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ME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3초

$\beta$-Mercaptoethanol 및 Cysteamine이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ta$ -Mercaptoethanol and Cysteamine on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 한만희;박병권;박창식;서길웅;이규승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5-383
    • /
    • 1998
  •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시킬 때, $\beta$-mercaptoethanol ($\beta$-ME) 및 Cysteamine 의 첨가 배양이 난핵포붕괴 및 핵성숙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외성숙 배양액인 TCM-199 에 $\beta$-ME 를 0, 10, 50, 100 및 200 $\mu$M 을 첨가하여 36 시간 동안 성숙을 유기 시킬 때 난핵포붕괴율은 각각 91.6, 92.5, 91.8, 91.9 및 92.7%로서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는 높은 결과를 보였고, 핵성숙율은 각각 49.6, 41. 7, 32.5, 34.1 및 35.4%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성숙율을 보였으며, 특히 50, 100 및 200 $\mu$M 첨가시 유의적으로 낮은 핵성숙율을 나타냈다 (P<0.05). 또한, 44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유기시켰을 때 난핵포 붕괴율은 각각 91.8, 90.4, 92.5, 91.2 및 93.9%로서 처리구간 유의성 없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핵성숙율은 71.9, 58.8, 56.7, 62.2 및 56.5%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성숙율을 나타냈다 (P<0.05). 2. 체외성숙 배양액인 TCM-199 에 cysteamine을 0, 10, 50, 100 및 200 $\mu$M 을 첨가하여 36 시간 동안 성숙을 유기시켰을 때 난핵포붕괴율은 각각 90.6, 86.3, 88.2, 87.2 및 90.0%로서 각 처리구간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핵성숙율은 53.8, 45.1, 54.4, 57.5 및 63.3%로서 대조구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200 $\mu$M 의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 (P<0.05). 또한, 44 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유기시켰을 때 난핵포붕괴율은 각각 89.5, 93.1, 85.1, 89.8 및 3%로서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핵성숙율은 각각 84.2, 77.6, 66.0, 67.8 및 78.3%로서 대조구에 비하여 전 처리구에서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50 및 100 $\mu$M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핵성숙율을 나타냈다 (P<0.05).

  • PDF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 시 β-mercaptoethanol의 첨가가 체외성숙, 체외수정 및 Glutathione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β-Mercaptoethanol Supplement during In Vitro Maturation on IVM, IVF and Glutathione Level in Porcine Oocytes)

  • 오신애;김창근;정영채;장유민;방명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363-370
    • /
    • 2005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eta-mercaptoethanol ($\beta$-ME) supplements to the in vitro maturation (IVM) medium on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intracellular glutathione (GSH) concentration. Porcine cumulus-intact oocytes were matured in TCM-I99 medium containing porcine follicular fluid, sodium pyruvate, D-glucose, FBS, hormonal supplements, and $\beta$-ME (0, 25, 50 and 100 ${\mu}$M) for 36 to 46h. After culture, cumulus-free matured oocytes were co-incubated with epididymal spermatozoa for 18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turation rate among treatment groups. However, increases (P < 0.05) in intracellular GSH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fertilization were observed in 50 ${\mu}$M $\beta$-ME supplements to the IVM medium. Also, increases (P < 0.05) in male pronuclear formation after IVF were observed in same treatment group. In conclusion, supplementing $\beta$-ME into the IVM medium increased intracellular GSH concentrations and increased fertilization in vitro.

Eliminations from (E)-2,4-Dinitrobenzaldehyde O-Aryloximes Promoted by R3N/R3NH+ in 70 mol% MeCN(aq). Effects of Leaving Group and Base-Solvent on the Nitrile-Forming Transition-State

  • Cho, Bong Rae;Pyun, Sang Y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4호
    • /
    • pp.1030-1034
    • /
    • 2013
  • Elimination reactions of $(E)-2,4-(NO_2)_2C_6H_2CH=NOC_6H_3-2-X-4-NO_2$ (1a-e) promoted by $R_3N/R_3NH^+$ in 70 mol % MeCN(aq) have been studied kinetically. The reactions are second-order and exhibit Br$\ddot{o}$nsted ${\beta}$ = 0.80-0.84 and ${\mid}{\beta}_{lg}{\mid}$ = 0.39-0.42, respectively. For all leaving groups and bases employed in this study, the ${\beta}$ and ${\mid}{\beta}_{lg}{\mid}$ values remained almost the same. The results can be described by a negligible $p_{xy}$ interaction coefficient, $p_{xy}={\partial}{\beta}/pK_{lg}={\partial}{\beta}_{lg}/pK_{BH}{\approx}0$, which describ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ase catalyst and the leaving group. The negligible pxy interaction coefficient is consistent with the $(E1cb)_{irr}$ mechanism. Change of the base-solvent system from $R_3N$/MeCN to $R_3N/R_3NH^+$-70 mol % MeCN(aq) changed the reaction mechanism from E2 to $(E1cb)_{irr}$. Noteworthy was the relative insensitivity of the transition state structure to the reaction mechanism change.

