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tocopherol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9초

감마선 조사시 우지 산패억제를 위한 항산화제의 첨가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Oxidation of Tallow by Gamma Irradiation)

  • 이경행;육홍선;이주운;김성;김미정;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2
    • /
    • 1999
  • 우지에 항산화제로 ascorbyl palmitate (AP), ${\alpha}-tocopherol\;({\alpha}-Toc)$, BHA 및 ascorbyl $palmitate+{\alpha}-tocopherol\;(AP+{\alpha}-Toc)$을 첨가하여 $0{\sim}10\;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였고, 감마선 조사된 시료는 조사직후와 $5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 형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의 과산화물가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우지에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과산화물 형성을 억제하였고, 억제 활성은 $AP>BHA>AP+{\alpha}-Toc>{\alpha}-Toc$로 AP가 초기산화 억제능을 가진 천연항산화제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자동산화를 상당히 촉진시키지만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과산화물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때의 항산화능은 $BHA>AP+{\alpha}-Toc>{\alpha}-Toc>AP$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장말기까지도 효과가 높았던 천연 항산화제 혼합물인 $AP+{\alpha}-Toc$은 BHA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 PDF

국내산 파프리카의 색상별 phytochemical 및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Color Stages and Varieties of Paprika Harvested in Korea)

  • 김지선;안지윤;하태열;이한철;김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64-56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의 색상별, 품종별 phytochemical들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Phytochemical은 carotenoids, L-ascorbic acid, ${\alpha}$, ${\gamma}$-tocophero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파프리카에서 7종의 carotenoids를 정성 및 정량 분석한 결과, lutein은 녹색과의 Special품종과 황색과의 Fiesta 품종이 각각 4.65${\pm}$0.84, 5.19${\pm}$0.05 mg/kg fw로 다른 파프리카에 비해 그 함량이 높았다. 적색과의 Special 품종의 capsanthin 함량이 53.70${\pm}$6.23 mg/kg fw로 다른 파프리카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총 carotenoids의 함량도 다른 파프리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L-Ascorbic acid는 녹색과에서 적색과로 갈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Tocopherol의 함량은 10.48-35.17 mg/kg fw으로 나타났으며, 녹색과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gamma}$-Tocopherol의 함량은 녹색과의 Cupra와 Special에서 각각 29.31${\pm}$1.56, 23.34${\pm}$2.26 mg/kg fw로 다른 두 색상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alpha}$-tocopherol은 적색과 Cupra 품종에서 26.02${\pm}$2.89 mg/kg fw로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 파프리카의 색상별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색상의 파프리카 추출물이 ${\beta}$-carotene보다 그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적색과가 다른 색상의 파프리카에 비해 항산화능이 높았는데, 이는 적색과에 다량의 capsanthin, L-ascorbic acid, ${\alpha}$-tocopherol과 같은 phytochemical들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마늘맛 조미 김의 산화안전성 및 저장특성 연구 (Oxidation Stability of Lavers Made with Garlic-Salt and Their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 전예숙;박수진;최미경;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3-89
    • /
    • 2008
  • 건조된 마늘을 분쇄하고 비율을 달리하여 소금과 혼합하여 마늘 소금을 개발하였고, 배소 시 김에 도포하여 마늘맛 조미 김을 개발하여 1, 6, 12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 및 지방산 산화정도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 및 마늘 첨가량에 따른 일반성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늘 맛김의 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저장기간에 따라 ${\alpha}$-tocopherol은 감소하였고 특히 마늘 33% 첨가 시 감소량이 가장 적었다. ${\gamma}$-Tocopherol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산 중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저장기간 증가에 따라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TBARS 함량 변화는 대조군이 크게 증가한 반면, 마늘 맛김에서는 산화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마늘 파우더 33% 첨가는 12주 후에도 조미 김의 TBARS 생성량을 강하게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33% 마늘 소금을 첨가한 김이 색과 향 면에서 대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마늘 소금으로 조미 김을 제조한 결과, 소금 대비 33%로 제조한 김이 다른 첨가군에 비교해 성분 및 관능적으로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중년기 성인의 혈중 항산화 물질 분석 및 혈중 지질과 신체계측치와의 상관성 (Analysis of Serum Antioxidant Materials Concentration and Their Relation with Blood Lipids and Anthropometric Indices in Middle-Aged Adults in Korea)

