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L

검색결과 1,284건 처리시간 0.03초

산소분리를 위한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관형 분리막 제조 및 투과 특성 (Fabrication and Permeation Properties of Tubular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Membranes for Oxygen Separation)

  • 김종표;손수환;박정훈;이용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6호
    • /
    • pp.804-809
    • /
    • 2011
  •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조성의 관형 분리막을 압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압출성형 직후 분리막의 TGA 분석결과 3단계의 무게감소로 첨가제와 탄산염이 분해되었고, 건조 수축율은 68 h 경과 후 변화가 없었으며 외경이 큰 분리막에서 높게 나타났다. 소결 후 분리막의 XRD 및 SEM 분석결과, 분리막은 단일상의 페롭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치밀한 막을 보였고, EDS 분석을 통해 $Ba_{0.5}Sr_{0.5}Co_{0.8}Fe_{0.2}O_{3-{\delta}}$와 유사한 성분함량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두께 0.95 mm $Ba_{0.5}Sr_{0.5}Co_{0.8}Fe_{0.2}O_{3-{\delta}}$ 관형 분리막의 압환강도(radial crushing strength)는 5.7 kgf/$mm^2$이였으며, $950^{\circ}C$에서 산소투과량은 146.85 mL/min($Jo_2$=2.33 mL/$min{\cdot}cm^2$)를 나타냈었다. 투과 측의 진공펌프 사용이 쓸개 가스를 활용한 것보다 산소 투과량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Characterization of Gliclazide in Healthy Volunteers

  • Kim, Ho-Soon;Yun, Min-Hyuk;Kwon, Kwang-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7호
    • /
    • pp.564-568
    • /
    • 2003
  •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properties of gliclazide were studied after an oral administration of gliclazide tablets in healthy volunteers. After an overnight fasting, gliclazide tablet was orally administered to 11 volunteers; Additional 10 volunteers were used as a control group (i.e., no gliclazide administratio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the concentration determined for gliclazide and glucose up to 24 after the administration. Standard pharmacokinetic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gliclazide. Pharmacodynamic activity of the drug was expressed by increase of glucose concentration ($\Delta$PG), by area under the increase of glucose concentration-time curve ($AUC_{$\Delta$PG}$) or by the difference in increase of glucose concentration ($D_{$\Delta$PG}$) at each time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gliclazide administration. Pharmacokinetic analysis revealed that $C_{max}, T_{max}$, CL/F (apparent clearance), V/F (apparent volume of distribution) and half-life of gliclazide were $4.69\pm1.38 mg/L, 3.45\pm1.11 h, 1.26\pm0.35 L/h, 17.78\pm5.27 L, and 9.99\pm2.15 h$,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no drug administration group, gliclazid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AUC_{$\Delta$PG}$ s at 1, 1.5, 2, 2.5, 3 and 4 h (p<0.05). The $\Delta$PG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UC_{gliclazide}$ at 1 and 1.5 h (p<0.05),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maximum at 1 h (r = 0.642) and gradually decreased at 4 h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AUC_{$\Delta$PG}$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UC_{gliclazide}$ at 1, 2, 3 and 4 h (p<0.05), and th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at 2 h (r=0.642)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D_{$\Delta$PG}$ reached the maximum at 1 h, remained constant from 1 h to 3 h, and decreased afterwards. Therefore, these observations indicated that maximum hypoglycemic effect of gliclazide was reached at approximately at 1.5 h after the administration and the effect decreased, probably because of the homeostasis mechanism, in health volunteers.

N-아실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에 관한 연구(제9보) -Sodium N-Lauroyl-N-methyl-taurate의 미셀형성에 대한 온도 및 전해질의 영향- (Studies on the Surfactants of the N-Acyl Amino Acid(part 9)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Electrolytes on the Micellization of Sodium N-Lauroyl-N-Methyl-Taurate-)