Inversion Barriers of Methylsilole and Methylgermole Monoanions

  • Pak, Youngshang;Ko, Young Chun;Sohn, Hongl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161-4164
    • /
    • 2012
  • Density functional MO calculations for the methylsilole anion of $[C_4H_4SiMe]^-$ and methylgermole anion of $[C_4H_4SiMe]^-$ at the B3LYP (full)/6-311+$G^*$ level (GAUSSIAN 94) were carried out and characterized by frequency analysis. The ground state structure for the methylsilole anion and methylgermole anion is that the methyl group is pyramidalized with highly localized struc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culated $C_{\alpha}-C_{\beta}$ and $C_{\beta}-C_{\beta}$ distances are 9.4 and 11.5 pm, respectively. The E-Me vector forms an angle of $67.9^{\circ}$ and $78.2^{\circ}$ with the $C_4E$ plane, respectively. The optimized structures of the saddle point state for the methylsilole anion and methylgermole anion have been also found as a planar with highly delocalized structure. The optimized $C_{\alpha}-C_{\beta}$ and $C_{\beta}-C_{\beta}$ distances are nearly equal for both cases. The methyl group is located in the plane of $C_4E$ ring and the angle between the E-Me vector and the $C_4E$ plane for the methylsilole anion and methylgermole anion is $2.0^{\circ}$ and $2.3^{\circ}$, respectively. The energy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state structure and the transition state structure is only 5.1 kcal $mol^{-1}$ for the methylsilole anion. However, the energy difference of the methylgermole anion is 14.9 kcal $mol^{-1}$, which is much higher than that for the corresponding methylsilole monoanion by 9.8 kcal $mol^{-1}$. Based on MO calculations, we suggest that the head-to-tail dimer compound, 4, result from [2+2] cycloaddition of silicon-carbon double bond character in the highly delocalized transition state of 1. However, the inversion barrier for the methylgermole anion is too high to dimerize.

수종의 생약이 Bovine Adrenal Tyrosine Hydroxylase 및 Dopamine ${\beta}-Hydrox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II) (Effects of Herbal Drugs on Bovine Adrenal Tyrosine Hydroxylase and Dopamine ${\beta}-Hydroxylase$ (II))

  • 황윤정;이승호;김학성;이경순;노재섭;이명구
    • 생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4-197
    • /
    • 1994
  • MeOH extracts of sixteen herbal drugs were tested for the effects on bovine adrenal tyrosine hydroxylase and dopamine ${\beta}-hydroxylase$. The MeOH extracts of Paeoniae Radix and Pinelliae Tuber showed 65% inhibition on the tyrosine hydroxylase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100 $\mu$g in the enzyme reaction mixture. Those of Paeoniae Radix, Pinelliae Tuber and Evodiae Fructus showed 87, 84 and 62%, respectively, on the dopamine ${\beta}-hydroxylase$ activity.

  • PDF

우산고로쇠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Protective effect of Acer okamotoanum from oxidative stress in C6 glial cells)

  • 최수연;김지현;이재민;이상현;조은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41-14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산고로쇠(Acer okamotoaum) methanol (MeOH) 추출물과 n-BuOH, ethyl acetate (EtOAc), methylene chloride 및 n-hexane의 4종 분획물을 이용하여 free radical 소거능과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신경교세포인 C6 glial cell을 이용하여 amyloid $beta_{25-35}$ ($A{\beta}_{25-35}$)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우산고로쇠 MeOH 추출물과 4가지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은 우수한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4.47{\mu}g/mL$$EC_{50}$ 값을 나타내 가장 우수한 소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에서도 MeOH 추출물과 분획물은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EtOAc 분획물은 $100{\mu}g/mL$ 농도에서 84.60%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EtOAc 분획물은 다른 추출물과 분획물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A{\beta}_{25-35}$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우산고로쇠 MeOH 추출물과 4가지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은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EtOAc 분획물이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우산고로쇠 MeOH 추출물과 4가지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 특히 EtOAc 분획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산화적 스트레스의 개선 효과를 가져 신경세포 보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eOH-MeCN 혼합용매계에서 할로겐화 벤질과 피리딘 사이의 친핵성 치환반응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s of Benzyl Halides with Pyridines in MeOH-MeCN Mixtures)

  • 송호봉;이익춘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6-421
    • /
    • 1988
  •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 용매계에서 할로겐화 벤질(파라 치환된 브롬화 벤질과 요오드화 벤질)과 피리딘 사이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속도론적으로 연구하여 반응메카니즘을 밝혔다. 치환기 상호 작용 계수 ${\rho}_{XY}$값으로 부터 할로겐화 벤질과 피리딘 사이의 반응은 전이 상태에서 dissociative S$_N$2 메카니즘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ammett ${\rho}$(${\rho}_X$, ${\rho}_Y$) 값, Br${\o}$nsted ${\beta}_N$값, 분광 용매화 관계식의 계수 a, s 및 a/s 값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PES 모형과 QM 모형의 분석결과 QM 모형 해석에 잘 적용 됨을 알수 있었다.

