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

검색결과 172,859건 처리시간 0.115초

수종의 기계판막치환후 초음파심음향도를 이용한 판막간의 혈류역학적 비교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ic Hemodynamic Comparison between Recently Available Bileaflet Mechanical Valves)

  • 강준규;홍준화;김형태;박인덕;이철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496-500
    • /
    • 2005
  • 심장판막질환의 외과적 교정에 사용되는 수종의 기계판막들은 각기의 장점들을 주장하고 있으나, 중장기의 임상적 결과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기계적 기능의 차이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수술 후에 시행한 초음파심음향도로 측정한 판막간 압력차와 유효개구면적을 비교하여 다양한 기계판막들간의 기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뜻 방법: 1995년부터 2003년 사이에 아주대학교병원 흥부외과에서 기계판막으로 치환술을 받았던 345명의 환자들에 사용되었던 396개의 기계판막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사용되었던 판막으로는 Sorin Bicarbon, SJM, ATS, On-X, 그리고 Edward MRA로 5종류였다. 판막의 위치는 승모판막이 232개, 대동맥판막이 162, 그리고 삼첨판막이 2개였으며, 이중 다중판막치환술이 51예에서 있었다. 수술 후 14일이 지난 후에 시행한 초음파심음향도에서 유효개구면적, 수축기 평균압력차, 그리고 이완기 평균압력차를 지표로 통계학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결과: 345명의 대상환자중 남자가 178명, 여자가 167이었고, 평균연령은 남자/여자가 $50.6\pm13.9/52.6\pm14.6$세였다. 승모판막의 경우 27mm에서는 MDPG/EOA가 Sorin; $4.2\pm1.5 mmHg/3.0\pm0.9cm^2,\;SJM;\;2.3\pm1.2/3.5\pm0.6$였으며, 31m에서는 Sorin, SJM, ATS, Mmh가 $3.9\pm1.9/2.9\pm0.6,\;3.5\pm1.2/3.0\pm0.6,\;3.4\pm0.8/2.8\p,0.2,\;3.7\pm1.5/2.7\pm0.7$ 였으며, 31mmdptjsms Sorin, SJM, ATS, MIRA가 $3.9\pm1.9/2.9\pm0.6,\;3.5\pm1.2/3.0\pm0.6,\;3.4\pm0.8/2.8\pm0.2,\;3.7\pm1.5/2.7\pm0.7$였으며, 33 m에서는 Sorin, SJM, MIRA가 $4.4\pm0.9/2.5\pm0.4,\;3.4\pm1.5/3.3\pm0.5,\;4.7\pm2.4\3.0\pm0.3$이었다. 대동맥판막의 경우 19mm에서 MSPG/EOA가 Sorin, SJM, ATS, On-X, MIRA가 $18.0 mmHg/1.2cm^2,\;25.6\pm8.7/1.1\pm0.3,\;25.9\pm12.6/1.2\pm0.3,\;23.0/1.3,\;27.9\pm7.1/1.2\pm0.1$였으며, 21mm에서는 SJM, ATS, On-X, MIRA가 $18.3\pm6.7/1.5\pm0.5,\;13.7\pm2.1/1.7\pm0.3,\;17.0/1.4,\;17.1\pm5.5/1.8\pm0.5$였으며, 23 m에서는 Sorin, SJM, ATS On-X, MIRA가 $14.0\pm4.6/1.7\pm0.6,\;12.8\pm3.2/2.0\pm0.2,\;16.8\pm12.2/2.1\pm0.9,\;14.0/1.5,\;15.0\pm5.5/1,8\pm0.5$이었다 25mm에서는 SJM과 MIRA가 $14.0\pm5.1/1.8\pm1.0,\;11.0/2.3$이었다. 통계학적인 분석을 한 결과 같은 위치에 같은 크기의 판막들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판막재치환을 한 경우는 용혈로 인한 재치환이 ATS에서 1예, 판엽고정에 의한 재치환이 SJM에서 1예 있었다. 결론: 최근 국내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5종의 기계판막을 수술 후에 초음파심음향도로 추적조사한 결과 동일한 판막크기에서 각 판막간의 기능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쪽파(Allium wakegi Araki)의 정단분열 조직배양으로부터 식물체 분화와 인경형성 (Direct Plant Regeneration and Bulblet Formation from Apical Meristems Culture in Allium wakegi Araki)

  • 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04
  • 쪽파의 정단분열조직을 LS기본배지에 zeatin(0.1, 0.5, 1.0, 3.0mg/L)과 NAA(0.1, 0.5, 1.0, 2.0, 5.0mgA)를 단독 및 혼합 첨가시키어 식물체 생산과 인경 형성율을 조사하였다. 정 단분열조직으로부터 신초 분화는 zeatin 0.1, 0.5, 1.0 mg/L 단독처리구와에 zeatin 0.5 mg/L에 NAA 1.0mg/L 혼합첨가구에서 가장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뿌리분화율은 zeatin 0.5 mg/L에 NAA 1.0mg/L 혼합첨가구에서 가장 좋았다. 분화된 식물체로부터 정상적인 인경형성은 NAA단독첨가보다는 zeatin과의 혼합첨가가 효과적이었다. 특히 NAA 3.0mg/L에 zeatin 1.0mg/L를 혼합시켰을 때 정상적인 인경 형성에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다.