  • 이현정;이덕희;김광옥;김유정;이혜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64-47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건강한 중년성인의 혈청 carotenoids류 (${\alpha}$-carotene, ${\beta}$-carotene, ${\beta}$-cryptoxanthin, lutein, lycopene)와 ${\alpha}$-tocopherol, ${\gamma}$-tocopherol, retinol의 수준을 파악하고 혈중 지질상태 및 신체계측치와의 상관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는 40대 이후 건강한 성인 373명 (남자 231명, 여자 142명)이었다. 우리나라 건강한 중년기 성인의 혈청 중에 존재하는 주요 carotenoids는 ${\beta}$-cryptoxanthin, ${\beta}$-carotene, lutein이었고 lycopene, ${\alpha}$-carotene은 더 낮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는 ${\alpha}$-carotene, ${\beta}$-carotene, ${\beta}$-cryptoxanthin, lycopene 등의 carotenoids 물질들의 농도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retinol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lutein과 tocopherol은 성별에 따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항산화 물질의 농도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retinol과 ${\alpha}$-tocopherol 영양상태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우수하였다. 혈청 항산화 물질들의 농도와 혈청 및 소변 중의 지질과산화물 농도 사이에는 뚜렷한 상관성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혈청 carotenoids들은 상호간에 또 ${\alpha}$-tocopherol 사이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lutein을 제외하고는 retinol과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혈 중 ${\alpha}$-tocopherol과 retinol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혈 중 지질과의 상관성 분석에서 측정된 모든 항산화 물질들은 총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중성지질은 carotenoids 물질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tocopherol, retinol과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혈청 항산화 물질들의 농도와 신체계측치 사이에는 성별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혈청 carotenoids류는 신체계측치들 및 혈압과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tocopherol들과 retinol 수준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 중 특히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인 것은 남성에서 ${\beta}$-carotene과 lutein의 혈압과의 음의 상관성, 여성에서의 ${\alpha}$-carotene, ${\beta}$-carotene, ${\beta}$-cryptoxanthin과 체지방 관련 지표들 (BMI, WHR, 체지방율)과의 음의 관련성이었다. 본 연구 결과 중년 성인의 혈중 항산화 물질들의 농도는 종류에 따라 성별, 연령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혈중 지질 수준 및 신체 계측치와도 유의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상관성의 원인과 의미에 대해서는 향 후 식생활 및 생활습관 등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다.

도정율에 따른 미강의 Tocotrienol과 Tocopherol 함량 (Tocotrienol and Tocopherol Contents of Rice Bran by Milling Recovery)

  • 박경열;강창성;조영철;이용선;이영현;이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68-471
    • /
    • 2004
  • 추청벼 등 4품종의 현미를 4.0, 6.4, 8.0, 9.6, $12.0\%$로 도정하여 벼의 도정율과 미강 중의 tocooienol 및 tocopherol 그리고 vitamin I 함량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강의 tocotrienol 함량이 최대가 되는 도정율은 4품종 각각 다른 반응을 보였으나 공통으로 가장 높았던 도정율은 6.4\%$이었고 추청벼와 안다벼는 도정율 $8.0\%$에서도 유의차가 없었다. 2. 미강의 tocopherol 함량은 4품종 모두 도정율 $8.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품벼 고시히카리 안다벼 3품종은 $9.6\%$에서도 유의차가 없었다. 3. 미강의 vitamin E함량이 가장 높은 도정율은 $8.0\%$이나 실험 품종들 간에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6.4-9.6\%$의 도정율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4. 쌀의 tocotrienol, tocopherol 그리고 vitamin E함량은 도정율이 높아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으로 도정율 $8\%$일때 각각의 함량은 11.0, 8.2, $19.2 mg{\cdot}kg^{-1}$이었고, 쌀에는 tocotrienol과 tocopherol 동족체 중 $\alpha-$$\gamma-$가 검출되었다.

들깨 γ-TMT 형질전환 담배의 색소성분 변화 및 염 스트레스 내성 증가 (Transgenic tobacco with γ-TMT of perilla showed increased salt resistance and altered pigment synthesis)

  • 우희종;성좌경;김정봉;김나영;이시명;신공식;임선형;서석철;김경환;조용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329-335
    • /
    • 2008
  • Tocopherols are essential lipophilic antioxidant in human cells, while little is known about its function in plant tissues. To study the impact of composition and content of tocopherols on stress tolerance, tobacco (Nicotiana tabacum) was transformed with a construct containing a cDNA insert encoding $\gamma$-tocopherol methyltransferase ($\gamma$-TMT/VTE4) from perilla under the control of the 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promoter. The transgenic tobacco was confirmed by PCR and RT-PCR. The total content and composition of tocopherols in the transgenic lines were similar with wild type controls. However, chlorophyll-a and carotenoid content in the transgenic lines were increased by up to 45% (P<0.01) and 39% (P<0.02), respectively. Also, the over-expression of $\gamma$-TMT increased the salt stress tolerance in tobacco plan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over-expression of $\gamma$-TMT gene in tocopherol bio-synthetic pathway can increase salt stress tolerance and contents of chlorophyll-a and carotenoid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유기 및 관행재배 쌀의 생리활성 성분 분석법 확립 및 함량 비교

