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 bar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4초

현장조사를 통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부재의 시공오차에 관한 연구 (Field Survey on the Construction Errors for the Member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윤상천;지남용;최기봉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01-20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에 대한 국내외 허용오차 관련기준을 검토하여, 현행 국내 허용오차 기준의 수준을 검토함과 동시에 합리적인 시공오차 측정방법과 측정기기를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 부재의 시공오차를 조사하여 현재 국내 시공오차 허용범위 만족도를 검토하고, 구조체의 저항능력 평가 시, 부재크기 오차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안전성 평가를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ASTM C 1260 실험에 의한 국내 골재의 알칼리-실리카 반응 팽창 특성 (Expansion Behavior of Aggregate of Korea due to Alkali-Silica Reaction by ASTM C 1260 Method)

  • 윤경구;홍승호;한승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31-437
    • /
    • 2008
  • 한국에서는 그동안 콘크리트구조물에서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피해 사례가 학계에 보고된 바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최근 일부 고속도로 콘크리트 포장에서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균열과 스펄링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몇몇 국가에서 콘크리트용 골재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성을 조기에 판정하는데 효과가 있는 ASTM C 1260 촉진 모르타르 봉 방법으로 한국산 암석에 대하여 재령별 팽창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산 골재 중 화성암 골재 10종 중에서 14일 재령에 0.1% 이상의 팽창이 발생한 골재는 복운모 화강암, 규장암이 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실험되었다. 퇴적암 골재 5종 중에서는 14일 재령에 0.1% 이상의 팽창이 발생한 골재에는 장석사암, 적색사암, 셰일로서 잠재적인 알칼리-실리카 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실험되었다. 변성암 골재 11종 중에서 14일 재령에 0.1% 이상의 팽창이 발생한 골재에는 충남 보령 점판암으로서 0.303%의 팽창이 발생하여 반응성이 매우 큰 골재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한국산 골재에서도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팽창 현상이 크게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지지부재로 이형철근을 설치하는 띠형 강보강재의 인발성능 평가 (The Evaluation for Pullout Performance of Steel Strip Reinforcements with Deformed-Bars as Transverse Members)

  • 정성규;김주형;조삼덕;이광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77-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띠형 강보강재에 대한 실내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주문진 표준사를 사용하여 상대밀도 80%인 모형지반을 조성하였고, 지지부재의 개수를 0~2개로 구분하여 실내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상재압은 $50kN/m^2{\sim}200kN/m^2$까지 4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하였고, 1mm/min 속도로 강보강재를 인발하였다. 표면이 매끄러운 띠형 강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은 보강재 표면과 지반 사이에서 마찰저항만 발현되기 때문에 인발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반면, 지지부재를 설치한 강보강재의 인발저항력은 마찰저항뿐만 아니라 수동저항도 함께 발현되므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강재의 형태에 관계없이 최대인발저항은 상재압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부재를 1개 설치한 경우에 비해 지지부재를 2개 설치했을 때의 최대수동저항은 작게 나타났다. 이는 지지부재의 설치 간격 및 위치에 따라 지지부재에서 발현되는 수동저항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되며, 지지부재 설치 위치 및 간격에 따른 추가 인발시험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INFLUENCE OF INVESTMENT/CERAMIC INTERACTION LAYER ON INTERFACIAL TOUGHNESS OF BODY CERAMIC BONDED TO LITHIA-BASED CERAMIC

  • Park, Ju-Mi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83-689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Interfacial toughness is important in the mechanical property of layered dental ceramics such as core-veneered all-ceramic dental materials. The interfaces between adjacent layers must be strongly bonded to prevent delamination, however the weak interface makes delamination by the growth of lateral cracks along the interfac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reaction layer on the interfacial fracture toughness of the core/vene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ve different divesting.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five heat-pressed Lithia-based ceramic core bars (IPS Empress 2), $20mm{\times}3mm{\times}2mm$ were made following the five different surface divesting conditions. G1 was no dissolution or sandblasting of the interaction layer. G2 and G3 were dissolved layer with 0.2% HF in an ultrasonic unit for 15min and 30 min. G4 and G5 were dissolved layer for 15min and 30min and then same sandblasting for 60s each. We veneered bilayered ceramic bars, $20mm{\times}2.8mm{\times}3.8mm$(2mm core and 1.8mm vene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 After polishing the specimens through $1{\mu}m$ alumina, we induced five cracks for each of five groups within the veneer close to interface under an applied indenter load of 19.6N with a Vickers microhardness indenter. Results. The results from Vickers hardness were the percentage of delamination G1:55%, G2:50%, G3:35%, G4:0% and G5:0%. SEM examination showed that the mean thickness of the reaction layer were G1 $93.5{\pm}20.6{\mu}m$, G2 $69.9{\pm}14.3{\mu}m$, G3 $59.2{\pm}20.2{\mu}m$, G4 $0.61{\pm}1.44{\mu}m$ G5 $0{\pm}0{\mu}m$. The mean interfacial delamination crack lengths were G1 $131{\pm}54.5{\mu}m$, G2 $85.2{\pm}51.3{\mu}m$, and G3 $94.9{\pm}81.8{\mu}m$. One-way ANOVA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facial crack length among G1, G2 and G3(p> 0.05). Conclusion. The investment reaction layer played important role at the interfacial toughness of body ceramic bonded to Lithia-based ceramic.