식생에 의한 하안 퇴적과 침식 경감 (Deposition and Erosion Relief of Riverfront by Vegetation)

  • 김진홍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2호
    • /
    • pp.154-1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지조사를 통해 식생의 하안 퇴적과 침식 경감을 판단하였다. 달뿌리풀은 임계유속 1.0 m/s-1.2 m/s을 기준으로 0.2 m 정도의 하안 퇴적과 0.3 m-0.4 m의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하였다. 갈대는 임계유속 0.6 m/s-0.7 m/s을 기준으로 0.1 m-0.4 m의 하안 퇴적과 0.2 m-0.3 m의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하였다. 갯버들은 임계유속 1.2 m/s-1.4 m/s을 기준으로 0.1 m-0.2 m의 하안 퇴적과 0.4 m-0.5 m의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하였다. 물억새는 임계유속 0.6 m/s-0.7 m/s을 기준으로 0.1 m-0.4 m의 하안 퇴적과 0.1 m-0.2 m의 침식 경감 기능을 나타내었다. 조사 대상 식생 중 갯버들이 가장 높은 하안 침식 경감 기능을, 물억새가 가장 낮은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현지조사 결과 대상 식물종 모두 하안 퇴적 및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안정하도 형성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내 수산 시장에서 유통되는 수산물의 유해성 중금속(Hg, Cd 및 Pb) 분포에 관하여 (Distribution of Hazardous Heavy Metals(Hg, Cd and Pb) in Fishery Products, Sold at Garak Wholesale Markets in Seoul)

  • 함희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6-151
    • /
    • 2002
  • 2001년 1-12월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총 951건의 수산물(어류 34종 468건, 패류 17종 373건, 갑각류 10종 39건 그리고 두족류 등 11종 71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함량[average(minimum∼maximum), Unit:mg/kg]을 분석한 결과, Hg 0.025(N.D.∼0.19), Cd 0.288(N.D.∼l.85), Pb 0.227(ND∼l.68)이었다. Hg의 경우, 패류[0.033(N.D.∼0.19)]>두족류 등[0.026N.D.∼0.11)]>갑각류[0.026(N.D.∼0.09)]>어류[0.018(N.D.∼0.19)]순이었고, 가장 높은 함량은 미꾸라지 (0.19)와 꼬막(0.19)이었으며, Pb의 경우 패류[0.223(N.D.∼1.38)]>어류[0.213(N.D.∼1.68)]>두족류 등 [0.151(N.D.∼0.39)]>갑각류[0.144(N.D.∼0.44)]순이었고, 가장 높은 함량은 미꾸라지 (1.68)>빙어(1.44)>바지락(1.38)>뱀장어(1.35) 순이었다. 한편, Cd의 경우 패류[0.288(N.D.∼1.85)] 중 가장 높은 함량은 꼬막(1.85)이었다.

농촌지역 보건지소를 내원한 환자들에서의 계절 변동 (The Seasonal Variation on Patients who Visit Health Subcenter in Rural Area)

  • 민양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1호
    • /
    • pp.115-119
    • /
    • 2001
  • 사회적 통계 작성할 때 계절변동효과는 자료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농촌의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들의 수도 계절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1994년에서 2000년까지 농촌 보건지소에 내원한 환자 수를 분석하여 계절지수를 구하였다. 의료고유의 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기 환자를 제외하고 계절지수를 구하였다. 각각의 계절지수는 다음과 같다. 1. 전체지수는 1월에서 12월 0.96, 1.08, 1.23, 0.83. 0.82, 0.75, 1.01, 0.99, 1.02, 1.05, 1.13, 1.13이다. 2. 감기환자를 제외한 지수는 0.94, 0.90. 1.42, 0.94, 0.91, 0.77, 1.13, 0.92, 0.84, 1.07, 1.10, 1.06이다. 위의 결과를 보면 봄, 초여름에 환자 수가 감소하고 한여름과 겨울에 환자가 증가한다. 이것은 감기 환자를 제외하고 분석하여도 같은 결과이다. 또한 이것은 농사의 주기와도 일치한다. 계절변동 지수를 잘 활용한다면 농촌을 대상으로 한 보건 연구나 사업계획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No Association of the TGF-β1 29T/C Polymorphism with Breast Cancer Risk in Caucasian and Asian Populations: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Involving 55, 841 Subjects