  • 김진현;김태영;주명종;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7권3호
    • /
    • pp.401-409
    • /
    • 1996
  • Sodium N-lauroyl-N-methyl taurate의 cmc에 대한 온도효과를 검토하였다. cmc값들은 처음 $20^{\circ}C{\sim}40^{\circ}C$의 온도 범위에서는 감소하다가 더욱 온도가 증가되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cmc에 대한 온도의 의존성으로부터 여러가지 열역학적 파라미터들(${\Delta}H_m$, ${\Delta}G_m$, ${\Delta}S_m$)을 산출하였다. Sodium N-lauroyl-N-methyl taurate의 cmc에 대한 여러 전해질들의 첨가효과를 또한 검토하였고, 소수성결합 형성에너지 및 미셀의 해리도를 log cmc와 log conc.의 곡선으로부터 산출하였다. ${\Delta}H_m$값들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40^{\circ}C{\sim}50^{\circ}C$의 온도범위에서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변하였다. ${\Delta}G_m$값들은 전해질 농도 및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이유자돈에 있어 δ-아미노레불린산의 식이 내 첨가가 성장 밑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δ-Aminolevulinic Acid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and Hematological Changes in Weaned Pigs)

  • 민병준;홍종욱;권오석;강대경;김인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06-1610
    • /
    • 2004
  • 본 실험은 자돈식이내 $\delta$-아미노레불린산의 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3원 교잡종 자돈 75두(평균체중 7.21$\pm$0.02 kg)를 공시하였다. 시 험 설계는 1) NC(negative control; 무항생제 기초식이), 2) PC(positive control; NC diet+0.1% Apramycin+0.1% Oxytetracycline),3) ALA0.1 (NC diet+0.1% $\delta$-아미노레불린산), 4) ALA0.2(NC diet+0.2% $\delta$-아미노레불린산),5) ALA + AB (PC diet+0.2% $\delta$-아미노레불린산)의 5개 처리를 하였다. 총 사양시험기간동안, 일당증체 량은 ALA+AB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나(p<0.05), PC, ALA0.1 그리고 ALA0.2처리구와는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당식 이섭취량과 식이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시험 개시 후 20일령 에 측정한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 ALA+AB처리구가 NC 처리구 및 ALA0.1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평가되었다(p<0.05). 또한, 혈청내 total protein의 농도에 있어서는 ALA+AB처리구가 NC 처리구 및 PC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청내 iron의 농도는 $\delta$-아미노레불린산을 첨가한 처리구가 NC 및 PC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청내 TIBC에 있어서는 ALA+AB 처리구가 NC, PC 그리고 ALA0.1 처리구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액내 Hb 및 HCT의 농도는 ALA0.2 처리구와 ALA+AB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P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액내 RBC와 WBC의 농도는 ALA0.2 처리구와 ALA +AB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혈액내 lymphocyte는 $\delta$-아미노레불린산 처리구가 NC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자돈식 이내 $\delta$-아미노레불린산의 첨가는 자돈의 성장 및 소화율을 향상시키며, 혈액 내 total protein, iron, hemoglobin, lymphocyte의 수준을 증가시켰다. 또한, $\delta$-아미노레불린산과 항생제의 혼합급여는 자돈의 성장 능력에 있어 상승효과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I^2L$회로에 의한 다식논리함수의 설계 (Design of Multivalued Logic Functions Using $I^2L$ Circuits)

  • 김흥수;성현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4-32
    • /
    • 1985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method for multivalued logic functions using $I^2L$ circuits. First, the a비orithm that transforms delta functions into discrete functions of a truncated difference is obtained. The realization of multivalued logic circuits by this algorithm is discussed. And then, the design method is achieved by mixing discrete functions and delta functions using the modified algorithm for given multivalued truth tables. The techniques discussed here are easily extended to multi-input and multi-output logic circuits.

