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pinene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2초

서울시 대기 중 Pinic Acid와 cis-Pinonic Acid의 계절별 농도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the Concentrations of Pinic Acid and cis-Pinonic Acid in the Atmosphere over Seoul)

  • 전소현;이지이;정창훈;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8-215
    • /
    • 2016
  • Pinic acid (PA) and cis-pinonic acid (CPA) in the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with an aerodynamic diameter of less than or equal to a nominal $10{\mu}m$ ($PM_{10}$) were analyzed for the sample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April 2010 to April 2011 at Jongro in Seoul. Both pinic acid and cis-pinonic acid showed higher seasonal average concentrations in summer (PA; $18.9ng/m^3$, CPA; $16.0ng/m^3$) than winter (PA; $5.3ng/m^3$, CPA; $5.9ng/m^3$). They displayed a seasonal pattern associated with temperature reflecting the influence on emissions of ${\alpha}-pinene$ and ${\beta}-pinene$ from conifers and their photochemical reaction.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PA, PA and $O_3+NO_2$, temperature. CPA was only correlated with n-alkanes ($C_{29}$, $C_{31}$, $C_{33}$) from biogenic source. PA was correlated with n-alkanes ($C_{29}$, $C_{31}$, $C_{33}$), n-alkanoic acid ($C_{20}$, $C_{22}$, $C_{24}$) from biogenic source and n-alkanes ($C_{28}$, $C_{30}$, $C_{32}$), and n-alkanoic acid ($C_{16}$, $C_{18}$) from anthropogenic sourc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ormation of PA and CPA from ${\alpha}-pinene$ and ${\beta}-pinene$ is related to organic compounds from biogenic source. And it is possible for PA to be effected by organic compounds from anthropogenic source.

숲속 공기와 주변 우점수목 정유의 모노테르펜류 분포 비교 (Comparision of Monoterpene in Ambient Air at Forest and Essential Oil)

  • 오길영;서윤규;박귀환;김익산;배주순;박송인;하훈;양수인;이지헌;이완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309-314
    • /
    • 2013
  • 산림공기 중 약리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진 모노테르펜류의 분포양태 파악을 위해 고흥 팔영산, 보성 제암산, 장흥 우드랜드 숲속 공기와 그 주변에 우점하고 있는 나무의 정유에서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2-carene, myrcene, ${\alpha}$-phellandrene, ${\alpha}$-terpinene, d-limonene, eucaliptol, cymene, terpinolene, linalool, camphor, menthol, borneol, thymol, asarone, coumarine 농도분포를 비교하였다. 숲속 공기는 3 계절(봄, 여름, 가을), 정유는 봄, 여름기간 수행하였다. 공기 중에는 4 시간 평균농도 기준으로 ${\alpha}$-pinene, ${\beta}$-pinene과 2-carene이 각각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측정된 3계절 평균 농도는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보성 제암산에서 2,597 pptv로 가장 높았다. 계절별로는 고흥 팔영산과 보성 제암산은 봄, 장흥 우드랜드는 가을에 최고치를 보였다. 정유 중 테르펜은 편백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고흥 팔영산이 가장 높았고, 장흥 우드랜드 >보성 제암산 순으로 숲속 공기와는 다른 분포형태를 보였다. 주요 성분도 달라 고흥 팔영산은 sabinene, myrcene, limonene이 높은 반면 장흥 우드랜드는 ${\alpha}$-terpinene, linalool, camphor가 보성 제암산은 cymene, camphor, borneol이 높게 나타났다. 정유 중 함량은 10~20령의 비교적 어린 편백나무가 높았고, 특히 봄철에 매우 높게 조사되어 정유를 활용하는 산림산업에 수종 및 채취시기 등을 시사해준다.

Identification of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from Different Plant Organs of Foeniculum vulgare Mill.

  • Chung, Hae-Gon;Bang, Jin-Ki;Kim, Geum-Soog;Seong, Nak-Sul;Kim, Seong-Mi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4-278
    • /
    • 2003
  • The various plant organs of fennel (Foeniculum vulgare Mill.)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ir volatile components using Dynamic Headspace (purge & trap). They showed slight differences concerning the volatile component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Results revealed that trans-anethole (12.65%) was the major compound in the leaf. The highest compound was ${\alpha}-pinene$ (28.78%), and trans-anethole (7.90%) was highly detected in the stem. The maximum values were 5.64, 4.59, 1.58, 1.51, and 1.04% for ${\alpha}-pinene,\;{\gamma}-terpinene,\;{\beta}-pinene$, 1,8-cineol and fenchone, respectively in the flower. However, very little trans-anethole was detected (0.27%) in the flower.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major componen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lant organs. However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related plant organs like flower-fruit and leaf-stem contained the similar components.