  • Alqumber, Mohammed A.A.;Dar, Sajad Ahmad;Haque, Shafiul;Wahid, Mohd;Singh, Rohit;Akhter, Nasee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725-8734
    • /
    • 2014
  •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gene 29 T/C polymorphism i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risk. However, reports are largely conflicting and underpowered. We therefore conducted a meta-analysis of all available case-control studies relating the TGF-${\beta}1$ 29T/C polymorphism to the risk of developing breast cancer by including a total of 31 articles involving 24,021 cases and 31,820 controls. Pooled ORs were generated for the allele contrasts, with additive genetic, dominant genetic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Subgroup analysis was also performed by ethnicity for the TGF-${\beta}1$ 29T/C polymorphism. No association was found in the overall analysis (C vs T: OR=1.028, 95% CI=0.949-1.114, p-value 0.500; CC vs TC: OR= 1.022, 95% CI=0.963-1.085, p-value 0.478; CC vs TT: OR= 1.054, 95% CI=0.898-1.236, p-value 0.522; CC vs TT+ TC: OR= 1.031, 95% CI=0.946-1.124, p-value 0.482; TT vs CC+TC: OR= 0.945, 95% CI=0.827-1.080, p-value 0.403). Similarly, in the subgroup analysis by ethnicity, no association was found in Caucasian (C vs T: OR= 1.041, 95% CI=0.932-1.162, p-value 0.475; CC vs TC: OR= 1.031, 95% CI=0.951-1.118, p-value 0.464; CC vs TT: OR= 1.081, 95% CI=0.865-1.351, p-value 0.493; CC vs TT+TC: OR= 1.047, 95% CI=0.929-1.180, p-value 0.453; TT vs CC+TC: OR= 0.929, 95% CI=0.775-1.114, p-value 0.429;) and Asian populations (C vs T: OR= 1.004, 95% CI=0.908-1.111, p-value 0.931; CC vs TC: OR= 0.991, 95% CI=0.896-1.097, p-value 0.865; CC vs TT: OR= 1.015, 95% CI=0.848-1.214, p-value 0.871; CC vs TT+TC: OR= 1.000, 95% CI=0.909-1.101, p-value 0.994; TT vs CC+TC: OR= 0.967, 95% CI=0.808-1.159, p-value 0.720;). No evidence of publication bias was detected during the analysi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breast cancer risk was demonstrated overall or on subgroup (Caucasian and Asian)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GF-${\beta}1$ 29T/C polymorphism does not play a role in breast cancer susceptibility in overall or ethnicity-specific manner.

치어기 넙치 사료내 ${\beta}-1,3$ 글루칸의 첨가가 성장 및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beta}-1,3$ Glucan on Growth and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영철;김강웅;이승형;박건준;;강용진;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7-253
    • /
    • 2006
  • 본 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잇어서 ${\beta}-1,3$ 글루칸을 사료내 첨가시 성장,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료내 ${\beta}-1,3$ 글루칸을 수준별 첨가하여 실시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3.2 g인 넙치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사료에 ${\beta}-1,3$ 글루칸을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 0.05% 및 0.1%를 각각 첨가하여 총 5개 실험구로 3반복배치하여 6주간 실시하였다. 총 6주간의 성장 실험결과, 면역증강물질인 ${\beta}-1,3$ 글루칸의 첨가에 따르는 사료효율과 단백질전환효율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와 다른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증체율과 일간성장율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를 첨가한 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beta}-1,3$ 글루칸 0.05%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도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구가 대조구와 첨가구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헤마토크리트치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와 ${\beta}-1,3$ 글루칸을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혈청내 GOT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비특이적 면역반응 결과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을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혈청의 lysozyme 활성 및 두신 phagocyte의 chemiluminescent(CL) 반응에서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보체대체활성의 경로에 있어서는 전실험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격 실험 결과에서는 ${\beta}-1,3$ 글루칸을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초기폐사율이 낮음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상기 결과를 토대로, 넙치 치어의 경우 ${\beta}-1,3$ 글루칸을 0.05% 이상 0.1% 미만을 사료에 첨가하는 것이 성장, 사료효율 증진, 항산화능 및 질병저항성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생리활성 물질(쑥, 두충 및 어성초)의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이용율, 혈액특성, 장내 미생물 및 설사빈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Bio-Active Substances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Blood Characteristics, Microflora Population and Diarrhea Frequency of Weanling Pigs)