  • PDF

TSSG 법으로 육성한 $LiB_3O_5 $ 단결정의 제2조화파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Second Harmonic Generation in $LiB_3O_5 $ Crystals Grown by TSSG Method)

  • 권택용;오학태;주정진;백현호;김정남;윤수인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4-79
    • /
    • 1994
  • 이 연구에서는 TSSG 법으로 육성한 LiB3O5(LBO) 단결정의 1064nm 광에 대한 type I 및 type II 제 2 조화파 발생(SHG) 특성을 조사하였다. Type I SHG의 위상정합각은 $\theta_m=90^{\circ}, \phi_m=11.6^{\circ}$였고 angular acceptance bandwidth는 각각 $\delta\theta_{int}L_{1/2}=3.3^{\circ}-cm^{1/2}, \theta\phi_{int}L=0.27^{\circ}-cm^{1/2}$로 측정되었다. Type II SHG의 위상정합각은 $\theta_m=20^{\circ}, \phi_m=90^{\circ}$였고 angular acceptance bandwidth는 각각 $\delta\theta_{int}L_=0.65^{\circ}-cm, \theta\phi_{int}L^{1/2}=3.5^{\circ}-cm^{1/2}$로 측정되었다. Type I NCPM SHG 온도는 $149^{\circ}C$였고 temperature bandwidth $\DeltaTL$$4.8^{\circ}C-cm$였다. Nd:YAG 레이저의 peak power 가 $171 MW/\textrm{cm}^2$ 일때 두께가 2.6 mm 인 LBO 결정의 SHG 변환효율은 약 1.8%였고, 이차 비선형 계수 $d_{32}는 약 0.74\pm0.05 pm/V$로 측정되었다.

  • PDF

미세균열의 길이 및 간격 분포를 이용한 결의 평가(3) (Evaluation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of Microcrack Lengths and Spacings (3))

  • 박덕원;박의섭;정용복;이태종;송윤호
    • 암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3
    • /
    • 2019
  • 길이 및 간격-누적빈도 도표를 통하여 도출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쥬라기 거창화강암에서 발달하는 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3개 면 및 3개 결의 평가는 (1~2) 경사각(${\alpha}^{\circ}$${\beta}^{\circ}$), (3) 교차각(${\alpha}-{\beta}^{\circ}$), (4) 지수차(${\lambda}_S-{\lambda}_L$), (5~12) 선의 길이(oa, ob, ol, os, ss', ll', ls' 및 sl'), (13~15) 길이 비(ol/os, ss'/ll' 및 ll'/sl'), (16) 평균길이((ss'+ll')/2), (17~23) 면적(${\Delta}oaa^{\prime}$, ${\Delta}obb^{\prime}$, ${\Delta}oaa_a^{\prime}$, ${\Delta}obb_a^{\prime}$, ${\Delta}ll^{\prime}s^{\prime}$, ${\Delta}ss^{\prime}l^{\prime}$ 및 ⏢$ll^{\prime}ss^{\prime}$) 및 (24~25) 면적차(${\Delta}obb^{\prime}-{\Delta}oaa^{\prime}$${\Delta}obb_a^{\prime}-{\Delta}oaa_a^{\prime}$)와 같은 25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첫째로, 11개 파라미터(그룹 I: No. 1, 3~4, 7, 9~10, 13, 15~16, 20 및 25), 3개 파라미터(그룹 II: No. 5, 8 및 17) 그리고 2개 파라미터(그룹 III: No. 12 및 22)의 값은 각각 H(3번 결) < G(2번 결) < R(1번 결), R < G < H 및 G < H < R의 순서이다. 반면에, 상기한 3개 그룹에 속하는 파라미터의 값은 3개 면에 대하여 역순을 보여준다. 둘째로, 3개 면 및 3개 결에 대한 종합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로부터, 길이와 간격과 관련된 두 도표가 형성하는 분포형을 도출하였다. 간격과 관련된 도표는 일번 면(G1 & H1, R') 및 3번 결(H1 & H2, H)의 도면에서 상향만곡을 보여준다. 반면에, 길이와 관련된 도표는 하향 만곡을 보여준다. 이들 두 도표는 상부구간에서 볼록렌즈의 형태를 취한다. 더불어, 두 도표는 하부구간에서 서로 교차한다. 3개 면($H^{\prime}{\rightarrow}G^{\prime}{\rightarrow}R^{\prime}$) 그리고 3개 결($R{\rightarrow}G{\rightarrow}H$) 사이의 두 도표가 형성하는 전반적인 형태는 역순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형의 상관성 분석은 3개 채석면의 판별에 유용하다.

