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and Weathering Depth Modeling of Thermally Altered Pelitic Rocks based on Chemical Weathering and Variations: Ulju Cheonjeon-ri Petroglyph

화학적 풍화작용과 조성변화에 따른 열변질 이질암의 풍화심도 모델링 및 평가: 울주 천전리 각석

  • LEE Chan Hee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UN Yu Gun (Dep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 이찬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전유근 (한국문화재재단 국제협력단)
  • Received : 2023.08.04
  • Accepted : 2023.10.26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The Cheonjeon-ri petroglyph is inscribed with shale formation belonging to the Daegu Formation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in the Cretaceous of the Mesozoic Era. This rock undergoes thermal alteration to become hornfels, and has a high hardness and dense texture. Rock-forming minerals have almost the same composition as quartz, alkali felspar, plagioclase, calcite, mica, chlorite and opaque minerals, but calcite is rarely detected in the weathered zone. The petroglyph forms a weathered zone with a certain depth,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mineral and chemical composition between weathered and unweathered zones, respectively. The CaO contents of the weathered zone were reduced by more than 90% compared to that of the unweathered zone, because calcite reacted with water and dissolve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surface weathering depth for the petroglyph with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X-rays, depth of the parts in falling off and exfoliation showed a depth of about 0.5 to 1 mm, but the weathering depth in most areas was calculated to be about 3 to 4 mm. This can be proved by the contents and changes of Ca and Sr. The surface discolorations of the petroglyph are distributed with different color density, and the yellowish brown discoloration is alternated with a thin biofilm layer, showing a coverage of 79.6%. Therefore, periodic preservation managements and preventive conservation monitoring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he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damages of the Cheonjeonri petroglyph will be necessary.