유한요소해석 기반 확대머리 이형철근 상세 따른 RC보의 구조성능 효과 분석 (Structural Behavior of RC Beams with Headed Bar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김건수;박기태;박창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40-4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확대머리 정착이음을 갖는 연결부의 상세에 따른 구조거동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복잡한 접촉조건과 비선형 거동을 나타내는 연결부의 유한요소해석을 위하여 외연적 동해석을 활용한 준정적 해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기존 실험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유한요소모델의 정확성을 검토하였으며, 준정적 해석 기법은 확대머리 연결부의 비선형성을 잘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정착길이, 횡방향 철근지수를 갖는 21가지 유한요소모델을 활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한 결과 정착길이와 횡방향 철근지수의 증가는 강도와 연성도를 증가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충분한 구조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설계변수 모두 일정수준을 확보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최근 개정된 확대머리 정착이음 설계기준에서는 정착길이와 횡방향 철근지수를 모두 고려하는 설계식을 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정착길이 뿐만 아니라 횡방향 보강철근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Nuss 술식의 조기 결과 (Early Results of the Nuss Procedure)

  • 박경택;김기봉;최강주;이양행;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72-476
    • /
    • 2001
  • 배경: Nuss에 의한 누두흉의 최소 침습적 수술법은 연골 절제나 흉골절개가 없이 누두흉을 교정하는 새로운 수술법이다. 보고자는 Nuss술식의 조기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에서 2001년 1월까지 20명의 누두흉 환자에서 Nuss술식을 시행하였다. 수술 대상은 남자 14 명, 여자 6 명으로, 1 세에서 33세까지 평균 10.1$\pm$7.7 세이며 대부분의 환자는(19명) 20세 이하였고, 33세된 성인 여자도 1명이 있었다. 결과: 가슴 함몰의 정도는 CT로 조사하였는데 CT지수는 평균 4.9$\pm$5.7 이었다. 평균 수술시간은 85.8$\pm$23.7 분이었다. 사용된 금속막대의 길이는 8 인치 에서 16인치 가지 평균 11.8$\pm$14.4 인치였다. 술후 조기 합병증은 3례의 환자에서 기흉이 있었고, 1례에서는 장마비, 전례에서 술후 통증조절을 위해 정맥진통제를 사용하였다. 1례의 성인 환자에서 술후 통증 조절을 목적으로 경막외 통증조절을 위한 도관을 삽입하였다. 그러나 전례에서 중대한 합병증은 발생치 않았다. 결론: 보고자가 누두흉 치료에 적용한 Nuss술식의 조기결과는 만족할만 하였지만 널리 이용되기에는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ect of various sandblasting conditions on surface changes of dental zirconia and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core and indirect composite resin

  • Su, Naichuan;Yue, Li;Liao, Yunmao;Liu, Wenjia;Zhang, Hai;Li, Xin;Wang, Hang;Shen, Jiefei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3호
    • /
    • pp.214-223
    • /
    • 2015
  • PURPOSE. To measure the surface loss of dental restorative zirconia and the short-term bond strength between an indirect composite resin (ICR) and zirconia ceramic after various sandblasting processe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hundred zirconia b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25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sandblasting performed with pressures of 0.1, 0.2, 0.4 and 0.6 MPa, sandblasting times of 7, 14 and 21 seconds, and alumina powder sizes of 50 and $110{\mu}m$.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sandblasting. The volume loss and height loss on zirconia surface after sandblasting and the shear bond strength (SBS) between the sandblasted zirconia and ICR after 24-h immersion were measured for each group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Least Significance Difference (LSD) test (${\alpha}$=.05). After sandblasting, the failure modes of the ICR/zirconia surfaces were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The volume loss and height loss were increased with higher sandblasting pressure and longer sandblasting treatment, but they decreased with larger powder size. SB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andblasting time from 7 seconds to 14 seconds and from 14 seconds to 21 seconds, as well as increasing the size of alumina powder from $50{\mu}m$ to $110{\mu}m$. SB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1 MPa to 0.2 MPa according to the size of alumina powder. However, the SB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sandblasting pressure of 0.2, 0.4 and 0.6 MPa. The possibilities of the combination of both adhesive failure and cohesive failure within the ICR were higher with the increases in bonding strength.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andblasting with alumina particles at 0.2 MPa, 21 seconds and the powder size of $110{\mu}m$ is recommended for dental applications to improve the bonding between zirconia core and ICR.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분절형 박스거더의 연성 거동 (Ductile Behavior of Ultra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Segmental Box Girder)