  • 김재황;안경호;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83-392
    • /
    • 2006
  • 본 시험은 기능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쑥, 두충 및 어성초를 혼합한 후 배합사료에 0.0, 0.5, 1.0 및 2.0%씩 첨가하여 이유자돈에 급여한 후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영양소 이용율, 분변의 미생물 총, 가스 발생량, 혈액성상 및 설사빈도를 조사분석하여 이유자돈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일당 사료섭취량은 1.0%와 2.0%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조단백질과 조지방 소화율은 1%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p<0.05), NFE 소화율은 1.0%와 2.0%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 0.05). 분변내 미생물균총 중 Total bacillus는 1.0%와 2%구가 대조구와 0.5%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Lactobacillus sp.의 경우에는 1.0%구가 대조구와 0.5% 첨가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혈 중 glucose 함량은 0.5%와 1.0%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Total protein 함량은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p<0.05), Albumin 함량은 1.0%와 2.0%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Total cholesterol 함량은 2.0%구가 대조구와 0.5%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며(p<0.05), HDL 함량은 1%와 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포유자돈의 경우 설사빈도는 크게 감소하였으며(p<0.05), 특히 1.0%구에서는 설사발생이 전혀 없었다(p<0.05).이상의 시험결과를 종합하면, 쑥, 두충 및 어성초를 혼합하여 1.0% 첨가함으로서 일당증체량, 사료효율 및 영양소 이용율이 향상되고 설사 발생빈도가 감소되어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DL-cholesterol 함량이 증가되므로 항생제 대체 물질이 함유된 사료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Chitooligosaccharides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oligosaccharides)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79-584
    • /
    • 2001
  • Chitosna을 Bacillus pumilus BN-262 유래의 chitosanase로 처리하여 trimer, tetramer, pentamer가 전체 올리고당 중 64.3%에 달하는 비교적 저분자의 chitooligosaccharides로 구성된 LMW-chitooligosaccha-rides를 얻었으며, chitosan을 Trichoderma viride 유래의 cellulase로 처리하여 중합도7이상의 것이 전체 올리고당 중 49.3%에 달하는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큰 chitooligosaccharides로 구성된 HMW-chitooligosac-charides를 얻었다. 제조된 chitooligosaccharides의 항균성과 콜로니 형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LMW chitooligosaccharides의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Candida albicans,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H7, Lactobacillus plantarum,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enteritidis,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MIC(최소저해농도)는 각각 1.5%, 1.5%, above 2.0%, 1.5%, 1.5%, below 0.5%, 2.0%, 1.5%, above 2.0%. 1.0%, 1.5%, 1.0%였으며, HMW-chitooligosaccharides의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Candida albicans,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 : H7, Lactobacillus plantarum,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enteritidis, Sam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MIC는 각각 1.0%, 1.0%, 2.0% 이상, 1.0%, 1.0%, 0.25% 이하, 1.0%, 1.0%, 2.0%, 1.0%, 1.0%, 0.5%였다.

  • PDF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정액의 특성과 정자의 미세구조 (Milt Properties and Spermatozoa Structure of Filefish(Thamnaconus modestus))

  • 레민황;임한규;민병화;김성연;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27-233
    • /
    • 2007
  •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 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정자의 미세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정액량과 정자 농도, spermatocrit는 각각 $0.3{\pm}0.1\;mL{\cdot}fish^{-1}$, $2.6{\pm}0.1{\times}10^7\;spermatozoa{\cdot}mL^{-1}$, $73.3{\pm}6.7$였다. 정장의 화학적 조성에 있어서 potassium $9.8{\pm}0.9\;mmol{\cdot}L^{-1}$, sodium $164.0{\pm}4.0\;mmol{\cdot}L^{-1}$, chloride $151.0{\pm}1.2\;mmol{\cdot}L^{-1}$, calcium $14.9{\pm}0.6\;mg{\cdot}dL^{-1}$, magnesium $7.2{\pm}0.1\;mg{\cdot}dL^{-1}$, glucose $1.0\;mg{\cdot}dL^{-1}$, 총단백질 $0.1\;g{\cdot}dL^{-1}$, 총지질 $1.0\;mg{\cdot}dL^{-1}$였으며, 삼투질농도와 pH는 각각 $322.8{\pm}2.8\;mOsmol{\cdot}kg^{-1}$ and $7.7{\pm}0.1$였다.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정자는 첨체가 없는 머리, 5개의 미토콘드리아로 이루어진 중편부 및 "9+2"의 미세소관 편모를 가진 꼬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세로로 절단한 정자 머리는 장경 $1.3{\sim}1.6\;{\mu}m$, 단경 $1.0{\sim}1.3\;{\mu}m$로 말편자 모양을 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