천전리 각석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의 대구층에 속하는 셰일층준에 새겨져 있다. 이 암석은 열변질 작용을 받아 혼펠스화 되어 경도가 높고 치밀한 조직을 보이며, 조암광물은 석영, 정장석, 사장석, 방해석, 운모, 녹니석 및 불투명 광물들로 동일한 조성을 가지나 풍화대에서는 방해석이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각석은 일정한 깊이의 풍화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풍화대와 비풍화대는 광물조성 및 화학조성의 차이가 있다. 풍화대의 CaO 함량은 비풍화대에 비해 90% 이상 감소하였으며, 이는 방해석이 물과 반응하여 용탈되었기 때문이다. X-선의 투과특성으로 각석 표면의 풍화심도를 산출한 결과, 탈락 및 박리 영역에서는 0.5~1.0mm 정도의 깊이를 보였지만 대부분 영역의 풍화깊이는 3~4mm 정도로 산출되었다. 이는 Ca과 Sr의 함량과 변화로도 입증할 수 있다. 각석의 표면변색은 색의 농도를 달리하며 분포하고, 황갈색 변색은 얇은 생물 피막층과 함께 교호하며 79.6%의 피도를 보인다. 따라서 천전리 각석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주기적인 보존관리와 예방보존 차원의 정밀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울주 천전리각석 실측 훼손도 평가 조사보고서」, 「공주대학교 문화재진단보존기술연구실」, pp.59~117.
  2. 김영수.허노영.정우섭.예대호.이재호, 2002, 「풍화에 의한 퇴적암의 물리-화학적 변화」,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3, pp.49~60.
  3. 김영화.장보안, 1992, 「화강암의 풍화현상에 수반되는 물성변화의 특성」, 「지질공학회지」 2, pp.36~46.
  4. 김정진.장윤득, 2006, 「강화도 선두리 지역 흑운모 편마암과 화강암에 대한 풍화 특성」, 「한국광물학회지」 19, pp.39~48.
  5. 남기상.조규성, 1993, 「암석의 풍화에 따르는 주요성분의 상대적 이동」, 「광산지질」 26, pp.67~81.
  6. 문명대, 1973, 「울산의 선사 시대 암벽각화」, 「문화재」 7, pp.1~11. https://doi.org/10.22755/KJCHS.1973.7.1
  7. 박맹언.성규열, 2005, 「화강암질 석조문화재의 풍화반응경로 특성과 보존에 대한 제언」, 「한국광물학회지」 18, pp.83~92.
  8. 양혜리.이찬희.조영훈, 2020, 「천안 성불사 마애석가삼존과 16나한상의 손상도 및 안정성 평가」, 「문화재」 53(4), pp.78~99.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4.78
  9. 울산광역시, 2003, 「국보 제147호 천전리각석 실측 조사 보고서」, 「한국선사미술연구소」, pp.1~134.
  10. 이동식.이찬희.양희제.최기영, 2007, 「석조문화재 표면 산화물의 산출상태와 지구화학적 거동: 익산 미륵사지 석탑」, 「자원환경지질」 40, pp.375~387.
  11. 이상헌, 2003, 「국내 암각화의 훼손양상과 지질학적 보존대책」, 「한국암각화연구」 4, pp.71~91.
  12. 이석훈.김수진, 2000, 「유구지역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의한 광물 조성의 변화」, 「한국광물학회지」13, pp.121~137.
  13. 이석훈.김수진, 2001, 「유구지역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따른 원소의 거동」, 「한국광물학회지」 14, pp.39~51.
  14. 이석훈.김수진, 2004,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퇴적암의 풍화특성」, 「한국광물학회지」 17, pp.23~35. https://doi.org/10.1016/j.injury.2004.05.006
  15. 이승구.김건한.송용선.김남훈.박계헌, 2007, 「강원도 임원지역 우백질 화강편마암에 나타난 희토류원소 테트라드 효과의 지구화학적 의의」, 「암석학회지」 16, pp.27~37.
  16. 이윤종.이인기, 1972, 「지질도폭 설명서: 언양도폭(1: 50,000)」, 「국립지질조사소」, pp.1~22.
  17. 이찬희, 2020, 「천전리각석의 과학적 정밀진단 및 손상메커니즘 해석. 한국의 암각화 IV, 울산 천전리 암각화」, 「울산암각화박물관」 pp.310~369.
  18. 이찬희.김무연.조영훈.이명성, 2010, 「중원탑평리칠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및 손상도 진단을 통한 보존처리」, 「문화재」 43, pp.4~25.
  19. 이찬희.김성태.채우민.박준형, 2023,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및 석등의 암석학적 특성과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39(1), pp.36~53.
  20. 이찬희.이명성, 2005, 「우리나라 석조문화유산의 현황과 보존방안」,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9, pp.13~21.
  21. 이찬희.이명성.서만철, 2005,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의 풍화특성과 불연속면의 안정성 해석」, 「지질학회지」 41, pp.401~413.
  22. 이찬희.이정은.신은정.김사덕, 2008, 「경천사십층석탑의 암석학적 특성과 풍화훼손도」, 「지질학회지」 44, pp.765~779.
  23. 이찬희.전유근, 2022, 「주기적 침수구역 이질암 표면의 지구화학적 변화와 풍화심도 모델링」, 「자원환경지질」 55(6), pp.583~596.
  24. 이찬희.전유근.조영훈.서만철, 2012, 「울산 반구대암각회의 손상도 및 사면안정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28, pp.153~164. https://doi.org/10.12654/JCS.2012.28.2.153
  25. 임세권, 1999, 「한국의 암각화」, 「대원사」 pp.1~143.
  26. 전호태, 2000, 「울산 반구대 암각화 보존론」, 「한국암각화연구」 2, pp.47~67. https://doi.org/10.1097/00006123-200007000-00013
  27. 조영훈.이찬희, 2011, 「석조문화유산의 손상지도 제작방법과 표면 및 3차원 손상율 평가기법」, 「보존과학회지」 27, pp.251~260.
  28. 조영훈.이찬희, 2012, 「석조문화유산의 형상분석을 위한 3차원 디지털복원과 표면심도 모델링: 해운대 석각을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28, pp.87~94. https://doi.org/10.12654/JCS.2012.28.1.087
  29. 황상일.박경근.윤순옥, 2010, 「반구대암각화의 주기적인 침수와 구성암석의 풍화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5, pp.342~359.
  30. 황수영.문명대, 1984, 「반구대 암벽조각」, 「동국대학교」 pp.1~243.
  31. Black, A.B., 1967 「Applications: Electrokinetic characteristics of hydrous oxides of a aluminium and iron. In S.D. Faust and J.V. Hunter, (eds.), Principle and applications of water 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247~300.
  32. Boynton, W.V., 1984, 「Geochemistry of the rare earth elements; meteorite studies. In P. Henderson, (ed.),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Elsevier」, pp.63~107.
  33. Chesworth, W., 1971, 「The major element geochemistry and the mineralogical evolution of granitic rocks during weathering. In L.H. Ahrens, (ed.), Origin and distribution of elements」, 「Pergamon Press, Oxford」, pp.305~313.
  34. Fitzner, B. and Heinrichs, K., 2002, 「Damage diagnosis on stone monument weathering forms, damage categories and damage indices. In R. Prikryl and H.A. Viles, (eds.), Understanding and managing stone decay, Proceeding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Stone weathering and atmospheric pollution network (SWAPNET 2001)」, 「The Karolinum Press, Charles University in Prague」, pp.11~56.
  35. Fitzner, B., Heinrichs, K., Bouchardiere, D.L, 2004, 「The Bangudae petroglyph in Ulsan, Korea: Studies on weathering damage and risk prognosis」, 「Environmental Geology」 46, pp.504~526. https://doi.org/10.1007/s00254-004-1052-x
  36. Govindaraju, K., 1989, 「Compilation of working values and samples description for 272 geostandards」, 「Geostandards Newsletter」 13, pp.1~113. https://doi.org/10.1111/j.1751-908X.1989.tb00476.x
  37. Jo, Y.H., Lee, C.H., 2022, 「Weathering features of a five-story stone pagoda compared to its quarrying site in Geumgolsan mountain, Ko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81(6; 181), pp.1~13. https://doi.org/10.1007/s12665-022-10303-1
  38. Lee, C.H. and Araki, N., 2019, 「Evaluation of nondestructive diagnosi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stone lantern at Damyang Gaeseonsaji temple site i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5, pp.279~293. https://doi.org/10.12654/JCS.2019.35.4.02
  39. Lee, C.H., Jo, Y.H., Kim, J., 2011, 「Damage evalu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enth century Korean rockcarved Buddha statues」, 「Environmental Earth Science」 64, pp.1~14. https://doi.org/10.1007/s12665-010-0809-7
  40. Lee, S.G. and De Freitas, M. H., 1989, 「A revision of the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weathered granite and its application to granites in Korea」,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2, pp.31~34. https://doi.org/10.1144/GSL.QJEG.1989.022.01.03
  41. Nesbitt, H.W. and Young, G.M., 1982, 「Early Proterozoic climates and plate motions inferred from major element chemistry of lutites」, 「Nature」 299, pp.715~717. https://doi.org/10.1038/299715a0
  42. Nockolds, S.R. and Allen, 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p.1007~1032. https://doi.org/10.1130/0016-7606(1954)65[1007:ACCOSI]2.0.CO;2