당근의 재배지역별 부위별 휘발성 Terpenoids 함량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Terpenoid Content from Carrot Cultured Area and Carrot Portions)

  • 박신;박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3-318
    • /
    • 1998
  • 당근의 재배지역별 부위별 휘발성 terpenoids의 함량을 direct headspace sampling 방법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당근 심부(xylem)와 표피부(phloem)의 terpenoids 함량을 비교한 결과, ${\alpha}-pinene$의 경우 심부에 1.06ppm 표피에 2.73ppm, ${\beta}-pinene$은 각각 0.45ppm, 1.71ppm, ${\beta}-myrcene$은 0.85ppm, 1.84ppm, limonene은 0.48ppm, 1.34ppm, ${\gamma}-terpinene$은 1.60ppm, 3.01ppm, terpinolene은 2.71ppm, 21.15ppm, total terpenoids는 7.15ppm, 31.76ppm으로 모든 휘발성 terpenoids가 당근 심부에 비해 표피부에 다량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당근을 윗부위(crown), 중간부위(midsection), 말단부위(tip)로 3등분한 후 각각에서 휘발성 terpenoids 성분을 분석한 결과, ${\alpha}-pinene,\;{\beta}-pinene,\;{\beta}-myrcene,\;{\gamma}-terpinene$의 경우 말단부위에 비해 윗부위에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erpinolene과 total terpenoids의 경우 말단부위에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근 재배 지역별 terpenoids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제주에서 재배된 당근이 양산 및 해남에서 재배된 당근에 비해 다량의 휘발성 terpenoids를 함유하고 있었는데, total terpenoids의 경우 품종에 따라 양산에 비해 $1.6{\sim}2.3$배, 해남에 비해 $1.5{\sim}2.4$배나 높았다. 제주에서 재배된 당근의 휘발성 terpenoids가 높은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제주, 양산, 해남에서 당근이 재배된 토양을 채취하여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는 3개 지역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기탄소 함량, 전질소 함량, 양이온 치환용량, 치환성 양이온 등에서 제주토양이 양산토양에 비해 $2.4{\sim}3.0$배, 해남토양에 비해 $3.9{\sim}7.1$배나 높았다. 토양의 물리성을 조사한 결과, 제주의 당근 재배토양은 미사가 많은 양토(loam)였으며, 양산의 당근 재배토양은 모래가 많은 사양토(sandy loam), 해남의 당근 재배토양은 점토가 많은 식양토(clay loam)로 밝혀졌다.

  • PDF

국내산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Pine,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in Korea)

  • 윤미선;조해미;연보람;최정섭;김성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30-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제초활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_{50}$ 값은 각각 0, 4,766, 1,865, $5,934{\mu}g\;ml^{-1}$으로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조건에서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 10%를 5종의 화본과 잡초와 5종의 광엽잡초에 처리한 결과 도꼬마리를 제외하고는 24시간 내에 완전 고사되었으며, 처리 식물의 부위는 타는 듯한 화염상 증상을 나타내었고, 처리 3일 이후에는 신초가 재생하여 4종 식물 정유는 속효성, 비선택성, 비이행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의 정유를 GC-MS로 분석한 결과 각각 16종, 25종, 25종, 16종의 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정유에는 탄화수소,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가 공통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정유 4종의 주 화합물은 3-carene, bornyl acetate, camphene, limonen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이었다.

바퀴에 대한 Coriander Oil (Coriandum sativum) 성분의 훈증효과 (Fumigant Toxicity of the Constituents of Coriander Oil, Coriandum sativum against Blattella germanica)

  • 배정숙;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7-41
    • /
    • 2005
  • 바퀴벌레(Blattella germanica)에 대한 coriander oil (Coriandum sativum) 등 5종의 식물정유의 훈증독성을 조사하였다. 그들 중 spearmint oil이 20과 $10\;{\mu}{\el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모두 $100\%$의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Coriander를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alpha}$-pinene ($6.1\%$), camphene ($1.1\%$), ${\beta}$-pinene ($0.5\%$), ${\beta}$-myrcene ($0.8\%$), limonene ($2.5\%$), ${\gamma}$-terpinene ($4.5\%$), ${\rho}$-cymene ($1.8\%$), ${\alpha}$-terpinolene ($0.5\%$), camphor ($4.9\%$), linalool ($70.5\%$), ${\alpha}$-tepineol ($0.7\%$), geranyl acetate ($2.8\%$), geraniol ($1.4\%$)이 주요 구성성분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gamma}$-terpinene과 geranyl acetate가 $10\;{\mu}{\ell}/954\;ml$ (air) 약량에서 $100\%$의 높은 훈증독성을 나타내었다.