미세균열의 길이 및 간격 분포를 이용한 결의 평가(2) (Evaluation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of Microcrack Lengths and Spacings (2))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5
    • /
    • 2018
  • 미세균열의 길이와 간격의 분포를 이용하여 쥬라기 거창화강암의 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섯 방향의 결에 대한 길이 및 간격-누적빈도 도표를 미세균열의 길이의 밀도(${\rho}$)가 증가하는 순(($H2{\rightarrow}R1$)으로 배열하였다. 상기 두 유형의 도표의 결합을 통하여 다양한 파라미터를 추출하였다. 여섯 방향의 결에 대한 평가는 (I) 교차각(${\alpha}-{\beta}$), 지수차(${\lambda}_S-{\lambda}_L$), 선의 길이(ol 및 ll'), 길이 비(ol/os 및 ll'/sl'), 평균 길이((ss'+ll')/2), 직각삼각형의 면적(${\Delta}oaa_a^{\prime}$${\Delta}obb_a^{\prime}$) 그리고 면적차(${\Delta}obb^{\prime}-{\Delta}oaa^{\prime}$${\Delta}obb_a^{\prime}-{\Delta}oaa_a^{\prime}$), (II) 선의 길이(oa 및 os) 그리고 면적(${\Delta}oaa^{\prime}$), (III) 선의 길이(sl') 및 길이 비(ss'/ll') 그리고 (IV) 선의 길이(ob, ss' 및 ls') 및 면적(${\Delta}obb^{\prime}$, ${\Delta}ll^{\prime}s^{\prime}$, ${\Delta}ss^{\prime}l^{\prime}$ 및 ⏢ll'ss')과 같은 4개 그룹(I~IV)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3개 결 및 3개 면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사이의 상관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3개 결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은 (I) H(3번 결, (H1 + H2)/2) < G(2번 결, (G1 + G2)/2) < R(1번 결, (R1 + R2)/2), (II) R < G < H, (III) G < H < R 및 (IV) H < G < R의 순서이다. 반면에, 3개 면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은 (I) R' < G' < H', (II) H' < G' < R' 및 (III 및 IV) R' < H' < G'의 순서이다. 특히, 그룹 I 및 그룹 II에 속하는 파라미터의 값은 상호 역순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상관성 분석은 3개 채석면의 판별에 유용하다.

온라인 좌표 역변환 알고리듬의 개발과 이의 실험적 수행 (Development of on-line inverse kinematic algorithm and its experimental implementation)

  • 오준호;박서욱;이두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8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한국전력공사연수원, 서울; 21-22 Oct. 1988
    • /
    • pp.16-20
    • /
    • 1988
  • This paper presents a new algorithm for solving the inverse kinematics in real-time applications. The end-tip movement of each link can be resolved into the basic resolution unit, .DELTA.l, which depends on link length, reduction ratio and resolution of the incremental encoder attached to the joint. When x- and y-axis projection of the end-tip movement are expressed in .DELTA.l unit, projectional increments .DELTA.x and .DELTA.y become -1, 0 or I by truncation. By using the incremental computation with these ternary value and some simple logic rules, a coordinate transform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this approach,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loating-point arithmetic and the manipulation of trigonometric functions are completely eliminated. This paper demonstrates the proposed method in a parallelogram linkage type, two-link arm.

  • PDF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with a l-bit High-Order Interpolative ${\sum}{\Delta}$ Modulator for 3G Mobile Phone Application

  • Park, Byeong-Ha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2권1호
    • /
    • pp.41-48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18-mW, 2.5-㎓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with l-bit $4^{th}$-order interpolative delta-sigma ($\Delta{\;}$\sum$)modulator to suppress fractional spurious tones while reducing in-band phase noise. A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with a quadruple prescaler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in a $0.5-\mu\textrm{m}$ 15-GHz $f_t$ BiCMOS. Synthesizing 2.1 GHzwith less than 200 Hz resolution, it exhibits an in-band phase noise of less than -85 dBc/Hz at 1 KHz offset frequency with a reference spur of -85 dBc and no fractional spurs. The synthesizer also shows phase noise of -139 dBc/Hz at an offset frequency of 1.2 MHz from a 2.1GHz center fre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