간 배양까지는 추출 전에 더 많았으며(P<0.05~P<0.001), 톨페스큐짚과 볏짚에 비해 건초 형태의 조사료로부터의 $CO_2$ 생성량이 더 많았다(P<0.05~P<0.01). 메탄가스($CH_4$) 생성량 역시 모든 배양시간에서 추출 전에 비해 추출 후에 크게 감소되었으며(P<0.01~P<0.001), 12~24시간을 제외하고는 짚류에 비해 건초에서 현저히 높은(P<0.05)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조사료 자원에 대한 buffer 용해도와 단백질의 분획이 $In$ $vitro$ VFA 농도와 분해율 및 gas ($CO_2$$CH_4$) 발생량 간 상호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조사료 이용 효율 개선을 위해 조사료자원에 대한 buffer 용해도와 단백질 분획을 반추동물 TMR 조제에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Effects of Candida utilis Treatment on the Nutrient Value of Rice Bran and the Effect of Candida utilis on the Degradation of Forages In vitro

  • Ando, Sada;Nishiguchi, Y.;Hayasaka, K.;Iefuji, H.;Takahashi,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6호
    • /
    • pp.806-810
    • /
    • 2006
  • Candida utilis can assimilate fatty acids, so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treatment of rice by Candida utilis would improve feed quality by reducing fat content and adding the yeast function that would stimulate rumen microbes. In this study, the oil assimilation ability of Candida utilis IFO1086, 0988, 0626 and the effect of treatment of Candida utilis IFO1086, IFO0626 on the nutrient contents of rice bran were examined. The effect of Candida utilis addition on the in vitro degradability of forage was also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oil assimilating ability of IFO1086 and IFO0626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at of IFO0988. Candida utilis treatment reduced the EE content and increased the CP, ADF and NDF percentage. The absolute amount of ether extract was decreased by 35.9% in IFO1086 and IFO0626 treatment. The absolute amount of crude protein was not changed by yeast treatment. The ADF and NDF amounts were increased. The addition of Candida utilis increased in vitro forage degradability significantly (p<0.05).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postulated that treatment of rice bran by Candida utilis may improve feed quality by reducing fat content, increasing the CP content and adding the function of yeast for stimulating rumen microbes.

In Vitro 분해가 PLA/PEG 용융블렌드 섬유의 무게감량률 및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 Vitro Degradation on the Weight Loss and Tensile Strength of PLA/PEG Melt Blend Fiber)

  • 윤철수;지동선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81-587
    • /
    • 2009
  • PLA와 PEG를 사용하여 용융블렌드 방법으로 PLA/PEG 블렌드 섬유를 제조한 후 in vitro 환경조건인 pH7.4, 온도 $37\;^{\circ}C$의 완충용액에서 1~8주 동안 가수분해한 다음 무게감량률 및 인장강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가수분해 시간이 1주에서 8주까지 증가함에 따라 블렌드 시간은 10~30분으로, PEG 함량은 5~30 wt%로 증가할수록 PLA/PEG 블렌드 섬유의 무게감량률은 증가하는 경향이,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은 감소하는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수분해 시간 2주까지는 PLA/PEG 블렌드 섬유의 무게 감량률은 약 0.9% 이내이고 강도유지율은 약 90%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임계상처치유기간 중 양호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pH on Fermentation Pattern and Methane Production in the Rumen Simulating Fermenter (RUSITEC)

  • Bhatta, R.;Tajima, K.;Kurihar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376-380
    • /
    • 2006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in vitro nutrient degradability, volatile fatty acid profile and methane production. The fermenter used was the semi-continuous system, known as the rumen simulation technique (RUSITEC). Sixteen cylinders were used at one time with a volume of 800 ml, the dilution rate was set at 3.5%/hour, the infused buffer being McDougall's artificial saliva. Basal diet (9.6 g DM) used in RUSITEC consisted of (DM) 6.40 g Timothy hay, 1.86 g crushed corn and 1.34 g soybean meal. The food for the fermentation vessel was provided in nylon bags, which were gently agitated in the liquid phase. The experiment lasted for 17 d with all the samples taken during the last 5 d. Treatments were allocated at random to four vessels each and were (1) two temperature levels of $39^{\circ}C$ and $41^{\circ}C$ (2) two pH levels of 6.0 and 7.0. The total diet contained ($g\;kg^{-1}$ DM) 957 OM, 115 CP and $167MJ\;kg^{-1}$ (DM) GE. Although increase in temperature from $39^{\circ}C$ to $41^{\circ}C$ reduced degradation of major nutrients in vitro, it was non-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emperature with pH also reflected a similar trend. However, pH showed a significant (p<0.05) negative effect on the degradability of all the nutrients in vitro. Altering the in vitro pH from 7 to 6 caused marked reduction in DMD from 60.2 to 41.8, CPD from 76.3 to 55.3 and GED from 55.3 to 35.1, respectively. Low pH (6) depressed total VFA production (61.9 vs. 34.9 mM) as well as acetate to propionate ratio in vitro (from 2.0 to 1.5) when compared to pH 7. Compared to pH 7, total gas production decreased from 1,841 ml to 1,148 ml at pH 6, $CO_2$ and $CH_4$ production also reduced from 639 to 260 ml and 138 to 45 ml, respectively. This study supported the premise that pH is one of the principal factors affecting the microbial production of volatile fatty acids and gas. Regulating the ruminal pH to increase bacterial activity may be one of the methods to optimize VFA production, reduce methane and, possibly, improve animal performance.

옻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자궁 경부암 바이러스 암 유발인자 E6 와 E7의 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hus Extracts on The Cytotoxicity on Cancer Cells and E6 and E7 Oncogenes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 조영식;정옥;조정원;이경애;심정현;김광수;이홍수;성기승;윤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89-1395
    • /
    • 2000
  • 자궁 경부암은 매년 약 50만명 정도씩 사망하는 여성의 치명적인 사망원인의 하나이다. 인두유종 바이러스(HPV) 16형 및 18형과 자궁 경부암과의 긴밀한 관련성은 잘 알려져 있다. 옻 추출물 Rhus가 HPV 16형의 E6, E7 발암 유전자를 억제하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 Rhus는 자궁 경부암 세포주(C-33A, SiHa, Caski)와 HaCaT keratinocytes의 분열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In vitro binding assay와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하면 Rhus가 암 억제인자인 p53과 결합하여 분해 시키는데 필수적인 E6와 E6AP와의 결합을 억제할 뿐더러 암 억제인자 Rb와 E7과의 결합을 억제하였다. RT-PCR에 의하면 Rhus에 의해 E6 mRNA의 level이 감소하였으나 E7 mRNA는 변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에 의하면 Rhus가 HPV 16형의 E6와 E7의 발암성을 억제함을 보여 주므로 HPV에 의해 유도된 자궁 경부암의 치료에 유효할 것으로 사료되어 좀 더 자세한 in vitro실험 등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