  • PDF

EGF, $\beta-ME$와 Glucose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핵 이식 배의 발생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GF, $\beta-ME$, Glucose on the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 of Porcine NT Embryos)

  • 전연화;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7-145
    • /
    • 2005
  •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beta-ME$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자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85.7\pm3.1\%,\;75.2\pm2.8\%,\;87.1\pm2.4\%$$78.2\pm2.6\%$였으며 EGF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EGF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 배양했을 때의 난자보다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난자를 $25{\mu}M\;\beta-M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9.5\pm2.6\%,\;74.7\pm2.5\%,\;80.2\pm2.3\%,\;78.6\pm2.7\%$였고 $\beta-ME$를 첨 가한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의 체외성숙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자를 1.5mM glucos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9.2\pm2.3\%,\;75.0\pm2.6\%,\;85.5\pm2.5\%$$78.9\pm2.7\%$였고, glucose를 첨가한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glucose를 첨가하지 않은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보다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핵이식 배를 20ng/m1 EGF, $25{\mu}M\;\beta-ME$ 및 1.5mM glucose를 첨가한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8시간, 144시간 배양하였을 때 2세포기 및 배반포로의 체외발생율은 각각 $56.4\pm2.7\%,\;54.3\pm2.9\%,\;70.5\pm2.1\%,\; 69.6\pm1.5\%$$12.0\pm1.3\%,\;9.6\pml.7\%,\;10.9\pm2.1\%,\;11.9\pm1.8\%$였다.

EGF, $\beta-ME$, Glucose, $O_2$ 농도 및 Fibroblast Subculture가 핵이식 배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GF, $\beta-ME$, Glucose, $O_2$ Concentrations and Fibroblasts Subculture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NT Embryos)

  • 전연화;왕애국;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7-156
    • /
    • 2005
  •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beta-ME$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핵이식 배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12.0\pm1.3\%,\;9.6\pm1.9\%,\;10.9\pm2.1\%,\;9.1\pm2.3\%$였다. 핵이식 배를 $25{\mu}M\;\beta-M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1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9.6\pm1.7\%,\;7.3\pm2.3\%,\;11.9\pm1.8\%$$7.4\pm2.1\%$였다. $\beta-ME$를 첨가한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beta-ME$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 배양한 배보다 높은 체외발생율을 나타냈다. (p<0.05). 핵이식 배를 1.5mM glucos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9.4\pm2.2\%,\;6.8\pm2.7\%,\;10.9\pm2.4\%$$8.9\pm2.6\%$였다. Glucose를 첨가한 NCSU-23과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glucose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 배양한 배보다 높은 체외 발생율을 나타냈다. 핵이식 배를 NCSU-23 및 PZM-3 배양액과 $5\%$$20\%$ 산소 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로의 체외 발생율은 각각 $11.1\pm1.8\%,\;9.8\pm1.4\%,\;12.5\pm1.6\%$$10.9\pml.5\%$였다. NUSU-23과 PZM-3 배양액에서 $5\%$ 산소 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20\%$산소 조건에서 배양한 난자보다 높은 체외 발생율을 나타났다. 섬유아세포를 NCSU-23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공여자세포로 이용하여 10 및 $11\~15\;passage$ 이내로 계대배양하였을 때의 융합율은 $60.0\~73.3\%,\;52.5\%$였다. 섬유아세포를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공여자세포로 이용하여 10 및 $11\~15passage$ 이내의 계대배양시의 융합율은 $60.4\~75.1\%$$58.7\%$였다.

두충나무잎의 생리활성 Flavonoid 분석 (Flavonoid Analysis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 박종철;김성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01-905
    • /
    • 1995
  • 기호음료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 두충나무잎의 품질 평가를 위한 HPLC로서 함유된 flavonoid 화합물을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즉 두충나무잎의 n-BuOH 분획으로 부터 astragalin, isoquercitrin, quercetin $3-O-{\beta}-D-xylopyranosyl(1-2)-{\beta}-D-glucopyranoside$의 3종 flavonoid 성분들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은 LPLC의 THF-dioxane-MeOH-HOAc-5% $H_3PO_4-H_2O$(145 : 125 : 50 : 20 : 2 : 658) 혼합용매에서 양호한 분리능을 나타내었다. MeOH 엑스와 n-BuOH 분획 중에 astragaline의 함량은 각각 0.09%(w/w), 0.46%(w/w), isoquercitrin은 0.08%(w/w), 0.48(w/w), quercetin $3-O-{\beta}-D-xylopyranosyl(1-2)-{\beta}-D-glucopyranoside$은 0.40%(w/w), 1.22%(w/w) 함유되어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