  • 정민선;박성용;한상묵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82-289
    • /
    • 2017
  • 압축강도 160MPa와 길이 15.4m를 가진 초고강도 섬유보강 분절 박스거더에 대한 휨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로는 PS강재의 면적, 강섬유 혼입률과 복부와 상부 플랜지의 종방향 철근이다. 하부플랜지의 두 개 텐던에 16개, 12개, 7개씩을 배치하고, 강섬유 혼입률은 2.0%, 1.5%, 1%를 사용하였다. 하부에 32개의 강연선을 배근한 박스거더는 과보강 강재 거동을 보였으며, 24개의 강연선을 배근한 거더는 강연선 32개를 설치한 거더와 비슷한 최대하중을 보이면서 처짐이 많은 저보강 강재 거동을 보였다. 강연선을 14개 설치한 박스거더는 24개 설치한 거더 내하력의 1/2정도 최대하중을 보이며, 연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설계기준의 강재지수에 따른 보 파괴거동의 분류에 대한 식의 유효성을 검토한 결과 지수 판별식은 초고강도 박스거더의 거동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박스거더의 기하학적 형태를 세부적으로 고려하고, 강재의 변형률 0.005에 해당하는 기준값을 새로 산정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확대단면에서의 띠철근 배근 방법에 따른 보강 기둥의 중심 축하중 거동 평가 (Evaluation of Axial Behavior of Columns Strengthened with Different Transverse Reinforcements in Jacket Section)

  • 황용하;양근혁;심재일;최용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81-88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실제 단면크기를 갖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을 위한 단면확대 공법에서 효율적인 띠철근 배근 방법을 평가하였다. 비내진 상세를 갖는 기존 기둥의 단면크기는 $450{\times}450mm$이며, 단면확대 보강기둥의 단면크기는 $750{\times}750mm$이다. 확대 단면에서의 폐쇄형 외부 띠철근 배근을 위해 ㄷ-형 띠철근의 겹칩이음 및 철근 선조립 공법을 제시하였으며, 보조 띠철근으로서 크로스타이 앵커링 시공 및 V-타이를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무보강 기둥 및 ㄷ-형 외부 띠철근을 적용한 보강기둥의 압축내력은 ACI 318-14의 공칭내력과 비슷한 수준인 반면 철근 선조립 공법을 적용한 기둥의 압축내력은 ACI 318-14의 공칭내력 대비 1.25배 높았다. 특히 철근 선조립 공법을 적용한 보강 기둥의 압축 연성비는 크기효과에 의한 연성비 저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기둥에 비해 139% 증가하였다. 즉, 제시된 철근 선조립 공법은 단면확대 보강기둥에서 주철근 조기 좌굴방지 및 콘크리트 구속에 효율적인 띠철근 상세로 평가될 수 있었다.

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지지거동 분석 (Bearing Capacity of Cast-in-situ Concrete Piles Socketed in Completely Weathered Gneiss)

  • 전경수;김정환;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55-165
    • /
    • 1999
  • 화강편마암으로 된 풍화암이 기반암인 암반에 소켓된 말뚝의 지지 거동을 알기 위하여 직경 40cm인 현장타설말뚝 8개를 시공하고 말뚝 재하 시험을 실시하였다. 지반 조사는 예비조사, 본조사, 그리고 시험후 조사 등 3차례에 걸쳐서 이루어 졌으며, 이 때 BX와 NX 보링(12개소) 조사와 탄성파 탐사 등이 시행되었다. 암반 소켓 말뚝의 지지 거동을 주면부와 선단부로 분리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암반 소켓 깊이를 3m, 6m 그리고 9m등으로 다양하게 하고, 선단부 지지력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말뚝 선단부에 스타이로폼(styrofoam)을 매설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말뚝 깊이에 따른 하중 전이 해석을 위하여 말뚝 철근에 변형률 게이지 등을 설치하고 재하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의 재하 시험 결과로부터 국내 화강 편마암으로 된 풍화암에 소켓된 현장타설말뚝의 허용 주면지지력과 허용 선단지지력을 각각 $8.6t/m^2 \;와 \;84t/m^2$로 제안하였으며, 일축압축강도를 이용한 풍화암의 탄성계수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