조리방법에 따른 허브의 향 성분 변화 (Flavor Changes of Herbs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 천덕상;이현자;강근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8-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생 허브 4종류, 즉 로즈마리, 바질, 애플민트 및 마조람과 이들을 튀기고, 끓이고, 굽고, 마이크로웨이브 등의 가열 방법으로 조리하였을 때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즈마리에서 18가지의 향기 성분을 분리하였는데 이 중 ${\alpha}$-pinene(소나무향) 함량이 37.4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상쾌한 단맛의 1,8-cineol이 23.34% 였다. 바질에서는 1,8-cineol의 함량(32.9%)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꽃향기를 내는 3-hexen-1-ol이 20.6%를 차지하였다. 조리 방법에 따라서는 끓였을 때 가장 향기 성분의 소실이 적었고 튀기는 조리 방법에서는 약 10% 내외 정도의 향만 잔존하였다. 애플민트에서는 trans-${\beta}-ocimene(16.66%),\;{\beta}-pinene(12.99%)$ 등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다른 허브에 비해 가열에 의한 손실량이 가장 많았는데 튀길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소실되었다. 그리고 총 21가지 향이 분리된 마조람에서는 sabinene 함량이 18.8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gamma}-terpenene(15.61%)$ 이었으며 가열 조건에 따라서는 다른 허브에 비해 향의 잔존량이 가장 많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볼 때 시료 허브 중 로즈마리와 마조람이 다른 시료에 비해 가열 조리시 열에 더 안정적이며, 가열 조리 방법에 있어서는 허브를 굽거나 끓일 때 향의 잔존률이 더 높았고 튀겼을 때는 거의 대부분의 향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막사리 (Bidens tripartita L.) 정유의 향취, 화학성분 및 세포독성 (Fragrance, Chemical Composition and Toxicity of the Essential Oil in Erect Bur-marigold (Bidens tripartita L.))

  • 윤미선;연보람;조해미;이사은;주진우;정지욱;박유화;김성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5-203
    • /
    • 2012
  • 가막사리는 우리나라 전역의 논에서 다발생하여 농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일년생잡초이지만 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막사리 정유를 향장산업제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가막사리에 함유된 정유의 함량은 $0.028{\pm}0.003%$이었으며, 역치값은 0.1%이었으며, 향취는 green, herbal, oily, spicy이었다. 가막사리 정유에는 탄화수소 17종, 알코올 6종, 아세테이트 6종, 질소화합물 5종, 에테르 3종, 케톤 3종, 락톤 1종, 황화합물 1종 등 총 42종의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함량 성분은 ${\alpha}$-phellandrene(22.50%), ${\alpha}$-pinene(22.21%), 2,4-dimethyl(2,5-dimethylphenyl)methyl ester benzoic acid(15.11%), limonene(10.66%), ${\beta}$-pinene(35.43%), ${\beta}$-cubebene(5.27%)이었다. 가막사리 정유가 HaCaT 각질형성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한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가막사리 정유의 $IC_{50}$값은 0.018%이었으며,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피부자극유발시험을 수행한 결과 가막사리 정유 0.1% 처리에도 그 어떠한 발진이나 수포도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막사리 정유가 향장제품을 위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여 준다.

Terpenoid 분석을 통한 취나물류의 향기지표물질 비교 (A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of Chwi-namuls by Terpenoid Analysis)

  • 최향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30-940
    • /
    • 2012
  • A comparison of essential oils composition of Aster tataricus L. (gaemichwi), Ligularia fischeri (gomchwi),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miyeokchwi), and Aster scaber (chamchwi)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for the identification of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in chwi-namuls. The essential oils were extracted by the hydro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One hundred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gaemichwi essential oil. ${\alpha}$-Pinene (11.5%)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myrcene (8.9%) and ${\beta}$-pinene (7.5%). Ninety-on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gomchwi. Aromadendrene (14.8%)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followed by ${\beta}$-caryophyllene (7.6%) and 1-methyl-4-(1-methylethylidene)-cyclohexene (7.3%). Ninety-five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essential oil of miyeokchwi, moreover, spathulenol (15.7%)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Ninety-six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were detected in the essential oil of chamchwi.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21.9%)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followed by ${\beta}$-caryophyllene (9.5%) and ${\delta}$-terpinene (8.9%).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gaemichwi was characterized by a higher contents of pinenes.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gomchwi can be easily distinguished by the percentage of aromadendrene. Spathulenol and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wer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odorants of miyeokchwi and chamchwi, respectively.

소나무(Pinus rigida Miller) 잎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unds of Pine Needle(Pinus rigida Miller) Extracts)

  • 홍원택;고경민;이재곤;장희진;곽재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pine needle extracts can be used as tobacco flavors. Yield of essential oil, absolute and oleoresin extracted from pine needles is 0.07%, 1.20% and 6.08% respectively. The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three types of extrac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GC) and mass selective detector(MSD). Total 72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three type of extracts including 26 hydrocarbons, 16 alcohols, 13 esters, 9 acids, 4 phenols, 2 aldehydes and 2 ketones compounds. The major components were $\beta$-pinene, $\beta$-caryophyllene, $\delta$-cadinene and 4,5-dimethyl-1,3 -dioxol-2-one. There were 49 volatile components in the absolute, 44 components in the essential oil and 26 components in the oleoresin. The content of hydrocarbons and alcohols was higher in the essential oil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SDE) than in others, while that of esters and acids was higher in the absolute than in others. Especially, phenols and ketones were identified only in the oleoresin. The components such as $\beta$-pinene, bornyl acetate, $\alpha$-terpineol and oxygenated terpenes have characteristic piney and fresh green odor. The contents of these components was higher in the essential oil and the absolute than in the oleoresin. Therefor, the essential oil and the absolute are expected to be more useful than the oleoresin as tobacco flav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