  • 김기안;이유석;이영한;최경주;이연;한태호;박근형;문제학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319-319
    • /
    • 2009
  • 관행재배 농산물에 대한 유기재배 농산물의 우수성이 구전되고 있으나 객관적인 과학적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주식으로 하고 있는 쌀(동진 1호)을 대상으로 생산이력이 분명한 유기 및 관행재배 시료를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확립한 분석법을 이용해 유기 및 관행재배 쌀에 함유된 생리활성성분의 함량 비교를 행하였다. 생리활성성분 분석은 $\gamma$-oryzanol, $\beta$-sitosterol 및 tocopherol류를 대상으로 행하였다. 쌀에 함유된 주요 4종의 $\gamma$-oryzanol류의 동정을 위해 그 4종 화합물들을 ESI-MS 및 NMR 분석을 행한 결과, ODS 컬럼 상에서 cycloartenyl ferulate, 24-methylene cycloartenyl ferulate, campesteryl ferulate 및 $\beta$-sitosteryl ferulate 순으로 용출됨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각 성분들을 HPLC로 분석한 결과, cycloartenyl ferulate와 $\beta$-sitosteryl ferulate의 함량은관행보다 유기재배 쌀에서 유의(p<0.05)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gamma$-oryzanol 중 24-methylene cycloartenyl ferulate와 campesteryl ferulate의 함량은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관행보다 유기재배 쌀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beta$-sitosterol 함량에 있어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관행보다 유기재배 쌀에서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관행재배와 유기재배 쌀의 tocopherol류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alpha$-tocopherol의 함량에 있어서는 관행과 유기재배 쌀 간의 유의차가 관찰되지 않았고, $\beta$- and/or $\gamma$-tocopherols의 함량에 있어서는 유기재배 쌀에서 더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쌀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과 그로 인해 발휘되는 기능성 측면에 있어서 유기농산물의 우수성은 유기농산물 재배 농가의 수익 창출에 도움이 되는 홍보자료 제공 및 식품 기능학적 측면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그러나 본 결과는 본 실험에서 대상으로 한 시료에 한정될 수 있으며, 유기재배 방법과 재배환경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음에 주의가 요구된다.

  • PDF

혼합잡곡의 항산화 물질과 기호도 (Antioxidant Component and Sensory Evaluation of Mixed Cereals)

  • 이경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6-201
    • /
    • 2015
  • 쌀밥 위주의 식사에서 곡류 또는 두류를 혼합한 잡곡밥의 섭취량이 늘고 있는 추세로 백미(대조군)와 혼합잡곡(혼합잡곡 1),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잡곡(혼합잡곡 2)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성분들의 함량 변화와 기호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의 함량에서는 백미의 경우, 6.68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8.23 및 21.84 mg%로 잡곡을 혼합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ocopherol류의 함량에서는 백미는 1.26 mg%, 혼합잡곡 1군은 19.24 mg%이었고,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혼합잡곡 2군은 39.32 mg%로 가장 높은 tocopherol류의 함량을 보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에서 대조군은 2.20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4.38 및 21.91 mg%로 혼합잡곡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은 대조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혼합잡곡 1군은 42.45 mg%, 혼합잡곡 2군은 32.54 mg%로 잡곡 혼합 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성분들은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기호도에서는 맛, 향, 색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모두 정미성분을 첨가하였던 혼합잡곡 2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잡곡밥, 백미의 순으로 백미보다는 곡류 및 두류 및 정미성분을 혼합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였다.

고추씨 기름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Red Pepper Seed oil)

  • 최영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36
    • /
    • 1990
  •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red pepper seed as resources of food fats,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crude and refined oil, and the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 The red pepper seed contained 28% of crude fat and 21% of crude protein. The main fatty acids of red pepper seed oil were linoleic acid(72.10~72.31%), palmitic acid(12.81~13.28%) and oleic acid(9.47~10.48%). The linolenic acid content was so small that is will not influence the autoxidation of the red pepper seed oil. The major triglyceride type of crude and refined oil of red pepper seeds were C52 and C54. The other types were found in a small quantity. The sterol composition of crude oil was $\beta$-sitosterol, campasterol, stigmasteral and brassicasterol,in the quantity order. after refining, brassicasterol was not detected, and the content was decreased by one six and one eight. The toropherol composition of crude and refined oil, tocopherol analog was composed of three kinds $\alpha$-, ${\gamma}$-, $\delta$-, but no $\beta$-form. the quantity of ${\gamma}$-, $\alpha$- and $\delta$-tocopherol were 162.91, 83.72, 43.98mg% respectively. The Quantity of and capsaicin in crude oil was 1,296 ppm, and it was reduced consicerably by refining and removed completely after the process of redeodorization.

  • PDF

Docosahexaenoic acid 함유 재구성지질의 효소적 합성 연구 (Lipase-Catalyzed Synthesis of DHA-Enriched Structured Lipid)

  • 조은진;조경현;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09-712
    • /
    • 2005
  • 조류(microalgae, from Schizochytrium sp.)로부터 DHA가 풍부하고 이취가 적은 지질을 획득하고 이를 옥수수유와 함께 반응기질로 이용하여 재구성지질을 합성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합성조건으로 oleic(17.3 mol%), linoleic(31.8 mol%), 그리고 docosahexaenoic acid(14.9 mol%)가 함유된 재구성지질을 합성하였다. ${\alpha}-,\;{\gamma}-$, 및 ${\delta}-tocopherol$의 총 함량은 0.059%로 분석되었고, 비누화 가(183.8) 및 요오드 가(201.8)를 측정하였다. 한편, 수행된 반응조건 및 반응시간동안 대부분의 반응은 6시간 내에 이루어 졌고, 그 상승폭은 3-6시간 사이에서 약 2.3배의 증가를 보이며 가장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